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김주현의 첫 소설집 『조금 늦게 달이 보인다』는 나는 누구고 삶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묻게 한다. 원룸에 거주하듯 뿔뿔이 흩어져 각자 나름의 삶을 살아가는 현대적 일상의 한 대목을 치밀하게 그려가며 내가, 우리가 이렇게 살아도 되느냐고 묻고 있다. 김주현은 아무리 파편화되고 뿌리 뽑혔을지라도 현대적 삶을 그대로 보여주며 또 다른 의미를 돌려주려 소설을 쓰고 있다. 소설 쓰기와 삶이 여일한 작가임을 이번 소설집은 잘 보여주고 있다.
「오래된 세월을 걷다」는 비디오 대여점 직원인 ‘나’가 33세 생일날 밤에 홀로 원룸에서 치킨에 캔 맥주를 마시며 펼치는 이야기다. 그 짧은 시간에 인류 최초의 여성 화석과 함께 영화에 나오는 기억상실증 환자나 가난한 토큰 판매원 등 ‘루시’라는 이름을 가진 여성들을 떠올린다. 그와 더불어 예전에 깊게 사귀다 헤어진 M도 떠올린다. 떠오르는 것을 그대로 서술하는 것과 함께 지금 있는 원룸촌과 동네에서 일어난 일들을 연극 무대처럼 보여주며 현장감을 주고 있다. 인터넷 서핑이나 영화 등에서 본 간접적인 감상 체험의 루시 이야기와 주인공 나의 연애 체험 등의 연상에 현실감을 주며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다. 그렇게 맥주를 마셔가며 “인생, 그거 만만한 거 아니야”라는 주제를 던지고 있다. 그러다 마지막에 “어떤 식으로든 자기 삶을 살았을 것이다. 아주아주 오래전에 두 발로 땅을 딛고 똑바로 걸었던 루시는”이라며 ‘똑바른 자기 삶’을 모색하고 있는 작품이 「오래된 세월을 걷다」다.
「방울 소리 찰랑찰랑」은 잡지 편집자인 주인공 ‘나’가 잡지를 발송하기 위해 봉투를 붙이면서 오래전에 마음을 두었다 헤어져 다시 SNS로 만나고 있는 ‘너’와의 추억이 이야기를 이끌고 있다. 꿈속에서 본 무당의 찰랑거리는 방울 소리에서 ‘너’가 예전에 기타로 연주하던 「찰랑찰랑」이란 노래 가사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저질러요. 그 사람이 좋다면. 같이 살든 뭘 하든.” 한 사람을 마음에 두고 있을 때 무당이 한 말이다. 그러나 다가오면 멀어지고 멀어지면 다가가고픈 게 마음 아니던가. 그런 사랑을 추억하며 우리네 삶의 본질을 파고들어 “너무 따지지 말고 늘 먹고 자는 것처럼 조금씩 조금씩, 그러나 반복하여 추어라”는 주제를 떠오르게 하는 작품이 「방울 소리 찰랑찰랑」이다.
표제작 「조금 늦게 달이 보인다」는 2022년 펼쳐졌던 개기월식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소설가인 주인공 ‘나’는 달이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하듯 “내가 읽은 책, 내가 만난 사람들, 내가 가본 곳들, 이 모든 것이 나에게는 태양”이라며 그런 것들의 진실로 소설을 쓴다고 밝히고 있다. 해서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아니고 굵직한 서사가 있는 것도 아니었다. 바닥을 치는 삶을 그리는 건 더더욱 아니었다”고 자신의 소설 세계를 말하고 있다. 그런 것으로 소설이 빛을 발하게 하지 않고 겪은 것만 그대로 반사하겠다는 것일 거다.
「세비지≥어글리」도 소설가인 ‘나’가 월드컵 축구 등을 보며 소설 쓰기에 대해 생각하는 소설가 소설로 읽힐 수 있다. 가족으로부터 미운 오리 새끼 같았던 ‘나’를 아버지는 세비지라 불렀을 것이다. 그런 ‘아버지’와, ‘나’가 사랑했던 남자 ‘그’를 떠올리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있는 소설이기도 하다. “그동안 내가 썼던 소설처럼 인물이 직장을 그만두었거나 실연을 했거나 옛 남자를 우연히 만나게 되었거나 하는 이야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걸 보완하려고 정보에 치우쳤던 건 사실이다”라고 자신의 소설 쓰기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러면서 그런 소설 쓰기와 자신의 삶을 일치시켜나가고 있기도 한 작품이다.
