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관상학 - 그린비 고전의 숲 7 (양장)

아리스토텔레스 관상학 - 그린비 고전의 숲 7 (양장)

$20.28
저자

아리스토텔레스

저자:아리스토텔레스
BC384년그리스북동부에위치한작은도시국가스타게이라에서태어났다.BC367년,17세때그리스문화의중심지아테네로건너와플라톤문하에들어간다.20년동안,이른바‘제1차아테네체류시기’에그는오늘날우리가플라톤의대화편들에묻혀있는것으로알고있는문제들을익혀나갔다.
BC347년플라톤이세상을뜨자플라톤의조카이자상속인이었던스페우시포스가아카데미의수장이된다.그러자아리스토텔레스는37세의나이로아테네를떠난다.이후12년동안의‘편력시기’를그는아카데미에서동문수학하던친구들을찾아다니며지냈다.그가맨처음찾아갔던사람은소아시아아소스의군주였던헤르미아스였다.그의환대속에서아리스토텔레스는철학과학문연구에전념할수있었다.
BC345년헤르미아스가죽자아리스토텔레스는레스보스섬의미틸레네로옮겨간다.2년뒤그는필리포스왕의부름을받아당시13세이던알렉산드로스에게가르침을베푼다.마케도니아에대한아테네의저항운동이테베의함락(BC335년)으로무산된뒤아리스토텔레스는지천명의나이가되어서야학창시절의아테네로돌아온다.그의‘제2차아테네체류시기’가시작되는것이다.아리스토텔레스는이후12년동안리케이온에서일한다.
BC323년알렉산드로스가죽자아리스토텔레스는다시아테네를떠난다.그는일찍이소크라테스로하여금독배를들게만들었던,신을믿지않는다는혐의로고발되어있었다.아리스토텔레스는아테네를떠나면서이렇게말했다고한다.“아테네사람들이철학에대해두번씩이나죄를짓지않게하겠다.”소크라테스의운명을넌지시내비친것이다.아리스토텔레스는어머니의고택이있는에우보이아섬의칼키스로낙향한다.그얼마후,BC322년10월이름모를병을앓다62세의나이로세상을뜬다.아리스토텔레스는아내피티아스옆에안장해달라는유언을남겼다.

역자:김재홍
숭실대학교철학과졸업.같은대학교대학원에서서양고전철학전공,1994년「아리스토텔레스의학문방법론에서의변증술의역할에관한연구」로철학박사학위취득.캐나다토론토대학교‘고중세철학합동프로그램’에서철학연구(Post-Doc).가톨릭대학교인간학연구소전문연구원,서울대학교철학사상연구소선임연구원역임.가톨릭관동대학교연구교수를거쳐전남대사회통합지원센터부센터장을지냈으며,현재정암학당연구원으로있다.
저서『그리스사유의기원』,『왕보다더자유로운삶』,『아리스토텔레스정치학』등.역서『자기자신에게이르는것들』,『에픽테토스강의1·2』,『에픽테토스강의3·4,엥케이리디온,단편』,아리스토텔레스의『토피카』,『소피스트적논박에대하여』,『니코마코스윤리학』등

목차

책을내면서―변명을위한변명
일러두기

아리스토텔레스와관상학의역사적연원―관상학과의학
아리스토텔레스관상학의정의―「논고A」와「논고B」의대조검토
아리스토텔레스와고대관상학자들의보고
체액이론:힙포크라테스
‘짝퉁아리스토텔레스’와폴레몬의관상학
아리스토텔레스와갈레노스의관상학과체액이론
호메로스와헤시오도스그리고세모니데스
소크라테스의관상에대한일화
테오프라스토스의『성격유형들』과『관상학』
칸트와헤겔의관상학에대한견해
아리스토텔레스생물학저작에관련해서
아리스토텔레스생물학저작에서의관상학에대한간략한논의

