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으로 본 한국 고대사 : 우리 역사 이야기

어원으로 본 한국 고대사 : 우리 역사 이야기

$26.80
저자

정진명

저자:정진명
이책의지은이정진명은1960년충남아산에서태어나중고등국어교사로40여년재직하였다.일찍이활쏘기,전통의학등에깊은관심을갖고,활쏘기분야최초로국궁안내서등을쓴바있으며,인류가풀어야할숙원인건강에대해누구나올바른정보를알기쉽게배울수있는침뜸학에관한책과동양의학안내서여러권을펴냈다.또한청소년들을위해우리생활속에깃든철학의문제들,시창작/감상방법,그리고시집등을펴냈다.현재는역사언어학에깊은관심을가지고연구·집필하고있다.
저서로『우리활이야기』,『한국의활쏘기(개정증보판)』,『활쏘기의지름길』,『이야기활풍속사』,『활쏘기의나침반』,『우리침뜸이야기』,『우리침뜸의원리와응용』,『우주변화와한의학』,『황제내경소문』,『고려침경영추』,『한국의붓_우리붓이야기』,『청소년을위한우리철학이야기』,『좋은시의비밀』,『우리시이야기』등과시집으로『활에게길을묻다』,『정신의뼈』,『노자의지팡이』,『용설』,『회인에서속리를보다』,『과녁을잊다』등이있다.

목차


0장_들어가는말
01.첫단추생각
활쏘기와‘나’
역사해석의논리성
국사교육의참혹한결과‘국민’
02.창해군과역사학
03.한국역사학의첫단추

1장_『사기』다시읽기
01.언어학과역사학
02.상고사의첫걸음『사기』
03.패수
한국사학계의패수논란
『사기』의패수
진개와고조선
고대중국인의거리개념
『사기』의패수는요동에있다
04.위만조선의위치논란
위만조선이있던자리
발해와패수에숨은말버릇
물줄기에관한말버릇
05.고조선이망한뒤
06.흉노와조선의관계
고조선의직책명
통치구조의공통성
조선의통치구조
삼한의소도
07.단군과무당
소도의무당
무당의낮일
무당의밤일
무당과박달
백이숙제고사의속뜻

08.기자조선
중국기록의조선
조선의실세
09.기자동래설문제
몽골어와부리야트방언
기자동래설의실체
단군조선과기자조선의차이
10.단군조선과진국
단군의어원
단군의이동과진국
진국의어원
진국의정체
‘위만’의어원

2장_상고사다시보기

01.동북아시아의특수성
생각뒤집기
동북아의지형과문화
중국지형의특성
02.만리장성과요동
진나라의영역
진나라때의요동
요동에얽힌논점
동북공정과역사왜곡
갈석과요동
03.요동문제
연나라와전국칠웅
중원과만리장성
중원의중심
중국과조선사이기자
인식의확대와요동의확장
요동의위치
요동통치의실상
요동다시보기
유학자들의역사의식
요동의정확한위치
언어가말해주는요동
식민사학과종교사학사이에서

04.단군과거서간
고조선과흉노는쌍둥이
흉노의어원
흉노사회의구조와성격
고조선의사회구조
진국과진한
05.고조선의참모습

3장_고대국가의언어

01.고조선
단군신화와어원학
단군신화와숫자의속뜻
대체불가‘단군’
편협한신의후유증
삼한다시보기
고죽국과백이숙제
열국의이동시기
난하’의어원
02.고구려
건국신화
고구려의사회구조
고구려의언어
고구려의기원
고구려건국신화와관련한새로운이야기
고구려와대방군
03.백제
백제의건국신화1
백제의건국신화2
04.신라
신라의독특한위상
신라의건국신화
신라왕의호칭
석탈해와김알지
삼국의건국시기논란
요동의신라
초기신라와후기신라의변화
진한6촌과신라6부
진한6촌과신라6부의짜임
당나라와신라는지배층이한통속
석탈해와신라

05.가야
가야의어원
금관가야
아라가야
고령대가야
고령가야
소가야
성산가야
드라비다어의자취
가야의또다른얼굴,‘왜’

4장_역사와언어학

01.역사와언어
02.우리역사의범주
03.한국사의강역
04.요동과우리역사
05.역사의지분

맺음말

출판사 서평

들어가는말

우리역사이야기를시작합니다.‘우리역사’라고한것은,우리역사인듯하지만,우리역사가아닌것과구분하려는까닭입니다.한국고대사에관한자료는중국의기록에많이남았고,또그들의언어인한문으로적혔습니다.이말은,우리조상들의모습이중국의거울에비친결과로우리에게남았다는뜻이고,중국인의눈에비친우리모습에서그들의시각을걷어내고우리본래의시각으로보아야함을뜻합니다.게다가중국인들이우리를호의로본게아니라오랑캐의시각으로봤다면더더욱신중하게그들의기록에서그들의편견을걷어내고우리의진면목眞面目을살펴보려고해야합니다.

하지만오늘날우리가배우는우리국사는중국인들의오랑캐라는시각으로묘사된내용에다가일본제국주의가씌운색안경으로덧칠되었습니다.역사가시작된이래두겹의삐딱한시각이우리의옛모습을일그러진거울처럼왜곡시켰습니다.특히한국의상고사는자료가적어서보는사람의눈이다른그어느시대의자료보다훨씬더중요한결과를낳고,시각에따라서전혀상반된결론에다다르기도합니다.그래서어찌보면남은자료보다그것을보는사람의눈이더중요한시대입니다.

이책에서는지금까지우리가교과서에서배운상고사가제대로파악된것인가하는의문을중심으로풀어갈것입니다.특히지금까지제한된자료를해석하는방법론이다나온마당에더는새로울것없을것같은상고사를‘언어학(국어학)’이라는시각으로비추어보려고합니다.그러면언어에남은우리겨레의의식이우리를또다른세계로안내해줄지도모릅니다.좋은결과가있기를기대하면서언어를통해우리의상고사를파헤쳐보려는이시도를,떫은마음이아니라다독이는마음으로읽어주시기를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