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색연필로 마당을 그리는 어느 시인의 집 이야기
우리의 지난한 삶을 위무하고 에너지로 환원하며 빛나는 서정의 한 면목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평을 들어온 나혜경 시인의 첫 산문집 『우리는 서로의 나이테를 그려주고 있다』가 책만드는집에서 나왔다. 나혜경 시인은 1991년 사화집 『개망초꽃 등허리에 상처 난 기다림』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담쟁이덩굴의 독법』 『파리에서 비를 만나면』 등 네 권의 시집을 펴낸 바 있다. 시인은 인생 반환점이라고 생각하는 시기에 마당이 있는 집을 지었다. 아주 어릴 적 살았던 집도 마당이 있었기에, 본능적으로 어린 시절의 마당으로 돌아가고 싶었던 듯하다. 서너 살 때 보았던 나무와 꽃을 어른이 되어 자신의 마당에 이식하며 자신도 깜짝 놀랐다고 한다. 다 지나가고 잊어버린 것 같지만, 무의식 속에 그 시간이 각인되어 있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바슐라르가 『공간의 시학』에서 어린 시절 다락방에 대한 추억은 “작으면서도 크고, 더우면서도 시원하고, 언제나 기운을 되찾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듯 내게도 그런 곳으로 각인되어 있으며 지금까지도 살아 움직이고 있다. (본문 중에서)
어린 시절의 마당 또한 면적과는 상관없이, 그곳에서 있었던 일을 떠올리면 기운을 다시 찾게 하는 공간일 것이다.
시인은 자신의 마당에 눈에 익은 나무와 꽃을 하나씩 심기 시작했고, 점차 푸르름으로 그곳을 채웠다. 그러던 어느 이른 봄날, 향 좋은 히아신스가 꽃을 피우는데 갑자기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에 오래된 스케치북과 색연필을 꺼냈다. 그림을 배우지 않았으니 제멋대로 그린 첫 색연필 그림인 셈이다. 그 후부터 그리고 싶을 때 하나씩 그렸고 이것은 곧 시인만의 취미가 되었다.
그렇게 시작된 그림이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 시인은 글보다는 그림이 먼저였다고 한다. 집과 마당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그림과 함께 묶어 산문집을 펴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후 글을 쓰며, 많은 시간 집과 마당에서 놀이를 해왔음을 깨달았다. 수를 놓고, 재봉질을 하고, 커피를 볶고, 목공을 하고, 비 오는 날 장화를 신고ㆍㆍㆍㆍㆍㆍ 열심히 놀았음을 알았다.
요한 하위징아는 인간을 ‘호모 루덴스’로 정의했다. 곧 ‘유희하는 인간’을 말한다. 그러니까 인간은 생각을 하기도 전에 놀 줄 알았다는 것이다. 그림이나 목공, 꽃꽂이, 재봉, 자수, 커피 만들기는 내가 하는 놀이이다. 노동의 개념을 떠나 좋아서 하면 놀이가 된다. 열심히 놀다 보면 그림 한 장이 완성되고, 식탁이 완성되고, 커튼이 완성된다. 혼자 할 때도 있지만 여럿이 할 때도 있다. 혼자 놀기도 하고 둘이 놀기도 하고 여럿이 놀기도 한다. 놀면서 외로움과 불안과 슬픔, 스트레스를 날려 보낸다. 어른이 되어도 노는 일은 멈출 수 없다. (본문 중에서)
아이도 어른도 놀 때 즐겁다. 마당은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공간이다. 그곳에서의 움직임은 놀이이고, 마당은 놀이터가 되어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코로나19 때 마당은 더 빛을 발했다. 사람을 자유롭게 만날 수 없을 때, 또 가족의 격리로 함께 격리해야 할 때 대문 밖으로 나가지 못해도 마당은 바깥의 공간이 되었다. 햇빛과 바람을 맞으며 산책이나 일을 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시인은 이제 바깥으로 나가기 전 완충의 공간이 되는 마당 없이는 살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한다.