논고A

제1장
관상학연구의토대:신체와혼의상호의존성
관상학연구의세가지전통적방법:
(1)동물의비유,(2)인종적비교,(3)감정상태와얼굴표정의유비
얼굴표정으로부터의방법(3)에대한비판
동물비유방법(1)에대한비판
새로운원칙을통한동물비유방법의개선
다른개선책들:영속적인특성들만이징표로써사용될수있다.
제2장
관상학의정의:대상의정의,징표의원천,징표들의더분명한의미
(1)관상학의대상에대한정의
(2)징표의원천
(3)징표들에대한구체적인사례들
관상학의새로운방법:논리적징표추론의새로운철학적방법의도입
징표표지의세밀한선택에대한예증들
제3장
그밖의다른여러징표들:22가지의성격유형

논고B

제4장
전제:신체와혼의상호적영향과동시적영향
고유한특징과공통적특징간의구별
관상학자의능력:실천적훈련,‘전체인상’으로부터의추론적방법
징표의선택에대한추론의방법
제5장
일반적인종적차이:남성적원형과여성적원형
남성적원형으로서의사자
여성적원형으로서의표범
제6장
인간과관련한징표목록들
중요한징표의종합:징표범위의전체인상,종차,위계질서


해제―관상학의철학적토대에대한비판적검토
책의저자와책제목에대하여
작품의구조:두논고는동일저자의작품인가
「논고A」의구조분석
「논고B」의구조분석
「논고A」의내용분석
관상학의성립전제:『분석론전서』제2권제27장에서의‘관상학의방법론’|관상학의토대와그토대에대한비판|관상학연구의세가지전통적방법|동물의비유|인종의비유|외형적현상의근본성격에근거한방법|얼굴표정으로부터의방법에대한비판|동물비유방법에대한비판|새로운원칙을통한동물비유방법의개선책|다른개선책들:영속적인특징들만이징표로써사용될수있다|관상학의정의:대상,징표의원천,징표들의더분명한의미|관상학의새로운방법:논리적징표추론의새로운철학적방법의도입|징표표지의세밀한선택에대한예증들
「논고B」작품의내용분석
전제:신체와혼의상호적영향과동시적영향|고유한특징과공통적특징간의구별|관상학자의능력:실천적훈련,‘전체인상’으로부터의추론적방법|징표의선택에대한추론의방법|일반적인종적차이:남성적원형과여성적원형|「논고B」에서‘중간’의철학적의미―피의속성과관련해서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외양으로라도알아내고픈
인간의성격특성에대한학술적보고

가장영향력있는관상학작품이자
서양관상학의시원인아리스토텔레스『관상학』

서양에서관상학은인상학과골상학을포괄하는넓은의미의개념이었다.관상학은“외적신체의생김새를관찰해서개인의성격을평가하는학문”으로정의된다.관상학에해당하는헬라스어phusiognmonika는phusis(자연,본성)와‘알다’,‘판단하다’,‘해석하다’를의미하는gn*mn이결합하여생겨났다.

서양고대에쓰인가장영향력있는관상학작품을꼽는다면단연‘아리스토텔레스의이름’으로알려져,‘아리스토텔레스의작품모음집’에실려전해지는『관상학』일것이다.이책은서양관상학의전형이되었고,이후저술된관상학에관한대부분의저작은이작품을언급하지않고는생겨날수없었다.로마시대의폴레몬의작품과그밖의여러작품,심지어의학자갈레노스가쓴‘혼의기능(힘)은신체의기질(혼합)을따른다’라는책이란작품의첫문장까지도저작품에의존했다.

하지만엄밀히말해‘아리스토텔레스의이름’으로널리알려진『관상학』은아리스토텔레스의진작(眞作)이아니다.뤼케이온학원의전통을이어받은아리스토텔레스의추종자들가운데‘누군가’가기원전3세기경에쓴것으로추정된다.그럼에도진화론의창시자인찰스다윈은그의책『인간과동물의감정표현』(1872)에서아리스토텔레스와관련있는이관상학책을두고“그의여전히중요한책”이라고말하면서,인간의신체적표현을성격특징및사고의습관과연결하는것에는그럴만한충분한근거가있다고주장하기도했다.

일상적삶의요구와필요에서시작된서양관상학
질병의원인및심리상태를인간의외관으로파악한의사들

서양의관상학은본래이론적탐구목적에서가아니라일상적삶의요구와필요에의해서시작된것으로본다.관상학이본격적인학문의자리를차지하게된것은철학자들이관상학을이론적으로탐구하면서부터였다는것이다.인간의‘윤리적성격’에대해관심을가진철학자들은‘인간의성격과생김새’사이에있을수있는모종의연관성을이론적으로따져보았을것이다.

