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책의 저자인 로빈 던바의 독창성은 그러니까 기왕 학자들 사이에서 마치 공준되다시피 정설로 군림해왔던 전달 언어의 기능성을 약화시키고 ‘가십’ 언어의 기능성을 강조한 데 있다. 그리고 인류학자, 영장류 학자로서 그는 ‘가십’ 언어의 기능이 원초적으로 ‘그루밍’ 기능으로부터 발원했다고 보며, 그런 경로로 ‘언어의 진화’가 이루어져 왔다고 본다. 이 책의 제목이 『그루밍, 가십, 그리고 언어의 진화』로 주어진 것은 그런 연유에서인 것이다.
저자는 ‘그루밍’과 ‘가십’을 직접적으로 연관시켜 언어의 기원 문제를 설명하는 입장이며, 이 문맥 속에서 ‘그루밍’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집단적 연대를 강화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같은 문맥에서 ‘가십’ 언어 역시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연대의 강화와 확대를 위한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사회적 연대의 강화와 확대가 좋은 말, 즉 친교적 언어를 통해서만 이룩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 속엔 늘, 특히 집단이 커질수록 ‘무임승차자(free-rider)’ 유의 인물들이 존재하기 마련이고, 또 많아지기 마련이라는 조건이 따르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사회가 안정적으로 자기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임승차자’의 축출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결국 ‘가십’ 언어의 기능이 중요하게 작동한다는 게 저자의 가설이다.
이 책에서 중요한 매개 가설로 작용하는 것 중 하나가 ‘마키아벨리 지능 가설’이다. 지능이 높아지고 집단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사회 지능의 필요와 기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영장류와 유인원, 그중에도 사람과에 속하는 유인원의 뇌가 상대적으로 더욱 커지게 되었다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마키아벨리적 지능 가설’이 설명하는 ‘사회 지능’의 구체적 기능과 성격은 무엇인가? 이 이론적 가설의 출발은 수효가 많은 원숭이 집단과 유인원 종들에 밀려 삼림 끝 평원 지역으로까지 밀려나게 된 인류의 조상들이 맹수의 포식자들로부터 자신들의 생존을 지키기 위해 개체수준에서는 몸체를 키우고 또 집단 차원에서는 집단의 크기를 키울 필요에 직면하게 되었다는 조건과 관련된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문제는 역시 집단의 크기 확대의 요구와 관련된다. 맹수들의 습격으로부터 생존을 지키기 위해서 집단의 크기를 키워 대응한다는 것은 당연한 대처가 될 터인데, 이렇게 되면 사회적, 집단적 삶의 복잡화가 초래된다. 원숭이들이 하는 것처럼 ‘그루밍’ 형식을 통하는 것만으로는 도저히 집단 내부의 연대 강화라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루밍 관계가 부부관계처럼 폐쇄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연대 관계를 통해 상호 교환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집단의 규모 확대와 함께 ‘그루밍’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잉 투자 결과를 낳게 되기 때문이다.
던바 교수는 바로 이런 이유로 인간 사회에 출현하게 된 것이 ‘언어’라고 본다. 요컨대 ‘그루밍’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기제가 ‘언어’로 주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저자는 ‘그루밍’과 ‘가십’을 직접적으로 연관시켜 언어의 기원 문제를 설명하는 입장이며, 이 문맥 속에서 ‘그루밍’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집단적 연대를 강화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같은 문맥에서 ‘가십’ 언어 역시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연대의 강화와 확대를 위한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사회적 연대의 강화와 확대가 좋은 말, 즉 친교적 언어를 통해서만 이룩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 속엔 늘, 특히 집단이 커질수록 ‘무임승차자(free-rider)’ 유의 인물들이 존재하기 마련이고, 또 많아지기 마련이라는 조건이 따르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사회가 안정적으로 자기 보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임승차자’의 축출 문제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결국 ‘가십’ 언어의 기능이 중요하게 작동한다는 게 저자의 가설이다.
이 책에서 중요한 매개 가설로 작용하는 것 중 하나가 ‘마키아벨리 지능 가설’이다. 지능이 높아지고 집단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사회 지능의 필요와 기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영장류와 유인원, 그중에도 사람과에 속하는 유인원의 뇌가 상대적으로 더욱 커지게 되었다는 설명이다. 그렇다면 ‘마키아벨리적 지능 가설’이 설명하는 ‘사회 지능’의 구체적 기능과 성격은 무엇인가? 이 이론적 가설의 출발은 수효가 많은 원숭이 집단과 유인원 종들에 밀려 삼림 끝 평원 지역으로까지 밀려나게 된 인류의 조상들이 맹수의 포식자들로부터 자신들의 생존을 지키기 위해 개체수준에서는 몸체를 키우고 또 집단 차원에서는 집단의 크기를 키울 필요에 직면하게 되었다는 조건과 관련된다. 이 중에서도 중요한 문제는 역시 집단의 크기 확대의 요구와 관련된다. 맹수들의 습격으로부터 생존을 지키기 위해서 집단의 크기를 키워 대응한다는 것은 당연한 대처가 될 터인데, 이렇게 되면 사회적, 집단적 삶의 복잡화가 초래된다. 원숭이들이 하는 것처럼 ‘그루밍’ 형식을 통하는 것만으로는 도저히 집단 내부의 연대 강화라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루밍 관계가 부부관계처럼 폐쇄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폭넓은 연대 관계를 통해 상호 교환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집단의 규모 확대와 함께 ‘그루밍’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잉 투자 결과를 낳게 되기 때문이다.
던바 교수는 바로 이런 이유로 인간 사회에 출현하게 된 것이 ‘언어’라고 본다. 요컨대 ‘그루밍’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효율적으로 그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기제가 ‘언어’로 주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그루밍, 가십, 그리고 언어의 진화
$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