서양 근대 정치사상사 : 마키아벨리에서 니체까지 (양장)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 : 마키아벨리에서 니체까지 (양장)

$34.71
Description
우리의 눈으로 본 서양의 근대 정치사상사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는 서구의 근대를 지배한 정치사상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다. '계간 사상' 1999년 봄호부터 2003년 봄호까지 '서양 근대사상의 이해'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글 16편을 수정 보완한 것으로, 서양 정치사상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각자 개별 사상가들의 사상을 분석하였다. 우리 학자들의 시선으로 본 서양 정치사상의 역사를 전해준다.

이 책은 정치사상의 역사 가운데서도 그 논의가 가장 활발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현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서구의 근대에 주목하고 있다.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갖춘 우리 학자들이 서양의 주요 근대 정치사상가들의 사상을 분석하고 있어, 서양 근대 정치사상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주로 서양의 근대 정치사상가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

강정인,김용민,황태연

엮음:강정인
서강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이자서강대학교글로컬한국정치사상연구소소장이다.주요연구분야는비교정치사상,한국현대정치사상,문화와정치등이다.저서로는『넘나듦의정치사상』(2013),『한국현대정치사상과박정희』(2014),『죽음은어떻게정치가되는가』(2017),『교차와횡단의정치사상』(2019)등이있고,역서로는『통치론』(공역,1996),『정치와비전1·2·3』(공역,2007·2009·2013),『군주론』(공역,2015),『평등이란무엇인가』(공역,2016),『민주주의란무엇인가』(공역,2018),『로마사논고』(공역,2019개역)등이있다.

엮음:김용민
한국외국어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이다.서울대학교정치학과에서학사,석사학위를받고,미국시카고대학교정치학과에서석사,박사학위를받았다.“플라톤은내머리에,루소는내가슴에,키케로는내혀위에”라는모토를지니고정치철학을연구하고있다.한국정치사상학회회장을역임했다.주저로『루소의정치철학』(2004)이있고,『루소,정치를논하다』(공저,2017),『서양근대정치사상사』(공저,2007)등많은편저와논문이있다.

엮음:황태연
서울대학교외교학과를졸업하고,같은학과대학원에서?헤겔의전쟁개념?으로석사학위를받았고,독일프랑크푸르트괴테대학교에서??지배와노동(HerrschaftundArbeit)??(1991)으로박사학위를받았다.1994년동국대학교정치외교학과교수로초빙되어현재까지동서양정치철학과정치사상을연구하며가르치고있다.
그는수십년동안동서고금의정치철학과제諸학문을접목해통합하는학제적연구에헌신해왔다.동서통합정치철학저서로는??감정과공감의해석학(1·2권)??(2014·2015)이있고,동서문명교류분야저서로는??패치워크문명의이론??(2016),??공자철학과서구계몽주의의기원(상·하권)??(2019),??17-18세기영국의공자숭배와모럴리스트들(상·하권)??(2020),??근대프랑스의공자열광과계몽철학??(2020),??근대독일과스위스의유교적계몽주의??(2020),??공자와미국의건국(상?하권)??(2020)등이있다.등이있다.논문으로는?서구자유시장·복지국가론에대한공맹과사마천의영향?(2012),?공자와서구관용사상의동아시아적기원(상·중·하)?(2013),?공자의분권적제한군주정과영국내각제의기원(1)?(2014),?윌리엄템플의중국내각제분석과영국내각제의기획?추진?(2015),?찰스2세의내각위원회와영국내각제의확립?(2015)등이있다.
한국정치분야에서는??지역패권의나라??(1997),??중도개혁주의정치철학??(2008),??대한민국국호의유래와민국의의미??(2016),??갑오왜란과아관망명??(2017),??백성의나라대한제국??(2017),??갑진왜란과국민전쟁??(2017),??한국근대화의정치사상??(2018),??일제종족주의??(2019),??투쟁하는중도??(2020)등여러저서가있다.논문으로는?‘대한민국’국호의기원과의미?(2015),?조선시대국가공공성의구조변동과근대화?(2016)등이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제1부15~16세기
1.니콜로마키아벨리-서양근대정치사상의탄생/강정인
2.토머스모어-유토피아와정치현실/이화용
3.마르틴루터-종교개혁자의정치사상/장문강
4.장칼뱅?-기독교화된사회를향하여/박의경
제2부17세기
5.토머스홉스-동의에의한절대주의/김병곤
6.베네딕트데스피노자-신학을통해자유를옹호한이단적계몽주의자/김용민
7.존로크-자유주의의사상적토대/문지영
8.몽테스키외-삼권분립과법치주의의완성자/김용민
제3부18세기
9.데이비드흄-습관의철학과전통의정치/박동천
10.장자크루소-자연의창조적회복을주장한문명비판론자/김용민
11.이마누엘칸트-'계몽의계몽'과비판적근대정치기획/황태연
12.에드먼드버크-근대보수주의의원조/강정인
13.페더럴리스트-미국헌법과새로운정치학의탄생/김용민
제4부19세기
14.G.W.F.헤겔-민족국가의정치철학/황태연
15.F.P.G.기조-민주주의에반하는자유주의/홍태영
16.알렉시스드토크빌-자유민주주의의결함과그보완의모색/강정인
17.J.S.밀-자유주의자인가,사회주의자인가?/이종은
18.카를마르크스-노동자계급혁명론과그유산/황태연
찾아보기-용어·서명
찾아보기-인명

