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경학 연구와 현대경학 - 유교문화연구총서 29 (양장)

전통적 경학 연구와 현대경학 - 유교문화연구총서 29 (양장)

$26.00
Description
이 책은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의 “경학방법론 연구총서” 3부작 중 첫 번째 권으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 하에 2021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비판유학 ㆍ 현대경학 연구센터”의 프로젝트 성과이다. 이 프로젝트는 유학이라는 학문이 현대사회의 현실적 문제들과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유학의 생명력을 어떻게 부활시킬 것인지를 자문하고, 그 해결의 핵심을 경학 연구 방법에서 모색하고 있으며, 유학의 중심을 이루는 경전 텍스트를 깊이 탐구하면서도, 이를 현대적 제문제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대안으로서 재생시키는 방법을 찾는 데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가적 이상에 기반한 “겸손”과 같은 자기 수양 덕목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사회에서 “조화”와 같은 공적 가치를 확보할 수 있는 정치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그 일환이자 출발점으로서의 “경학방법론 연구총서”는 “현대경학”이라는 푯말 아래 진행되고 있는 노력의 중간 결과물이다.

「전통적 경학 연구와 현대경학」은 경학사를 거시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역사적 과정 속에서 서로 다른 관점이 경합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또한 심성론, 경세론, 우주론 등을 중심으로 전개된 경학의 다양한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재 학계에서의 경학 연구의 주요 경향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김도일,배제성,최석기,엄연석,김동민,이영호,송재윤,강경현,윤석호,이행훈

저자:김도일金渡鎰

서울대학교철학과를졸업하고,캐나다토론토대학교철학과에서순자의윤리사상과도덕심리에대한논문으로철학박사학위를받았다.현재성균관대학교유학대학부교수로서,유교문화연구소장,비판유학현대경학연구센터장(한국연구재단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유학동양한국철학과4단계두뇌한국21교육연구단장(교육부지원사업)을맡고있다.주요연구분야는동양철학,윤리학,그리고도덕심리학이다.



저자:배제성裵帝晟

세종대학교교육학과를졸업하고,세종대학교대학원에서석사(교육학과),성균관대학교대학원에서박사(동양철학과)학위를취득했다.현재성균관대학교유교문화연구소선임연구원이다.주요연구분야는조선성리학이다.



저자:최석기崔錫起

성균관대학교에서학사(한문학),석사(한문학),박사(한국경학)학위를취득하였다.경상국립대학교한문학과에서근무했으며,현재동대학교명예교수이다.주요연구분야는한국경학이다.



저자:엄연석嚴連錫

서울대철학과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현재한림대태동고전연구소교수및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수석부회장으로활동하고있다.저서에<조선전기역철학사>(2014),<조선전기경학사상총론>(2022)이있고,<황윤석의이수신편에나타난이수역학의문화다원론적독해>(2023)외에다수의논문이있다.



저자:김동민金東敏

성균관대학교에서학사(동양철학),석사(동양철학),박사(중국철학)학위를취득하였다.한밭대학교에서조교수로근무했으며,현재성균관대학교유학대학유학동양학과부교수및유학대학장으로재직하고있다.주요연구분야는경학,춘추학이다.



저자:이영호

성균관대학교에서문학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현재성균관대동아시아학술원교수이며,한국경학학회회장이다.동아시아논어학에관한연구를진행하여<동아시아의논어학>(저서),<논어,천년의만남>(역서)등을출간하였다.지금은동아시아유불교섭에관한연구를진행중이며,이와관련된저역서를구상하고있다.



저자:송재윤宋在倫

미국하버드대학교에서박사학위를받았고,캐나다맥매스터대학교역사학과에서동아시아역사,중국철학및사상사를가르치고있다.현재현대중국의헌정논쟁사를정리하고있다.



저자:강경현姜卿顯

연세대학교에서학사(철학전공),석사(철학과),박사(철학과)학위를취득하였다.강원대학교사범대학윤리교육과조교수를역임했으며,현재성균관대학교유학대학유학동양학과조교수로재직하고있다.주요연구분야는조선성리학과경학이다.



저자:윤석호尹錫皓

연세대학교사학과학사,석사,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연세대학교국학연구원강진다산실학연구원연구교수와성균관대학교유교문화연구소선임연구원을역임했으며,현재부산대학교사학과조교수로재직하고있다.주요연구분야는조선후기사이다.



저자:이행훈李幸勳

성균관대학교대학원에서철학박사학위를취득하고,현재한림대학교도헌학술원한림과학원HK교수로재직중이다.주요논저로<학문의고고학>,<1920년대‘도덕’의의미망과개념의재구축>,<일제강점기종교담론의유형과전개>등이있으며,한국근대철학과한국개념사분야연구를진행중이다.

목차

서문_전통적경학연구와현대경학_김도일,배제성

제1장한국경학연구의회고와향방―경학연구방법의모색을겸하여_최석기
1.들어가며
2.경학의연구분야및개념·범주의문제
3.한국경학연구의회고
4.한국경학연구의문제점과향방
5.한국경학의연구시각

제2장조선초기경학사상의문화다원론적특징―미시적접근과거시적접근을중심으로_엄연석
1.서론
2.조선초기경학사상의배경과경세론적특성
3.조선초기경학사상에대한미시적해석:리기개념에내포된보편성과특수성
4.조선초기경학사상에대한거시적해석:경세론과제도론으로연역
5.맺음말

제3장경학금고문논쟁의경학사적의미―공양학과좌씨학의대립을중심으로_김동민
1.서론
2.학관學官과금고문경학의성립
3.금고문의학문독자성과경학의생명력
4.결론

제4장퇴계학退溪學혹은학퇴계學退溪의사이_이영호
1.서론
2.『계산기선록』의내성지도
3.이덕홍의퇴계내성학수용
4.『심경부주心經附註』와퇴계학
5.학퇴계의또다른길
6.마무리

제5장경經의통치―남송대(1127∼1279)봉건논쟁_송재윤
1.천팔백국千八百國의이상:봉건封建이란무엇인가?
2.유종원의<봉건론封建論>과북송대봉건논쟁
3.남송대“봉건”담론의부활
4.남송대봉건담론의이론적정교화
5.결론:남송대봉건담론의사상사적의의

제6장조선시대경연에서『서경』<우공>편강독의의미_강경현
1.들어가는>
2.『서경』<우공>편과조선전기조세제도
3.조선후기경연에서의『서경』<우공>편
4.나오는말

제7장19세기조선유자의직업론과경학―민인의‘직업인으로의재편’에대한경학의가능성과한계를시각으로_윤석호
1.서론
2.신분·직분에대한유가경전의인식지형
3.융기의지점들
4.지속되는지층
5.결론

제8장최한기의경학관―성경聖經에서천경天經으로_이행훈
1.운화기와기학정립
2.성경에서천경으로전환
3.천경에입각한경전해석
4.최한기경학관의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