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기후위기를 야기한 지금까지의 방식으로는 현재의 기후재난을 극복할 수 없다!
12년 만에 우리 사회에 다시 소환된 기후·생태문제의 발본적 해결책
12년 만에 우리 사회에 다시 소환된 기후·생태문제의 발본적 해결책
“20세기를 경과해온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은
오늘 우리가 검토해보아야 할 중요한 쟁점을 제공하는
철학적 노선이며 정치적 입장이다.”
- 정치학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
지금 우리는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기후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제는 기후‘위기’를 넘어 기후‘붕괴’가 시작되었고, 기후‘재난’은 지구의 일상이 되었으며, 인간에게 남은 일은 이 붕괴를 멈추고 위기를 이겨내는 것이 아니라 재난에 적응해 살아남는 것이라는 암담한 전망도 들려온다. 이에 여러 국제기구와 ‘중심부’ 국가는 탄소중립, 그린뉴딜, 지속 가능 발전 목표(SDGs) 등의 대응책을 내놓았고, 기업 또한 RE100 캠페인, ESG경영 등을 실천하겠다고 천명했다. 시민들은 정부의 정책과 권고에 따라 일상 속에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분리배출 철저히 하기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전 지구적 총력전을 벌인 지도 몇 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그다지 나아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매 여름마다 살인적인 폭염 기록은 새롭게 갱신되고, 탄소중립이라는 목표가 무색하게도 지난 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은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기업들은 생산방식은 그대로 둔 채 에코백과 텀블러 등 ‘친환경 굿즈’만 양산하며, 얼마 전 정부는 신규 택지 개발을 위해 서울의 그린벨트를 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후쿠시마의 원전 오염수는 수많은 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바다에 방류되고 있다. ‘기후위기에 대응할 기회를 가진 마지막 세대’라는 우리는 이 시점에서 다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지금껏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어도 변화가 지지부진했다면 이제는 완전히 다른 걸 시도해야 한다. 기후·생태위기에 근본적인 돌파구가 되어줄 머레이 북친의 사상을 지금 한국에 다시 불러온 이유다.
미국 생태운동의 선구자인 북친은 ‘녹색 자본주의’같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의 ‘친환경’ 조치들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는 없다고 본다. 또 사회와 정치 체제에 대한 개입 없이 개인들의 일상적 실천만으로 생태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에 대해서도 반대를 표한다. 그는 우리가 직면한 기후·생태위기의 본질을 직시하기를 요구하는데, 그것은 바로 인간이 다른 존재와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문제다. 북친은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통해 자연을 향한 인간의 지배와 착취는 근본적으로 인간들 사이의 위계구조에서 기인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기후·생태문제의 해결은 이 위계구조가 사라져야만 가능하며, 그를 위해서는 지금의 정치체제를 바꾸어 중앙화된 국가나 자본의 권력을 시민들이 나눠서 지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처럼 도발적이고 발본적인 북친의 사상이 담긴 글 네 편을 엮었다. 이 책은 2012년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란 제목으로 국내에 출간돼 우리 사회의 생태주의 논의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온 바 있다. 이를 그 후 12년 만에 복간하며 번역상의 일부 오류를 바로잡고 옮긴이의 주석을 추가해 설명력을 더했으며, 정치학자이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의 ‘추천의 글’을 덧붙여 현재 기후·생태운동 담론에서 북친의 사상이 지닌 의미를 논하고자 했다. 기후재난의 시대에 현재적으로 다시 읽는 머레이 북친은 교착 상태에 빠진 지금의 기후 대응에 꼭 필요한 논점과 영감을 전달해줄 것이다.
오늘 우리가 검토해보아야 할 중요한 쟁점을 제공하는
철학적 노선이며 정치적 입장이다.”
- 정치학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
지금 우리는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기후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제는 기후‘위기’를 넘어 기후‘붕괴’가 시작되었고, 기후‘재난’은 지구의 일상이 되었으며, 인간에게 남은 일은 이 붕괴를 멈추고 위기를 이겨내는 것이 아니라 재난에 적응해 살아남는 것이라는 암담한 전망도 들려온다. 이에 여러 국제기구와 ‘중심부’ 국가는 탄소중립, 그린뉴딜, 지속 가능 발전 목표(SDGs) 등의 대응책을 내놓았고, 기업 또한 RE100 캠페인, ESG경영 등을 실천하겠다고 천명했다. 시민들은 정부의 정책과 권고에 따라 일상 속에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분리배출 철저히 하기 등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전 지구적 총력전을 벌인 지도 몇 년이 지났지만 상황은 그다지 나아지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매 여름마다 살인적인 폭염 기록은 새롭게 갱신되고, 탄소중립이라는 목표가 무색하게도 지난 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은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기업들은 생산방식은 그대로 둔 채 에코백과 텀블러 등 ‘친환경 굿즈’만 양산하며, 얼마 전 정부는 신규 택지 개발을 위해 서울의 그린벨트를 해제하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후쿠시마의 원전 오염수는 수많은 이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바다에 방류되고 있다. ‘기후위기에 대응할 기회를 가진 마지막 세대’라는 우리는 이 시점에서 다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지금껏 다양한 방법을 시도했어도 변화가 지지부진했다면 이제는 완전히 다른 걸 시도해야 한다. 기후·생태위기에 근본적인 돌파구가 되어줄 머레이 북친의 사상을 지금 한국에 다시 불러온 이유다.
미국 생태운동의 선구자인 북친은 ‘녹색 자본주의’같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그 안에서의 ‘친환경’ 조치들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는 없다고 본다. 또 사회와 정치 체제에 대한 개입 없이 개인들의 일상적 실천만으로 생태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식에 대해서도 반대를 표한다. 그는 우리가 직면한 기후·생태위기의 본질을 직시하기를 요구하는데, 그것은 바로 인간이 다른 존재와 관계 맺는 방식에 관한 문제다. 북친은 ‘사회적 생태론’이라는 독자적인 이론을 통해 자연을 향한 인간의 지배와 착취는 근본적으로 인간들 사이의 위계구조에서 기인한다고 논한다. 따라서 기후·생태문제의 해결은 이 위계구조가 사라져야만 가능하며, 그를 위해서는 지금의 정치체제를 바꾸어 중앙화된 국가나 자본의 권력을 시민들이 나눠서 지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이처럼 도발적이고 발본적인 북친의 사상이 담긴 글 네 편을 엮었다. 이 책은 2012년 《머레이 북친의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란 제목으로 국내에 출간돼 우리 사회의 생태주의 논의에 새로운 활력을 가져온 바 있다. 이를 그 후 12년 만에 복간하며 번역상의 일부 오류를 바로잡고 옮긴이의 주석을 추가해 설명력을 더했으며, 정치학자이자 기후정의운동 활동가 채효정의 ‘추천의 글’을 덧붙여 현재 기후·생태운동 담론에서 북친의 사상이 지닌 의미를 논하고자 했다. 기후재난의 시대에 현재적으로 다시 읽는 머레이 북친은 교착 상태에 빠진 지금의 기후 대응에 꼭 필요한 논점과 영감을 전달해줄 것이다.
착취 없는 세계를 위한 생태정치학 : 사회적 생태론과 코뮌주의 선언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