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두려울 때, 고민이 될 때, 의문이 들 때,
중년의 인생 굽잇길에서 단단하게 중심을 잡아줄 한 권의 책
주어진 인생길을 충실히 살아가다보면 가끔씩 만나게 되는 굽잇길이 있다. 직장 내에서 사람들을 이끌어야 할 때, 더 어린 사회 초년생들을 대하기 막막할 때, 리더로서 내 선택이 옳은지 의심이 들 때, 부모로서 자녀에게 어떤 모습을 보여야 할지 고민이 될 때, 내가 잘 행동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삶의 태도를 지녀야 할지 의문이 들 때가 그렇다. 그럴 때 내 불분명한 마음을 돌아보고, 내 삶의 중심을 잡아줄 책이 여기 있다.
《흔들리는 삶의 중심을 잡아라》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논어》의 구절을 통해 각 부에서는 ‘사람을 대하는 어른의 모습’ ‘언행을 대하는 태도’ ‘감정을 다루는 법’ ‘음식, 돈 등 삶을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이야기한다. 인간관계 속에서 힘이 들 때 그 사람을 알 수 있는 법, 말과 행동에 있어서 지녀야 할 태도, 진짜 근심해야 할 것, 음식ㆍ재물 등 삶을 이루는 요소를 대하는 태도를 알아보면서 내 삶의 궤적을 돌아보고 더 훌륭한 품격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다.
또한 《논어》의 원문과 함께 타인을 통해 나를 느끼고, 나를 통해 타인을 느끼는 질문지를 담은 〈생각해보기〉 코너를 마련했다.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을 통해 지금의 자신을 점검해보면 불분명하던 상이 명확해지고 자신을 재정비할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논어》가 들려주는 고전의 처세
여전히 생생하고, 여전히 유효하다!
고전은 하나의 정답만 가지고 있지 않다. 구절의 단순한 해석에 그치지 않고 관점을 통해 나에게 적용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고전은 비로소 나에게서 살아난다. 해석은 유사할 수는 있지만 어떻게 고전을 받아들일지는 나의 몫이다. 새롭게 출간된 《흔들리는 삶의 중심을 잡아라》는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인의 생각과 행동의 지침이었던 유학의 대표 경전 《논어》를 통해 “어른다운 어른은 어떤 모습일까” “우리 사회에 어른은 있는가?” “나는 어른다운 어른인가?” 하는 물음에서 출발하여 고전에서 보이는 삶을 대하는 어른다운 태도를 현재에 녹여 비춰보는 책이다.
저자는 고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문학 강의: 동양 고전 읽기’ 특강을 오랜 시간 진행했다. 한문으로 된 고전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학부모들은 오후 늦은 시간에도 강의를 찾는 뜨거운 열정을 보였다. 고전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려는 사람들의 의지를 확인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에 인간다운 삶, 어른다운 어른이 되고자 하는 열망을 뒷받침하고 논의하는 토대가 약하구나’ 하는 부끄러움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저자는 ‘고전을 통해 경영 혹은 성공의 지침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자신의 인간다움, 어른다움을 돌아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논어》의 구절을 솎게 됐다.
《논어》의 각 구절은 특정한 ‘시간-공간-사건(사람)’의 맥락 위에 있다. 그 구절들을 ‘지금-이곳-나’에 대입하여 읽어보자. 구절을 통해 ‘나’와 타인을 느끼고 이를 통해 나를 되돌아보고 살펴볼 수 있지 않을까? 《논어》의 구절을 통해 우리 삶에 대입해보고 어른다운 모습으로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지 그 방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자의 말로 되돌아보는
“어른다운 어른이란 무엇일까?”
어른다운 어른은 아무나 되기 어렵다. 누구나 생물학적ㆍ법적으로 어른이 되지만 인격을 갖추고 타인의 모범을 보이는 ‘어른다운 어른’이 되기란 쉽지 않다. 사람을 대할 때, 언행을 다룰 때, 감정을 조절할 때 또 삶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 ‘어른’은 어떤 모습을 보일까?
먼저 내가 대하는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보고 살피고 지켜본다(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 그 다음 그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상황에 맞춰 그 사람을 지혜롭게 이끈다(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거직조저왕 능사왕자직). 어른다운 어른은 또 상황에 맞춰 언행에 있어 엄격하거나 겸손한 태도를 갖추고(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遜 방유도 위언위행 방무도 위행언손), 의혹과 근심과 두려움의 근본적 원인을 찾아 해결하며(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지자불혹 인자불우 용자불우), 벗을 대하는 한결같은 태도(歲寒然後 知松柏之後彫也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를 보인다. 인仁을 해치면서까지 부귀를 탐하지도 말고, 빈천을 피하지도 않는다(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 得之 不處也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 得之 不去也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 득지 불처야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 득지 불거야). 이것이 이 책에서 말하는 어른다운 사람의 모습이다. “나는 이 모습들을 실천하고 있을까?” “나와 관계를 맺는 그 사람은 어떠한가?” “나는 그 사람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스스로 한번 질문을 던져보자.
독자들은 이와 같은 총 59개의 구절을 통해 삶을 대하는 멋진 군자의 덕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기본을 점검하고 내가 스스로 삶의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도와줄 뿐 아니라 앞으로의 시간을 갈고 닦아 더 큰 도약을 할 발판이 되어줄 것이다.
