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성녀 마더 테레사
가난하고 병든 외로운 사람들의 어머니”
가난하고 병든 외로운 사람들의 어머니”
이 작은 책 『하나님께 드리는 선물』은 테레사 수녀의 명언, 기도문, 명상, 서신, 그리고 강연 중에서 대표적인 것만 엄선한 글 모음집이다.
성녀 마더 테레사(Sant Mother Teresa)의 삶
-가난하고 병든 외로운 사람들의 어머니-
1910년 8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스코프에서 출생하여 13세 때 수녀가 되기로 결심한 그녀는 18세가 되자, 아일랜드로 가서 로레토 수녀원에 입교하여 예비 수녀가 된다.
그 후 수녀가 된 그녀는 1928년 인도로 파견되어 콜카타의 성 아그네스 고교 교사로 20여 년 동안 봉직하여 교장에까지 이르렀으나, 어느 날 학교를 떠나기로 결심한다.
“부유한 이들의 자녀를 가르치기보다는 가난한 사람, 외롭게 죽어가는 사람을 돌보는 게 나의 사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퇴임의 말이었다.
1948년도에 콜카타의 빈민굴에서 ‘사랑의 선교회’를 설립한 후 그리스도의 사랑과 은혜에 힘입어 전 세계 68개국에서 빈민을 돕는 대규모 단체로 번창한다.
그녀의 봉사 정신을 기리며 뒤따르는 수녀 1,600여 명, 수사 180여 명, 자원봉사자 10만여 명이 70개의 빈민 학교와 260개의 병원과 진료소, 58개의 나환자 수용소, 32개의 ‘임종의 집’을 운영하는 그리스도의 동행자가 되었다.
이에 테레사 수녀는 그녀의 위업 덕분에 로마법왕 요한 23세 상을 비롯하여, 인도의 네루상, 미국의 조셉 케네디로부터 효행상을 받는다.
한편 노벨상 위원회는, ‘노벨상 위원회는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가난과 불행을 줄이기 위해서 분투하고 노력한 공로 때문에 테레사 수녀에게 노벨평화상을 주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격찬하고 있다.
그 당시 우리나라에 있는 ‘사랑의 선교회’ 원장 페더 울머(인도인, 한국명 문반석)는 이렇게 말한다.
“테레사 수녀님은 평안을 안겨주는 성자이십니다. 그분은 매일 새벽 4시 30분에 기상하여 아침 기도와 미사를 올린 후 빵 한 개, 바나나 하나, 차 한 잔으로 아침 식사를 마치고 임종의 집과 나환자 수용소를 순회합니다. 오후 7시 30분에 저녁을 들면 기도로 주님의 은총을 호소합니다. 그분이 잠자리에 드는 시간은 오후 10시 30분, 24시간 중 18시간을 보낸 노수녀가 평화 속으로 돌아가는 시간입니다.
5척이 될까 말까 한 작은 테레사 수녀는 우리 농촌의 할머니와 같은 모습입니다. 단 두 벌의 무명 수녀복과 십자가, 안경, 물통, 시계, 구두 한 켤레가 그녀의 전 재산입니다. 그러나 그녀는 무한한 사랑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 그녀는 암흑의 빛입니다.”
마더 테레사는 1977년 9월 5일 88세로 임종, 2016년 9월 5일 그녀의 탄생일을 기념하여 로마교황청으로부터 성인으로 추대받은 삶을 살았다.
성녀 마더 테레사(Sant Mother Teresa)의 삶
-가난하고 병든 외로운 사람들의 어머니-
1910년 8월 27일 유고슬라비아 스코프에서 출생하여 13세 때 수녀가 되기로 결심한 그녀는 18세가 되자, 아일랜드로 가서 로레토 수녀원에 입교하여 예비 수녀가 된다.
그 후 수녀가 된 그녀는 1928년 인도로 파견되어 콜카타의 성 아그네스 고교 교사로 20여 년 동안 봉직하여 교장에까지 이르렀으나, 어느 날 학교를 떠나기로 결심한다.
“부유한 이들의 자녀를 가르치기보다는 가난한 사람, 외롭게 죽어가는 사람을 돌보는 게 나의 사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퇴임의 말이었다.
1948년도에 콜카타의 빈민굴에서 ‘사랑의 선교회’를 설립한 후 그리스도의 사랑과 은혜에 힘입어 전 세계 68개국에서 빈민을 돕는 대규모 단체로 번창한다.
그녀의 봉사 정신을 기리며 뒤따르는 수녀 1,600여 명, 수사 180여 명, 자원봉사자 10만여 명이 70개의 빈민 학교와 260개의 병원과 진료소, 58개의 나환자 수용소, 32개의 ‘임종의 집’을 운영하는 그리스도의 동행자가 되었다.
이에 테레사 수녀는 그녀의 위업 덕분에 로마법왕 요한 23세 상을 비롯하여, 인도의 네루상, 미국의 조셉 케네디로부터 효행상을 받는다.
한편 노벨상 위원회는, ‘노벨상 위원회는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가난과 불행을 줄이기 위해서 분투하고 노력한 공로 때문에 테레사 수녀에게 노벨평화상을 주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격찬하고 있다.
그 당시 우리나라에 있는 ‘사랑의 선교회’ 원장 페더 울머(인도인, 한국명 문반석)는 이렇게 말한다.
“테레사 수녀님은 평안을 안겨주는 성자이십니다. 그분은 매일 새벽 4시 30분에 기상하여 아침 기도와 미사를 올린 후 빵 한 개, 바나나 하나, 차 한 잔으로 아침 식사를 마치고 임종의 집과 나환자 수용소를 순회합니다. 오후 7시 30분에 저녁을 들면 기도로 주님의 은총을 호소합니다. 그분이 잠자리에 드는 시간은 오후 10시 30분, 24시간 중 18시간을 보낸 노수녀가 평화 속으로 돌아가는 시간입니다.
5척이 될까 말까 한 작은 테레사 수녀는 우리 농촌의 할머니와 같은 모습입니다. 단 두 벌의 무명 수녀복과 십자가, 안경, 물통, 시계, 구두 한 켤레가 그녀의 전 재산입니다. 그러나 그녀는 무한한 사랑의 힘을 갖고 있습니다. 그녀는 암흑의 빛입니다.”
마더 테레사는 1977년 9월 5일 88세로 임종, 2016년 9월 5일 그녀의 탄생일을 기념하여 로마교황청으로부터 성인으로 추대받은 삶을 살았다.

하나님께 드리는 선물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