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종식과 신라 불교계의 변화 (양장)

전쟁의 종식과 신라 불교계의 변화 (양장)

$26.00
Description
통일전쟁의 종식 후 신라 승려들은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불교계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분석하다!
이 책은 신라가 삼국통일 이후 7세기 들어 늘어난 사찰 수만큼이나 출가자 수가 증가하였던 점에서 출발하여 전쟁의 종식 후 출가자들은 어떠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신라 불교계를 어떻게 변화시켜갔을까에 대한 해답을 추구한 연구서이다.
한국고대사 및 불교사 연구의 중견인 박광연 동국대 교수는 이처럼 660년 백제 멸망, 668년 고구려 멸망, 676년 나당전쟁에서 신라의 승리에 이어지는 신라 사회와 불교계의 변화, 역사의 이면을 이 책에서 밝혀본다.
전쟁의 종식은 전쟁, 이와 함께 하던 굶주림과 전염병, 이로 인한 고통과 죽음, 죽음보다 더 무서운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신라인들은 이러한 전쟁의 트라우마를 쉽게 벗어날 수 있었을까. 전륜성왕이 통치하는 나라, 왕족이 석가족인 나라라 자처하던 신라에서 불교에 귀의했던 지배층과 지식인인 승려들은 전쟁 와중에, 그리고 전쟁이 끝났을 때 무엇을 고민하였을까.

전쟁이 종식된 문무왕 후반부터 성덕왕이 통치하던 시기까지, 서기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에 이르는 이 시기는 뜻밖에도 신라 불교사 연구의 공백기이다. 「삼국사기」, 「삼국유사」는 물론 금석문도 이 시기 자료가 부족하여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다. 하지만 경덕왕대 불국사ㆍ석불사의 창건은 어떻게 갑자기 가능했던 것일까.
저자는 이 책에서 7세기 후반에서 8세기 전반의 신라 사회를 불교문화의 신라다운 색깔을 찾아가던 시기라고 정의하고, 찬술문헌, 의례, 신앙대상 등을 통해 이를 설명하였다. 불교 공인 초창기부터 한문을 읽고 쓸 줄 알았던 출가승들은 신라 사회의 최고엘리트층이기에 왕실과 정부에서 거기에 부합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중고기, 특히 선덕왕 때는 불교계 지식인에 대한 국왕의 의존도가 높았고 그만큼 지위를 보장해주었다. 그렇지만 전쟁 이후에 국가 정책에 따라 출가승의 정치적 위상이 약화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가자와 사찰의 수는 차츰 증가하였고, 승려들은 주요한 사회 구성원이었으므로, 이들이 수행한 역할을 파악함으로써 7세기 후반~8세기 전반 신라 불교계의 ‘문화적 지역성’을 설명할 수 있다.
당시 신라에는 천재 원효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장안에서 당의 승려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불교를 연구하던 많은 승려들이 장안에 남거나 신라로 귀국하여 자신들이 이해한 불교를 설명하는 책을 찬술하였고, 그 일부가 남아 있다. 이를 신라찬술문헌이라 명명하고, 그 생산 과정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찬술문헌에서 신라 학승들이 강조한 ‘정불국토(淨佛國土)’가 전쟁 트라우마로 고통받던 신라인들에게 내려준 처방전이라 해석하였다.
이 시기 신라는 당의 불교문화 유행에 매우 민감하였지만, 유행을 쫓아가진 않았다. 신라다운 방식으로 변용할 수 있는 지적ㆍ정신적 여유가 있었다. 저자는 변화관음에 대한 태도를 예시로 ‘선택적 수용’을 설명하였는데, 신라에서 왜 변화관음의 수용이 늦었고, 현존하는 유물이나 기록이 많지 않은 것인가 대해 7세기 후반~8세기 전반 국가와 불교계의 관계 및 불교계의 사회적 역할 속에서 찾았다. 아울러 당과 달리 신라에서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납입하거나 소탑을 새긴 탑들이 적지 않다. 신라 중대의 것으로 황복사지 삼층석탑(중수, 706) 이후 나원리 오층석탑(8세기), 불국사 삼층석탑(8세기 중반)이 있고, 하대의 것으로 법광사지 삼층석탑(중수, 846), 창림사지 삼층석탑(855),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863) 등 수많은 탑과 불상의 명문에서 무구정광다라니가 등장한 점을 특색으로 꼽는다. 저자는 그 이유를 신라에서는 당에서처럼 유교ㆍ도교와 불교가 경쟁하는 양상은 없었으며 공인 이후에 불교계를 사태하는 사건도 없었다는 점과, 8세기 이후 신라가 불국토라는 관념이 형성되고 정착된 데에는 7세기 중반 수용되어 확산되고 있던 정토왕생 신앙과 더불어 정불국토 인식의 영향이 미쳤던 점 등에서 찾는다. 또한 저자는 「황복사지 삼층석탑 금동사리함」의 명문보다 먼저 작성된 신라의 불교금석문이 남아 있지 않다는 사실에서 ‘전륜성왕ㆍ석가족 인식 등 불교를 통치 이념으로 활용했기에 불교식 왕명시대라 불리는 중고기에 왜 신라인들은 금석(金石)에 불교적 서원을 담지 않았을까’란 의문을 제기하면서, 불교에서 유교로, 호국에서 추선으로, 승관제와 종파라는 틀에서 신라 중대의 불교를 해석하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질문을 던진다.
저자는 이들 문제에 대해서도 앞으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이 시기 신라의 불교문화의 실상을 들추어봄으로써 한국 문화의 글로컬리티를 함께 찾아보았으면 한다.
저자