「빨주노초파남보 씨」는 신예 춤 비평가인 ‘나’가 대학 시절 사랑했던 ‘그’의 버나 공연을 보고, 또 그와 이야기를 나누며 펼쳐지는 작품이다. “나야말로 여전히 뭘 찾고 있나 봐. 당신이 버나를 돌리는 시간 동안 난 뭘 했나 싶기도 해”, “그런 게 인생 아니겠어?”란 둘의 대화에 드러나듯 무지개 허상을 좇는 삶과 인생을 둘러보게 하는 작품이다.
「나의 골목길」은 무용가 자료조사 아르바이트를 하는 ‘나’가 학원에서 요가 수련을 하며 떠올린 생각들이 끌고 가고 있는 작품이다. 자아에 대한 애착을 떨쳐버리려 하는 것이 요가인데도 “좀 전의 「타이스의 명상곡」에서 시작된 잡생각이 다른 생각들을 불러 여기까지 왔다”며 생각, 애착의 연상작용으로 시종하고 있다.
「인물 리스트」는 극작가로 막 데뷔한 ‘나’가 동거하던 연상의 여인을 떠올리며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두 사람은 몸을 섞는 사이였지만 어느 날 갑자기 쉽게도 헤어져버린다. 소설 속의 소설 같은, 무대와 원룸에서 펼쳐지는 그런 연극, 쇼 같은 현대적 삶의 면면을 그리며 의미를 찾고 있는 작품이다.
「인생은 오렌지」는 연출가 지망생인 ‘나’가 대학 시절 같이 연극을 했던 스튜어디스 애인과 그녀의 이모, 또 그 이모와 관계가 있던 선배 연출가와 스튜어디스 애인 간의 열 살을 훌쩍 뛰어넘는 엇갈리는 사랑을 비추고 있는 작품이다.
「아무도 나를……」은 죽은 아버지의 프리드리히 2세에 대한 논문을 읽고 독일 여행을 다녀온 ‘나’가 독일에서 만난 남자의 음악 공연을 보러 가며 지난 일들을 떠올리는 작품이다. 독일에서 그 남자와의 사랑도 뜻을 못 이루고 떠도는 삶의 콤플렉스가 서자(庶子) 트라우마임을 비추고 있는 작품이다. 뿌리 뽑힌 채, 아직도 알을 깨고 나와 사회에 섞여들지 못하는 현대적 삶의 정체성을 묻는 작품으로도 읽힌다.
「오래된 세월을 걷다」는 비디오 대여점 직원인 ‘나’가 33세 생일날 밤에 홀로 원룸에서 치킨에 캔 맥주를 마시며 펼치는 이야기다. 그 짧은 시간에 인류 최초의 여성 화석과 함께 영화에 나오는 기억상실증 환자나 가난한 토큰 판매원 등 ‘루시’라는 이름을 가진 여성들을 떠올린다. 그와 더불어 예전에 깊게 사귀다 헤어진 M도 떠올린다. 떠오르는 것을 그대로 서술하는 것과 함께 지금 있는 원룸촌과 동네에서 일어난 일들을 연극 무대처럼 보여주며 현장감을 주고 있다. 인터넷 서핑이나 영화 등에서 본 간접적인 감상 체험의 루시 이야기와 주인공 나의 연애 체험 등의 연상에 현실감을 주며 이야기를 끌어가고 있다. 그렇게 맥주를 마셔가며 “인생, 그거 만만한 거 아니야”라는 주제를 던지고 있다. 그러다 마지막에 “어떤 식으로든 자기 삶을 살았을 것이다. 아주아주 오래전에 두 발로 땅을 딛고 똑바로 걸었던 루시는”이라며 ‘똑바른 자기 삶’을 모색하고 있는 작품이 「오래된 세월을 걷다」다.
「방울 소리 찰랑찰랑」은 잡지 편집자인 주인공 ‘나’가 잡지를 발송하기 위해 봉투를 붙이면서 오래전에 마음을 두었다 헤어져 다시 SNS로 만나고 있는 ‘너’와의 추억이 이야기를 이끌고 있다. 꿈속에서 본 무당의 찰랑거리는 방울 소리에서 ‘너’가 예전에 기타로 연주하던 「찰랑찰랑」이란 노래 가사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저질러요. 그 사람이 좋다면. 같이 살든 뭘 하든.” 한 사람을 마음에 두고 있을 때 무당이 한 말이다. 그러나 다가오면 멀어지고 멀어지면 다가가고픈 게 마음 아니던가. 그런 사랑을 추억하며 우리네 삶의 본질을 파고들어 “너무 따지지 말고 늘 먹고 자는 것처럼 조금씩 조금씩, 그러나 반복하여 추어라”는 주제를 떠오르게 하는 작품이 「방울 소리 찰랑찰랑」이다.
