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실패한 ‘전쟁’인가 패러다임을 바꾼 ‘의거’인가
- 1894년 동학군의 공주 점거투쟁 재조명
- 1894년 동학군의 공주 점거투쟁 재조명
기존의 연구들은 남북접 동학군의 1894년 공주 점거투쟁을 ① 전봉준 등 ‘남접’ 중앙지도부가 ② 자신들 나름의 지도사상과 통일적 강령을 가지고 ③ 호남 ‘농민군’의 혁명적 폭력을 동원·규합하여 ④ ‘농민전쟁’을 도모한 사건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저자는 이런 기존의 주류 경향을 ‘남접·호남 중심 농민전쟁론’이라 규정한다. 이는 물론 나름의 절박한 필요에 부응한 일종의 시대적 산물이었다. 일제하 민족해방운동, 또는 1980년대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일종의 혁명전통론(호남 의향론, 민주화 성지론)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낡은 분석방법이자 역사상일 따름이다. 농민전쟁론에 따르면, 남북접 동학군의 공주 점거투쟁은 객관조건이나 주체역량이 미숙하고 부족했기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사건이지만, 19세기 후반 조선의 정치문화를 반영한 도회이자 의거였다는 관점에서 보면 조선왕조 역사의 큰 흐름을 뒤바꾼 대파국(great catastrophe)의 서막, 즉 길게 보면 결국은 승리한 투쟁이었다.
공주 점거투쟁 시기 조선왕조 정부(조야 유생)와 동학군은 무엇이 당대의 인의(仁義)이고 민본(民本)인가, 달리 말하면 동학군의 봉기가 의거(義擧)인가 패거(悖擧)인가를 다투는 대의명분 싸움을 벌였다. 이 책에서 필자가 황토현이나 우금티싸움과 같은 물리적 충돌 사건보다 동학군의 모이고 모으는, 점거하고 담판하는 정치적 힘, 특히 남북접 동학군이 조선왕조 정부와 조야 유생들과 벌인 말 잡기 싸움을 더 주목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공주 점거투쟁 시기 조선왕조 정부(조야 유생)와 동학군은 무엇이 당대의 인의(仁義)이고 민본(民本)인가, 달리 말하면 동학군의 봉기가 의거(義擧)인가 패거(悖擧)인가를 다투는 대의명분 싸움을 벌였다. 이 책에서 필자가 황토현이나 우금티싸움과 같은 물리적 충돌 사건보다 동학군의 모이고 모으는, 점거하고 담판하는 정치적 힘, 특히 남북접 동학군이 조선왕조 정부와 조야 유생들과 벌인 말 잡기 싸움을 더 주목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1894년 남북접 동학군의 공주 점거투쟁 : 남접·호남 중심 농민전쟁론 넘어서기 - 와이비 아카이브 2
$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