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하 송진우와 민족운동 : 건국의 아버지들 - 대한민국 역사와 미래총서 3

고하 송진우와 민족운동 : 건국의 아버지들 - 대한민국 역사와 미래총서 3

$20.26
저자

김형석

저자:김형석
경남진주출신.건국대학교사학과를졸업하고,경희대학교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
총신대학교에서역사를가르치던1995년북한의대홍수소식을듣고인도지원사업에투신하였다.
이듬해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설립에동참하여초대사무총장을지내고,한민족복지재단회장과통일과나눔재단운영위원장등을역임하였다.
이시기UN경제사회이사회가개최한제1회국제NGO혁신박람회아시아대표로선정되었다.
이후역사학자로돌아와안익태기념재단연구위원장고신대학교석좌교수를지냈으며지금은재단법인대한민국역사와미래이사장이다.
대학강단과사회운동현장을두루경험한특별한역사학자로,저서로는《끝나야할역사전쟁》(2022),《안익태의극일스토리》(2019),《광주그날의진실》(2017)《한국교회여다시일어나라》(2015)《기적을이루는사람들》과《남강이승훈과민족운동》(1988)《일재김병조의민족운동》(1991)을비롯한다수의독립운동에관한논저가있다.

목차


저자서문

Ⅰ.고하송진우의생애와사상

1.독립운동의꿈을안고
1)어린시절
2)동경유학시절
3)그의사상개혁론
4)중앙학교교원시절
5)3.1운동

2.조선제일의언론인으로우뚝서다
1)신문독재자로악명을떨치다
만국기자대회파견
워싱턴군축회의
동아일보의발전
독재자송진우의정체
2)실력양성운동을펼치다
민립대학설립운동
조선물산장려운동
신문화운동
브나로드운동
3)1924년동아일보개혁운동전말
공산주의계열의불매운동
공산주의자들과의대결
이승훈과홍명희의역할분담
4)세계속에민족의장래를논하다
제1차범태평양회의
「세계대세와조선의장래」
국제농민회,3.1운동축사
만보산사건과송진우
5)고난의길을가다
일장기말소사건
동아일보폐간
숨겨진독립운동에의선행
6)새나라건설을위해몸바치다
장물아비가될수없다
자유민주국가건설을위하여
동아일보의복간
공산주의자들과의대결

Ⅱ.민족운동사에서본고하송진우
‘독립’과‘자유민주국가건설’에앞장선민족주의자

1.송진우와중앙학교의3.1운동
1)3.1운동의발발
이승만의3.1운동기획설
여운홍의이승만밀사설
여운홍의파리강화회의참가기
2)3.1운동의책원지중앙학교
현상윤의3.1운동회상기
최린의<자서>에실린증언
3.1운동의단일화과정

3)송진우의역할에대한재평가
‘민족대표48인’으로서의송진우
3.1운동의종착점송진우

2.송진우와동아일보의문화운동
1)동아일보의공로자송진우
신문독재자송진우
언론경영인으로서의송진우
동아일보의파수꾼송진우
2)동아일보와민족문화운동
단군영정공모와백두산기획보도
동아일보의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

3.1924년동아일보개혁운동전말
1)숨겨진동아일보의역사
사건의성격
사건의발단
공산주의자들의활동
2)동아일보를둘러싼좌ㆍ우대결
벽초홍명희의출마
남강이승훈의출마
이승훈과홍명희의역할분담
3)송진우의언론활동과반공주의
동아일보의경영권안정
공산주의계열의불매운동
일제강점기송진우의민족운동

4.송진우와해방직후의건국운동
1)국민대회준비회의결성
2)한국민주당의창당
3)동아일보의복간
4)공산주의자들과의대결

5.결론

Ⅲ.거인의숨결

1.고하송진우글모음
<음력제사를양력으로,이중과세폐지책>
<교우록>
<괴상한산가(山家)>
《조선급만주》인터뷰“독립요구등극단요구는극단취체부득하다”

2.고하송진우의관계자료집
<신문독재자송진우론>?유광렬
<언론계의지보송진우>?김병로
<관홍대도의송진우선생>?홍효민(洪曉民)
<古下宋鎭禹선생:잊혀지지않는사람들>?이상우(李常雨)
<兇彈에쓰러진反託意志:古下·宋鎭禹論>?강영수(姜永壽)

3.현대사증언
<송상현서울대명예교수가말하는조부송진우의일생>?월간조선김태완기자

출판사 서평

이책은3부로구성되었다.