표제작 「조금 늦게 달이 보인다」는 2022년 펼쳐졌던 개기월식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소설가인 주인공 ‘나’는 달이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반사하듯 “내가 읽은 책, 내가 만난 사람들, 내가 가본 곳들, 이 모든 것이 나에게는 태양”이라며 그런 것들의 진실로 소설을 쓴다고 밝히고 있다. 해서 “묵직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아니고 굵직한 서사가 있는 것도 아니었다. 바닥을 치는 삶을 그리는 건 더더욱 아니었다”고 자신의 소설 세계를 말하고 있다. 그런 것으로 소설이 빛을 발하게 하지 않고 겪은 것만 그대로 반사하겠다는 것일 거다.
「세비지≥어글리」도 소설가인 ‘나’가 월드컵 축구 등을 보며 소설 쓰기에 대해 생각하는 소설가 소설로 읽힐 수 있다. 가족으로부터 미운 오리 새끼 같았던 ‘나’를 아버지는 세비지라 불렀을 것이다. 그런 ‘아버지’와, ‘나’가 사랑했던 남자 ‘그’를 떠올리며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있는 소설이기도 하다. “그동안 내가 썼던 소설처럼 인물이 직장을 그만두었거나 실연을 했거나 옛 남자를 우연히 만나게 되었거나 하는 이야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걸 보완하려고 정보에 치우쳤던 건 사실이다”라고 자신의 소설 쓰기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러면서 그런 소설 쓰기와 자신의 삶을 일치시켜나가고 있기도 한 작품이다.
「빨주노초파남보 씨」는 신예 춤 비평가인 ‘나’가 대학 시절 사랑했던 ‘그’의 버나 공연을 보고, 또 그와 이야기를 나누며 펼쳐지는 작품이다. “나야말로 여전히 뭘 찾고 있나 봐. 당신이 버나를 돌리는 시간 동안 난 뭘 했나 싶기도 해”, “그런 게 인생 아니겠어?”란 둘의 대화에 드러나듯 무지개 허상을 좇는 삶과 인생을 둘러보게 하는 작품이다.
「나의 골목길」은 무용가 자료조사 아르바이트를 하는 ‘나’가 학원에서 요가 수련을 하며 떠올린 생각들이 끌고 가고 있는 작품이다. 자아에 대한 애착을 떨쳐버리려 하는 것이 요가인데도 “좀 전의 「타이스의 명상곡」에서 시작된 잡생각이 다른 생각들을 불러 여기까지 왔다”며 생각, 애착의 연상작용으로 시종하고 있다.
「인물 리스트」는 극작가로 막 데뷔한 ‘나’가 동거하던 연상의 여인을 떠올리며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두 사람은 몸을 섞는 사이였지만 어느 날 갑자기 쉽게도 헤어져버린다. 소설 속의 소설 같은, 무대와 원룸에서 펼쳐지는 그런 연극, 쇼 같은 현대적 삶의 면면을 그리며 의미를 찾고 있는 작품이다.
「인생은 오렌지」는 연출가 지망생인 ‘나’가 대학 시절 같이 연극을 했던 스튜어디스 애인과 그녀의 이모, 또 그 이모와 관계가 있던 선배 연출가와 스튜어디스 애인 간의 열 살을 훌쩍 뛰어넘는 엇갈리는 사랑을 비추고 있는 작품이다.
「아무도 나를……」은 죽은 아버지의 프리드리히 2세에 대한 논문을 읽고 독일 여행을 다녀온 ‘나’가 독일에서 만난 남자의 음악 공연을 보러 가며 지난 일들을 떠올리는 작품이다. 독일에서 그 남자와의 사랑도 뜻을 못 이루고 떠도는 삶의 콤플렉스가 서자(庶子) 트라우마임을 비추고 있는 작품이다. 뿌리 뽑힌 채, 아직도 알을 깨고 나와 사회에 섞여들지 못하는 현대적 삶의 정체성을 묻는 작품으로도 읽힌다.
조금 늦게 달이 보인다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