그림은 서툴지만, 전문가의 그림에서는 느낄 수 없는 시인만의 감각이 돋보인다. 자연의 경이로움에서 시작된 그림 속엔 시인만의 느낌표와 쉼표가 오롯이 살아 있다. 마당 구석구석에, 꽃 한 송이에 보내는 감탄과 찬사가 묻어난다.
바슐라르가 『공간의 시학』에서 어린 시절 다락방에 대한 추억은 “작으면서도 크고, 더우면서도 시원하고, 언제나 기운을 되찾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듯 내게도 그런 곳으로 각인되어 있으며 지금까지도 살아 움직이고 있다. (본문 중에서)
어린 시절의 마당 또한 면적과는 상관없이, 그곳에서 있었던 일을 떠올리면 기운을 다시 찾게 하는 공간일 것이다.
시인은 자신의 마당에 눈에 익은 나무와 꽃을 하나씩 심기 시작했고, 점차 푸르름으로 그곳을 채웠다. 그러던 어느 이른 봄날, 향 좋은 히아신스가 꽃을 피우는데 갑자기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에 오래된 스케치북과 색연필을 꺼냈다. 그림을 배우지 않았으니 제멋대로 그린 첫 색연필 그림인 셈이다. 그 후부터 그리고 싶을 때 하나씩 그렸고 이것은 곧 시인만의 취미가 되었다.
그렇게 시작된 그림이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 시인은 글보다는 그림이 먼저였다고 한다. 집과 마당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그림과 함께 묶어 산문집을 펴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후 글을 쓰며, 많은 시간 집과 마당에서 놀이를 해왔음을 깨달았다. 수를 놓고, 재봉질을 하고, 커피를 볶고, 목공을 하고, 비 오는 날 장화를 신고ㆍㆍㆍㆍㆍㆍ 열심히 놀았음을 알았다.
요한 하위징아는 인간을 ‘호모 루덴스’로 정의했다. 곧 ‘유희하는 인간’을 말한다. 그러니까 인간은 생각을 하기도 전에 놀 줄 알았다는 것이다. 그림이나 목공, 꽃꽂이, 재봉, 자수, 커피 만들기는 내가 하는 놀이이다. 노동의 개념을 떠나 좋아서 하면 놀이가 된다. 열심히 놀다 보면 그림 한 장이 완성되고, 식탁이 완성되고, 커튼이 완성된다. 혼자 할 때도 있지만 여럿이 할 때도 있다. 혼자 놀기도 하고 둘이 놀기도 하고 여럿이 놀기도 한다. 놀면서 외로움과 불안과 슬픔, 스트레스를 날려 보낸다. 어른이 되어도 노는 일은 멈출 수 없다. (본문 중에서)
아이도 어른도 놀 때 즐겁다. 마당은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공간이다. 그곳에서의 움직임은 놀이이고, 마당은 놀이터가 되어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코로나19 때 마당은 더 빛을 발했다. 사람을 자유롭게 만날 수 없을 때, 또 가족의 격리로 함께 격리해야 할 때 대문 밖으로 나가지 못해도 마당은 바깥의 공간이 되었다. 햇빛과 바람을 맞으며 산책이나 일을 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시인은 이제 바깥으로 나가기 전 완충의 공간이 되는 마당 없이는 살 수 없을 것 같다고 말한다.
그림은 서툴지만, 전문가의 그림에서는 느낄 수 없는 시인만의 감각이 돋보인다. 자연의 경이로움에서 시작된 그림 속엔 시인만의 느낌표와 쉼표가 오롯이 살아 있다. 마당 구석구석에, 꽃 한 송이에 보내는 감탄과 찬사가 묻어난다.
우리는 서로의 나이테를 그려주고 있다 : 색연필로 그리는 마당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