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공산당의 배신 - 1943~1973년 공산당들은 어떻게 노동계급을 배신했는가?

전후 공산당의 배신 - 1943~1973년 공산당들은 어떻게 노동계급을 배신했는가?

$20.73
Description
공산당들은 한때 러시아 등지에서 노동계급이 권력을 쟁취하도록 이끌었다. 공산당원의 압도 다수는 천대받고 착취받는 사람들의 대의에 진심으로 헌신하는 마음에서 입당한 노동자들이었다. 그들은 기존 질서의 수호자들에게 수시로 박해를 당했다.
그러나 제2차세계대전 이후 공산당들은 점점 더 전통적 사회민주주의 정당을 닮아 갔다. 서방에서는 기존 질서에 영합하려 했고, 동방에서는 집권당이 돼 혁명을 가로막고 탄압했으며,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정부 참여에 눈이 멀어 노동계급을 배신하기 일쑤였다.
《서구 사회민주주의의 배신 1944~1985》을 쓴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이언 버철은 이 책에서 1943~1973년에 공산당들이 어떻게 노동계급을 배신했는지 살펴보고 오늘날 좌파가 얻어야 할 교훈을 제시한다.

저자

이언버철

저자:이언버철
영국의사회주의자이자역사학자로'런던사회주의역사가그룹'의회원이다.런던의미들섹스대학교프랑스어학과부교수였고,역사저널《레볼루셔너리히스토리》의편집위원이었다.한국에소개된저서는《처음만나는혁명가들:마르크스,레닌,룩셈부르크,트로츠키,그람시》(공저,2015),《혁명의현실성:20세기후반프랑스,칠레,포르투갈,이란,폴란드의교훈》(공저,2011)이있고,《전후유럽공산당의역사》(가제)가곧출간될예정이다.그밖에도《프랑스:투쟁은계속된다France:TheStruggleGoeson》(1968),《스탈린주의에맞선사르트르SartreAgainstStalinism》(2004),《토니클리프:시대를대표한마르크스주의자TonyCliff:AMarxistforHisTime》(2011)등많은책을썼고,현재여러좌파매체를통해활발한저술활동을하고있다.

역자:김동욱
노동자연대회원으로<노동자연대>와《마르크스21》에이슬람혐오,난민,이주민,사회주의운동등다양한주제의글을수십편번역했다.

목차


감사의말
한국어판머리말
들어가며

1부1943~1953년
1장제2차세계대전
러시아민족주의|프랑스레지스탕스|그리스|유럽의다른공산당들|영국|식민지

2장세력권대분할
프랑스의해방|이탈리아|그리스|독일|영국|동유럽|아시아|미국|혁명이가능했을까?

3장밀월기간
프랑스|이탈리아|영국

4장스탈린과티토의분열
인민민주주의|코민포름|티토와의분열|동유럽에서숙청작업|서유럽의티토주의|티토와혁명가들

5장아시아의전쟁과혁명
베트남|중국|한국전쟁

6장서유럽:다시거리로
프랑스|이탈리아|세계노동조합연맹의분열|그리스|영국|유럽의다른나라들|미국|평화운동

2부1953~1963년
7장스탈린격하와헝가리혁명
소련의위기|흐루쇼프의부상|평화공존|스탈린격하|냉전의종식|동유럽의위기|동베를린봉기|1956년폴란드|헝가리|헝가리사태의영향|중국|안정화

8장제국주의와민족주의
이집트|이라크|과테말라

9장서방공산당의다중심주의
프랑스|이탈리아|덴마크|유럽의다른나라들

10장서유럽의공산당과계급
프랑스|이탈리아|영국|벨기에총파업|청년|여성|농민|이주노동자|결론

3부1963~1973년
11장동쪽에서떠오른붉은희망?
중소분쟁|문화혁명|중국의외교정책|국제수준에서마오쩌둥주의|동유럽의위기|체코슬로바키아|체코슬로바키아사태의국제적영향|1970년폴란드|결론

12장아시아와라틴아메리카
베트남|인도네시아|라틴아메리카|브라질|쿠바|쿠바의외교정책|게릴라전|칠레|그후칠레에서벌어진

13장혁명,서방에서다시의제에오르다
프랑스|이탈리아|영국|아일랜드|스페인|핀란드|호주

4부결론
14장평가와전망
15장이론적파산
16장혁명적대안
트로츠키주의의위기|새로운시작|동방의혁명적사상

연표
참고문헌
후주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공산당의기원은20세기초로거슬러올라간다.제1차세계대전이몰고온애국주의광풍에유럽의사회민주주의정당들이대부분굴복해국제주의를버리고자국정부를지지하면서제2인터내셔널이수치스럽게붕괴했다.그잿더미속에서떠오른새세대혁명투사들이각국에서공산당을건설하고제3인터내셔널(공산주의인터내셔널,즉코민테른)을수립했다.
공산당들은한때러시아등지에서노동계급이권력을쟁취하도록이끌었다.공산당원의압도다수는천대받고착취받는사람들의대의에진심으로헌신하는마음에서입당한노동자들이었다.그들은기존질서의수호자들에게수시로박해를당했다.
그러나제2차세계대전이후공산당들은점점더전통적사회민주주의정당을닮아갔다.서방에서는기존질서에영합하려했고,동방에서는집권당이돼혁명을가로막고탄압했으며,아시아와라틴아메리카에서는정부참여에눈이멀어노동계급을배신하기일쑤였다.이책은1946년사이공(지금의호찌민)에서,1953년베를린에서,1956년헝가리에서,1965년인도네시아에서,1968년체코슬로바키아와프랑스에서,1969년이탈리아에서,1973년칠레에서,마오쩌둥시대중국에서공산당이어떤구실을했는지살펴본다.

희망과배신이뒤엉킨공산당의역사
1989~1991년소련과동구권이붕괴하자그사회체제를합리화하고지지하던전세계의공산당들도급속히쇠퇴·해산하면서소멸하는듯했지만,오늘날에는격화하는미·중갈등을배경으로(중국·북한·쿠바바깥에서도)좌파적사회민주주의와경쟁하며소생하고있다.
지은이이언버철이한국어판머리말에썼듯이"오늘날의좌파들(흔히희망의원천을찾는데서어려움을크게겪는다)중에는공산당집권기를공산주의가어느정도영향력을발휘하던시기로기억하며그리움을느끼는개인과집단이있다.심지어는사회주의적면모가있다는척조차하지않는푸틴의러시아를흠모하는듯한이들도있다."
그러나희망과배신이뒤엉킨과거공산당의역사를"그저잊어버리는것은현명하지못할것이다.역사는결코되풀이되지않지만,역사를탐구함으로써얻을것이상당히많다.과거의독특한과정들을탐구함으로써우리는미래의독특한과정들에대처하는훈련을할수있다."
공산당들이서유럽을비롯한여러나라에서아직건재했고사회민주주의와만만찮게경쟁했으며유러코뮤니즘으로진화해가던과정을다룬이책이그런과제에도움이될것이다.제2차세계대전이후40년간사회민주당들의배신의역사를살펴봤던지은이의또다른책《서구사회민주주의의배신1944~1985》와함께읽기를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