중년의 인생 굽잇길에서 단단하게 중심을 잡아줄 한 권의 책
주어진 인생길을 충실히 살아가다보면 가끔씩 만나게 되는 굽잇길이 있다. 직장 내에서 사람들을 이끌어야 할 때, 더 어린 사회 초년생들을 대하기 막막할 때, 리더로서 내 선택이 옳은지 의심이 들 때, 부모로서 자녀에게 어떤 모습을 보여야 할지 고민이 될 때, 내가 잘 행동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삶의 태도를 지녀야 할지 의문이 들 때가 그렇다. 그럴 때 내 불분명한 마음을 돌아보고, 내 삶의 중심을 잡아줄 책이 여기 있다.
《흔들리는 삶의 중심을 잡아라》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논어》의 구절을 통해 각 부에서는 ‘사람을 대하는 어른의 모습’ ‘언행을 대하는 태도’ ‘감정을 다루는 법’ ‘음식, 돈 등 삶을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이야기한다. 인간관계 속에서 힘이 들 때 그 사람을 알 수 있는 법, 말과 행동에 있어서 지녀야 할 태도, 진짜 근심해야 할 것, 음식ㆍ재물 등 삶을 이루는 요소를 대하는 태도를 알아보면서 내 삶의 궤적을 돌아보고 더 훌륭한 품격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을 다시 한번 배울 수 있다.
또한 《논어》의 원문과 함께 타인을 통해 나를 느끼고, 나를 통해 타인을 느끼는 질문지를 담은 〈생각해보기〉 코너를 마련했다.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을 통해 지금의 자신을 점검해보면 불분명하던 상이 명확해지고 자신을 재정비할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논어》가 들려주는 고전의 처세
여전히 생생하고, 여전히 유효하다!
고전은 하나의 정답만 가지고 있지 않다. 구절의 단순한 해석에 그치지 않고 관점을 통해 나에게 적용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고전은 비로소 나에게서 살아난다. 해석은 유사할 수는 있지만 어떻게 고전을 받아들일지는 나의 몫이다. 새롭게 출간된 《흔들리는 삶의 중심을 잡아라》는 수천 년 동안 동아시아인의 생각과 행동의 지침이었던 유학의 대표 경전 《논어》를 통해 “어른다운 어른은 어떤 모습일까” “우리 사회에 어른은 있는가?” “나는 어른다운 어른인가?” 하는 물음에서 출발하여 고전에서 보이는 삶을 대하는 어른다운 태도를 현재에 녹여 비춰보는 책이다.
저자는 고등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문학 강의: 동양 고전 읽기’ 특강을 오랜 시간 진행했다. 한문으로 된 고전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학부모들은 오후 늦은 시간에도 강의를 찾는 뜨거운 열정을 보였다. 고전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려는 사람들의 의지를 확인하는 동시에, ‘우리 사회에 인간다운 삶, 어른다운 어른이 되고자 하는 열망을 뒷받침하고 논의하는 토대가 약하구나’ 하는 부끄러움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저자는 ‘고전을 통해 경영 혹은 성공의 지침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는 자신의 인간다움, 어른다움을 돌아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논어》의 구절을 솎게 됐다.
《논어》의 각 구절은 특정한 ‘시간-공간-사건(사람)’의 맥락 위에 있다. 그 구절들을 ‘지금-이곳-나’에 대입하여 읽어보자. 구절을 통해 ‘나’와 타인을 느끼고 이를 통해 나를 되돌아보고 살펴볼 수 있지 않을까? 《논어》의 구절을 통해 우리 삶에 대입해보고 어른다운 모습으로 어떻게 살아가면 좋을지 그 방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공자의 말로 되돌아보는
“어른다운 어른이란 무엇일까?”
어른다운 어른은 아무나 되기 어렵다. 누구나 생물학적ㆍ법적으로 어른이 되지만 인격을 갖추고 타인의 모범을 보이는 ‘어른다운 어른’이 되기란 쉽지 않다. 사람을 대할 때, 언행을 다룰 때, 감정을 조절할 때 또 삶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 ‘어른’은 어떤 모습을 보일까?
먼저 내가 대하는 그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보고 살피고 지켜본다(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 그 다음 그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상황에 맞춰 그 사람을 지혜롭게 이끈다(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거직조저왕 능사왕자직). 어른다운 어른은 또 상황에 맞춰 언행에 있어 엄격하거나 겸손한 태도를 갖추고(邦有道 危言危行 邦無道 危行言遜 방유도 위언위행 방무도 위행언손), 의혹과 근심과 두려움의 근본적 원인을 찾아 해결하며(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지자불혹 인자불우 용자불우), 벗을 대하는 한결같은 태도(歲寒然後 知松柏之後彫也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를 보인다. 인仁을 해치면서까지 부귀를 탐하지도 말고, 빈천을 피하지도 않는다(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 得之 不處也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 得之 不去也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 득지 불처야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 득지 불거야). 이것이 이 책에서 말하는 어른다운 사람의 모습이다. “나는 이 모습들을 실천하고 있을까?” “나와 관계를 맺는 그 사람은 어떠한가?” “나는 그 사람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질까?” 스스로 한번 질문을 던져보자.
독자들은 이와 같은 총 59개의 구절을 통해 삶을 대하는 멋진 군자의 덕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책은 기본을 점검하고 내가 스스로 삶의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도와줄 뿐 아니라 앞으로의 시간을 갈고 닦아 더 큰 도약을 할 발판이 되어줄 것이다.
흔들리는 삶의 중심을 잡아라 : 어른의 태도를 점검하는 <논어>의 말들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