철학과의학이겹칠수있는영역은인간본성의정신적측면과신체적측면이상호관련되는영역이다.바로이지점이철학과의학이관상학을통해연결되는지점이다.의사들은관상을통해,즉인간의외관(外觀)을읽어냄으로써질병의원인과그의심리적상태를파악하려는노력을기울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동물연구’에기반하고있는이책은인간의성격을동물들의삶의방식차이,활동방식차이를통해설명하고자한다.아리스토텔레스는다른동물과달리인간만이‘얼굴’(metpon)을가지며웃을줄아는동물이라고간주한다.기본적으로이책은동물도인간과마찬가지로혼(프시케)과관련한성격유형의흔적을가지고있음을전제한다.예를들면길듦,난폭함,온순함,거칢,용맹함,겁많음,두려움,대담함,교활함같은것들인데,이로써인간성격과동물성격간의유비,암컷과수컷의신체적차이에따른성격의차이가나타날수있다는것이다.

관상행위를통한판단은옳거나참이라고할수없다!
그럼에도힘을완전히상실하지않은관상학

동서양문화를통틀어살펴본인간행동의뿌리깊은공통점은인간이외부대상세계에대한관찰과타인에대한‘관상’에기반하여움직였다는점이다.신화시대에는그점이역동적기제로작동했다.신화가지각한것은외적대상에대한객관적성격이아니라‘관상적성격’이었다.신화적지각은인간의감정적기질로써세계를파악하고이해한다.즉외적대상이다정하다거나악의에차있다거나친밀하거나무섭거나기분나쁘거나마음을끄는황홀한것이거나징그러운것이거나때론위협적인것으로지각하게만든다.이러한감정적분위기는사물자체를객관적으로바라보지못하게한다.

그러나인간의감정에근거한이러한경험의형태는과학시대를사는오늘날의우리에게도변함없다.감정에근거한‘관상적태도’는문명화된생활에서도본래의힘을상실하지않은것이다.비트겐슈타인은『철학적탐구』§568에서“의미는관상”이라고말한다.우리의‘삶의형식’은관상학적지각과이해를통해형성된다.그러한세계가예술의세계,행위의세계,표현의세계다.매일의경험속에서‘의미’는우리의삶의형식에섞여짜인다.그는인간의‘내적과정은외적기준들을필요로한다’라고말한다.이는칸트가말한‘외면에의해내면을판단하는것’에상응하는말로이해될수있다.

칸트는관상학적판단은필연적으로지각된인간과의직관적접촉에의존한다고했다.개념의견지에서,일반적원리나기술을명확하게드러내기위해직관(관상적지각)에서벗어나려는어떤시도도성공할수없다는것이다.그럼에도칸트는관상학이‘풍속이나예의,습관에대한취미교양의기술’에불과하므로학문으로성립할수없다고주장한다.

『실용적관점에서본인간학』에서칸트는“관상학은사람의눈에보이는형태(sichtbareGestalt)에의해한사람의성향이나사유방식을판단하는기술로,결과적으로외면에의해내면을판단하는것”이라규정하면서도관상학을긍정적으로보지않는다.관상에기초한인간의성격판단은한낱‘취미판단’(Geschmacksurteil)에불과하기때문이다.쉬운말로풀면,일상생활에서우리는‘매일관상행위를통해다른사람을판단하면서살아가지만그러한판단이곧옳거나참이라고말할수없다’는것이다.만일관상학적판단이맞는다면‘인간은마땅히생긴대로살아야만’하고,관상,즉인간의생김새가곧그사람의운명을규정해야할것이다.

오늘날우리가접하는인종적편견에기반한사건들,아시아인과흑인에대한편견도그뿌리를찾다보면서양관상학의어두운그림자가길게드리우고있음을알수있다.그럼에도관상학은대중들사이에서취미와취향으로살아남았다.우리의합리적사고가그기능을멈추고어떤이데올로기적편견에사로잡힐때,관상학적사고가언제든인간문화의위기를가져올수있다는점을상기해야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