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헌법 제1조 성립의 역사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헌법 제1조 성립의 역사

$18.00
Description
제헌헌법 제1조 대한민국 민주공화국의 의미를 되새겨본다!
제헌헌법에 담긴 건국정신을 찾고 있는『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이 책은 구한말 서구의 정치제도의 소개로 한국의 지식인들 사이에 알려지기 시작한 입헌정치와 민주주의가 망국亡國과 일제강점기, 해방을 거쳐 어떻게 제헌헌법을 통해 결실을 맺게 되는지 그 역사적 과정을 담고 있다. 제헌헌법 제1조를 화두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의 형성 과정을 탐색하고 독자들에게 근대 한국인들의 국가 구상은 물론 한국의 독립운동사와 헌정사가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함께 살펴볼 수 있다.

전체 5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서양 정치사상의 수용과 입헌군주제의 모색과정, 민주공화제의 수용과 임시정부의 수립, 독립운동 진영의 통일과 건국 준비, 해방 이후 통일정부 수립의 좌절된 과정과 1948년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의 기본가치와 기본이념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는 최근 한국사회에 논란이 되고 있는 제헌헌법의 기본이념을 둘러싼 논쟁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는데 제헌헌법이 정치적 측면에서 자유민주주의적 요소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사회민주주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보며 제헌헌법의 자유와 평등, 가치의 조화를 어떻게 이끌어내는지 살펴본다.
저자는 제헌헌법 1조는 대한민국의 정체를 규정하는 선언이자 이 조문이 헌법에 명문화되는 과정이 곧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 성립되는 과정이라 말하며 민주광화국의 본질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형성 과정을 통해 민주공화국이 갖는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다.

저자

박찬승

저자박찬승은서울대학교국사학과와동대학원을졸업했다.목포대학교와충남대학교교수를거쳐현재한양대학교사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미국하버드대학교한국학연구소와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에서연구원?으로있었다.역사문화학회회장,한국사회사학회회장,한양대학교동아시아문화연구소소장을역임했다.현재한국구술사학회회장을맡고있으며,『KoreaJournal』공동편집장,역사문화학회편집위원등으로활동하고있다.
저서로는『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1992),『한국의역사가와역사학』(편저,1994),『민족주의의시대―일제하의한국민족주의』(2007),『근대이행기민중운동의사회사』(2008),『언론운동』(한국독립운동의역사33,2009),『한국근현대사를읽는다』(편저,2010),『민족ㆍ민족주의』(한국개념사총서5,2010)가있으며,『마을로간한국전쟁』(2010)으로제51회한국출판문화상저술상과제24회단재상을수상했다.그밖에도다수의논문을발표했다.