출판사 서평

1.우리학자들의시선으로본서양정치사상의역사
17대대통령선거를앞둔지금,우리사회의가장민감한화두는‘정치’일것이다.국가권력의정당성과대의민주주의,선거같은공적영역을넘어서서사적영역에서도인간의삶과떼어놓고생각할수없는것이정치다.인간은사회적동물이며사회에는통치와지배,이에대한복종?협력?저항등의정치적활동이존재하기때문이다.주요한정치제도와이념,가치및운동이논쟁과갈등의대상이되는지금이야말로정치적삶과관련된여러관념들에대한체계적성찰,즉정치사상...
1.우리학자들의시선으로본서양정치사상의역사
17대대통령선거를앞둔지금,우리사회의가장민감한화두는‘정치’일것이다.국가권력의정당성과대의민주주의,선거같은공적영역을넘어서서사적영역에서도인간의삶과떼어놓고생각할수없는것이정치다.인간은사회적동물이며사회에는통치와지배,이에대한복종?협력?저항등의정치적활동이존재하기때문이다.주요한정치제도와이념,가치및운동이논쟁과갈등의대상이되는지금이야말로정치적삶과관련된여러관념들에대한체계적성찰,즉정치사상에대한이해가필요하다.
서구의근대를지배한정치의핵심원리들을분석하고,그사유가시기별로어떤과정을거쳐왔는지를담아낸《서양근대정치사상사―마키아벨리에서니체까지》가책세상에서출간되었다.이책은서양근대정치사상의탄생을알린마키아벨리에서자유주의와공화주의,프랑스혁명기의사상가들을거쳐근대의극복을꿈꾼니체에이르기까지대표적정치사상가21명의핵심사유를짚어냄으로써정치적개념과정치적삶에대한비판적사유와성찰을보여주고있다.정치사상을전공한국내중견?소장학자들이서구의정치사상사연구를수용하는것에그치지않고각사상의특징과의미를자신의시각으로정리한이책은한국정치사상학계의연구성과를집약한것이기도하다.
2.정치사상,정치적삶에대한비판적사유와성찰
근대의영국이유럽의다른국가들에비해우위를점하게된이유는무엇보다도당시자유주의적인정치사상과정치제도를가장앞서서발전시켰기때문이다.20세기이후미국이세계정치의강자로군림하게된것도현대의보편적정치제도이자정치사상인‘민주주의’가중요한변수로작용했음을부정할수없을것이다.이러한역사적실례에서공동체가지닌사회적?경제적?문화적역량또는인적?물적잠재력을고도화할수있는정치의발전그리고이를견인할수있는정치사상의중요성을읽어낼수있다.정치적삶과관련된여러관념들에대한체계적성찰의산물인정치사상은정치공동체가직면한문제들을해결하기위한현실적이고실천적인사고체계인동시에이상적인정치공동체를실현하기위한비전과운동을담고있다.
이책은정시사상의역사가운데서도그논의가가장활발했을뿐만아니라우리사회의현재와밀접한관련이있는서구의근대에주목했다.근대는단순한고대-중세-근대-현대라는시대구분이상의의미를가진다.자유,평등등의가치가현실에서제도로써구체적으로실현되기시작한것도,산업혁명의동력과맞물려눈부신경제성장을일궈낸것도근대다.현재우리가누리고있는많은제도와문물등이근대에서태동했다.한국의근대화는서양의근대화를본보기로삼아왔다.이런면에서서양근대의변화를이끌어낸원동력인정치사상의흐름을읽는것은분명의미있는일이다.
3.한국정치사상학계의새로운해석
지금까지서양정치사상사에대한입문서로서국내에널리알려진책은세이빈GeorgeSabine과솔슨ThomasThorson이펴낸책과스트라우스LeoStrauss와크랍시JosephCropsey가편집한책을우리말로옮긴《정치사상사1∼2》,《서양정치철학사1~3》이다.두저작은서양의유명한정치철학자나사상가를거의망라하여소개해정치사상의흐름을한눈에읽을수있다는장점이있지만20~40년전의저술로최근의연구성과를담아내지못하고있으며다소편향된시각을반영하고있다.
이책은정치사상의황금기라할수있는근대의서양지성을대표하는사상가21명을다루고있다.이책의장점은여러사상가들의핵심사유를한권에담아내면서도그동안한국에서는잘알려지지않았던인물을다루거나자주소개되었던인물이라하더라도기존과는다른시각에서분석하는등한국정치사상학계의새로운해석들을반영하고있다는것이다.
일례로,이책은메디치가의왕정이복원되면서피렌체공화정에서물러나야했던마키아벨리를현실정치에서의좌절을딛고불후의고전을탄생시킨동양의사마천,정약용과비교하는가하면,그동안국내에서제대로소개되지않았던보수주의의원조버크를자세히다룬다.주로종교와철학적인측면에서다뤄졌던루터와스피노자사상의정치적인측면에주목해그의미를살피며,니체철학을마르크스사상과비교하면서정치적의미와한계를짚어낸점도독특하다.토크빌이자유민주주의의결함을찾고그것을해결하려했으며,이제까지부르주아계급을옹호한인물로간주되었던기조가자유주의사상을확대하면서대의제개념을보다정교하게다듬었다는새로운평가를내리는등이책은사상가의사유를알기쉽게소개하는데서더나아가그에대한독자적인시각을보여주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