1부「독립에의집념」은간추린고하평전이다.2022년2월고하송진우선생기념사업회는고하의전기인≪독립을향한집념≫을발간하였다.757쪽에달하는책의내용중에서역사적으로중요하다고판단되는사실을간추려서고증하고,그역사적의의를평가하였다.

2부「한국민족운동사에서본고하송진우」는민족운동가인송진우의행적을역사적인관점에서정리하고평가한논문이다.기존의전기에없는각주와참고문헌을통해그의민족운동을역사학적방법론으로고찰하였다.

내용가운데첫번째주목할것은,3.1운동의주역으로서송진우의역할을재조명한것이다.일각에서제기하는이승만의3.1운동기획설과송진우와의관련성의문제점을규명하고,3.1운동의출발점이자종착지로서그의역할을실증적으로검증하였다.

두번째,언론경영인으로서송진우의역량을재평가하였다.특히1924년동아일보임시주총사태를언론개혁으로인식하던종전의시각에서벗어나,동아일보를장악하여공산주의를전파하는선전매체로이용하려고홍명희를내세운공산주의자들과이에맞서3.1운동의영웅이승훈을앞세워경영권을지키려던민족주의자들간의대결이라는새로운관점에서송진우의역할을조명했다.

세번째,그동안학계에서주목하지않았던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과단군선양사업에대한고증을통해문화운동가로서송진우의역할을조명하였다.

네번째,베를린올림픽당시일장기말소사건으로인한동아일보사장퇴진이후의행적과김구·김좌진등독립운동가들과의숨겨진일화를검증하여독립운동가송진우에대한재평가를시도하였다.

다섯번째,해방전후총독부의치안권이양과관련한논쟁과함께해방공간에서송진우가활동한127일간의행적을자유민주국가를건설하기위한여정이었다는관점에서조명하려고노력하였다.

3부「거인의숨결」은2023년8월고하송진우선생기념사업회가송진우의글과관련자료를모아≪거인의숨결≫을발행했다.무려1128쪽에달하는이방대한자료집에누락된자료를발굴하여수록한것이다.내용상으로는송진우의글4편과관련자료8편등12편이다.송진우가쓴글은이중과세문제에대한논설,교우록,단편소설,인터뷰기사등인데,이가운데특별히주목되는것은1935년≪삼천리≫에게재한「교우록」이다.이글에는그의교우관계와그배경을밝히고있어서,앞으로한국근·현대사연구에좋은자료가될것이다.그리고1928년≪별건곤≫에발표한단편소설「괴상한산가」는그의다양한재능을보여주는것으로이책의성과중하나이다.

또역사학계에서논쟁의대상이던해방전후‘총독부의치안협조요청’문제와관련하여김준연·강영수등동아일보관계자의증언과함께그동안한번도역사학계에소개된적이없는영국측자료인“FRUS1945.TheBritishCommonwealth,theFarEast”를수록하였다.이자료는1945년9월25일자의해방전후국내정세와총독부의동향을수록한기사와함께12월17일자에는송진우가주한러시아영사롤리얀스키에게북한주둔소련군의만행을규탄하고소련군대의철수를주장했다는내용이눈길을끈다.

마지막으로<월간조선>2023년12월호에실린고하의손자인송상현(84)서울대학교법대명예교수와필자가대담한기사를월간조선의동의를받고전재하였다.고하의인간적인면모를이해하는데도움을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