목차

목차
책을내면서
머리말
제1장서양정치사상의수용과입헌군주제의모색
1.서양의정치제도를처음접하다
2.개화파,‘군민공치’의길을모색하다
3.독립협회,의회개설운동을전개하다
4.입헌군주제운동,시기를놓치다
제2장민주공화제의수용과임시정부의수립
1.국망전후,공화제임시정부구상이싹트다
2.신해혁명과함께공화주의의파도가밀려오다
3.3ㆍ1운동으로공화제임시정부를선언하다
4.민주공화제의대한민국임시정부를세우다
제3장독립운동진영의통일모색과건국준비
1.국외독립운동진영,정당을조직하기시작하다
2.대독립당(민족혁명당)을결성하다
3.민족주의좌우파정당,통일을모색하다
4.민족주의좌우파,임정깃발아래결집하다
5.임시정부,건국의밑그림을그리다
6.사회주의진영,인민공화국등을모색하다
제4장해방과통일정부수립의좌절
1.해방과함께건준·인민공화국이등장하다
2.신탁통치문제로좌우세력이대립하다
3.좌우파,서로다른헌법을구상하다
4.분단정부수립의길로들어서다
제5장민주공화국대한민국헌법의제정
1.제헌헌법,임시정부계승을표방하다
2.제헌헌법,‘자유롭고균등한사회’를지향하다
맺음말
주(註)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출판사서평
제헌헌법1조를화두로민주공화국대한민국형성과정탐색
“대한민국은민주공화국이다.”대한민국의정체를밝힌우리헌법의첫문장을모르는한국인은거의없을것이다.그러나이조문이어떤역사적과정을거쳐우리헌법에들어오게되었는지,그리고이조항이담고있는민주공화국의본질이무엇인지에대해서는잘알려져있지않다.
제헌절65주년을앞두고제헌헌법제1조“대한민국은민주공화국이다”라는조문이명문화되기까지의우리역사를조명한책이출간되었다.이책의저자는『마을로간한국전쟁』으로한국전쟁의미...
제헌헌법1조를화두로민주공화국대한민국형성과정탐색
“대한민국은민주공화국이다.”대한민국의정체를밝힌우리헌법의첫문장을모르는한국인은거의없을것이다.그러나이조문이어떤역사적과정을거쳐우리헌법에들어오게되었는지,그리고이조항이담고있는민주공화국의본질이무엇인지에대해서는잘알려져있지않다.
제헌절65주년을앞두고제헌헌법제1조“대한민국은민주공화국이다”라는조문이명문화되기까지의우리역사를조명한책이출간되었다.이책의저자는『마을로간한국전쟁』으로한국전쟁의미시사를제시한중견역사학자박찬승교수이다.저자는“20세기초까지만해도한국은군주국의나라였고,대한제국은전제군주국을표방하기도했다”면서“대한제국이무너진지불과9년만에대한민국임시정부가민주공화국을표방하면서출범”하고“1948년수립된대한민국정부가이를이어받아민주공화국을표방”한것은거의기적에가까운일이었다고주장한다.그리고어떻게이런일이가능할수있었는지그답을찾기위해책을쓰게되었다고집필동기를밝힌다.
저자가제헌헌법제1조에주목하는이유는무엇일까.그것은이조문이대한민국의정체政體를규정하는선언인동시에,이조문이헌법에명문화되는과정이곧민주공화국대한민국이성립되는과정을축약해서보여주기때문이다.
이책은구한말서구의정치제도의소개로한국의지식인들사이에알려지기시작한입헌정치와민주주의가망국亡國과일제강점기,해방을거쳐어떻게제헌헌법을통해결실을맺게되는지그역사적과정을담고있다.이를위해저자는구한말국내에번역·수입된외국문헌,옛신문,독립운동단체들의당강·당책등을두루살피며‘민주공화국대한민국’의기원을더듬는다.또구한말부터대한제국전후시기까지국내지식인들이어떻게‘공화국’에대한초기인식을갖게되었는지,또임시정부수립후좌우지도자들이해방이후어떤나라를꿈꿨는지에대한첨예한논쟁과갈등을기록한다.그런점에서이책은독자들에게근대한국인들의국가구상은물론한국의독립운동사와헌정사가어떻게맞물려있는지를함께살펴볼수있도록한다.
특히이책에는최근한국사회에논란이되고있는제헌헌법의기본이념을둘러싼논쟁에대해저자가나름의입장을밝히고있어주목된다.제헌헌법의기초작업을했던인물들의증언과그조항의내용들을전체적으로봤을때,일각의주장처럼제헌헌법이고전적자유민주주의를그대로채택했다고는보기힘들다는게저자의생각이다.정치적측면에서는자유민주주의적요소를,사회경제적측면에서는사회민주주의적요소를포함하고있었다는것.또한저자는제헌헌법에담긴자유와평등의서로충돌되는가치를제헌의원들이어떻게조화로이끌어내려고했는지살펴보고있으며,이를통해제헌헌법의건국정신을찾으려고시도한다.이처럼이책은제헌헌법제1조를화두로민주공화국대한민국의형성과정을탐색하고있으며,오랫동안우리가잊고있던민주공화국의가치를오늘날다시금되새겨볼수있도록성찰의기회를제공한다.
총5장으로구성된이책은,제1장에서19세기후반조선의지식인들이서양의정치사상을접하면서입헌군주제를모색하던과정에대해알아본다.제2장에서는3·1운동이후세워진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민주공화제’를채택하고이를발전시켜나가게된경과를살펴본다.제3장에서는1930년대중국관내독립운동진영을중심으로조직된각정당들의이념과활동,그리고종전을앞둔시기에임시정부에서만든‘건국강령’에대해알아본다.제4장에서는해방이후신탁통치문제를둘러싼좌우대립과미소공위의결렬과정,남북한에분단정부가들어서게되는과정에대해살펴본다.제5장에서는1948년‘민주공화국’대한민국정부수립과정에서만들어진제헌헌법에반영된기본가치와기본이념에대해검토한다.결론적으로제헌의원들은제헌헌법을통해어떤나라를만들고자했는지를정리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