박광연

저자:박광연
이화여자대학교사학과졸업.동대학원문학박사.한국고대사,불교사상사전공.서울대학교규장학한국학연구원박사후연구원역임.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HK연구교수역임.현재동국대학교WISE캠퍼스국사학과조교수.동국대학교신라문화연구소소장.
논저|<신라법화사상사연구>(2013,혜안),<테마한국불교1~7>(2013~2019,동국대출판부,공저),<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중국문헌편>(2014,동국대출판부,공역),<동아시아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2015,동국대출판부,공역),<동아시아종파불교-역사적현상과개념적이해>(2016,민족사,공저),<거란불교사연구>(2020,CIR,공역)등의저서와번역서가있다.진표(眞表)와신라찬술문헌들에대한관심에서출발하여신라불교문화의글로컬리티를찾아가고있다.최근에는불교교단,미륵,보살계,신라하대불교문화,불교사사료비판및활용에대해연구하고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7세기후반~8세기전반신라의불교문화읽기
1.전쟁,전쟁의종식과불교계의역할
2.이시기불교문화를해석하는틀과문제제기
3.불교문화의신라다운색깔을‘찾아가다’
4.신라의선택적수용,<무구정광대다라니경>
5.밀교의례,찬술문헌,정불국토,그리고해석

1장나당전쟁과명랑,명랑의정체성
1.전쟁과출가자,그리고명랑
2.명랑의가문과유학
3.당,신라불교계와명랑의수학내용
4.명랑의문두루법설행:신주,밀교경전,밀교의례

2장유학승의귀국과신라찬술문헌의생산
1.신라찬술문헌의현황과찬술시기
2.신라에서의주석서찬술배경과과정
3.신라에서찬술된불교문헌의수집과필사

3장종교적구원,정불국토(淨佛國土)제창
1.신라찬술문헌의주제
2.정불국토의개념과신라불교
3.신라유식학승의정불국토논의
4.전쟁트라우마의처방전,정불국토

4장신라불교문화의글로컬리티
1.당과신라의변화관음사례
2.당과신라의변화관음등장시기
3.당과신라의변화관음차이,어디에서비롯되었나

5장신라중대불교의새로운모색
1.‘황복사지명문’의사료적가치
2.국왕주도불사의목적
3.중대불교계의정치적위상

종장

출판사 서평

전쟁의종식은전쟁,이와함께하던굶주림과전염병,이로인한고통과죽음,죽음보다더무서운죽음의공포에서벗어날수있다는것을의미한다.그런데신라인들은이러한전쟁의트라우마를쉽게벗어날수있었을까.전륜성왕이통치하는나라,왕족이석가족인나라라자처하던신라에서불교에귀의했던지배층과지식인인승려들은전쟁와중에,그리고전쟁이끝났을때무엇을고민하였을까.

전쟁이종식된문무왕후반부터성덕왕이통치하던시기까지,서기7세기후반에서8세기전반에이르는이시기는뜻밖에도신라불교사연구의공백기이다.『삼국사기』,『삼국유사』는물론금석문도이시기자료가부족하여설명하지못하는부분이많다.하지만경덕왕대불국사,석불사의창건은어떻게갑자기가능했던것일까.

저자는이책에서7세기후반에서8세기전반의신라사회를불교문화의신라다운색깔을찾아가던시기라고정의하고,찬술문헌,의례,신앙대상등을통해이를설명하였다.불교공인초창기부터한문을읽고쓸줄알았던출가승들은신라사회의최고엘리트층이기에왕실과정부에서거기에부합하는역할을수행하였다.중고기,특히선덕왕때는불교계지식인에대한국왕의의존도가높았고그만큼지위를보장해주었다.그렇지만전쟁이후에국가정책에따라출가승의정치적위상이약화되었다.그럼에도불구하고출가자와사찰의수는차츰증가하였고,승려들은주요한사회구성원이었으므로,이들이수행한역할을파악함으로써7세기후반~8세기전반신라불교계의‘문화적지역성’을설명할수있다.

당시신라에는천재원효만있었던것이아니다.장안에서당의승려들과어깨를나란히하며불교를연구하던많은승려들이장안에남거나신라로귀국하여자신들이이해한불교를설명하는책을찬술하였고,그일부가남아있다.이를신라찬술문헌이라명명하고,그생산과정을추적하였다.그리고찬술문헌에서신라학승들이강조한‘정불국토(淨佛國土)’가전쟁트라우마로고통받던신라인들에게내려준처방전이라해석하였다.

이시기신라는당의불교문화유행에매우민감하였지만,유행을쫓아가진않았다.신라다운방식으로변용할수있는지적,정신적여유가있었다.저자는변화관음에대한태도를예시로‘선택적수용’을설명하였는데,신라에서왜변화관음의수용이늦었고,현존하는유물이나기록이많지않은것인가대해7세기후반~8세기전반국가와불교계의관계및불교계의사회적역할속에서찾았다.아울러당과달리신라에서는『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납입하거나소탑을새긴탑들이적지않다.신라중대의것으로황복사지삼층석탑(중수,706)이후나원리오층석탑(8세기),불국사삼층석탑(8세기중반)이있고,하대의것으로법광사지삼층석탑(중수,846),창림사지삼층석탑(855),동화사비로암삼층석탑(863)등수많은탑과불상의명문에서무구정광다라니가등장한점을특색으로꼽는다.저자는그이유를신라에서는당에서처럼유교,도교와불교가경쟁하는양상은없었으며공인이후에불교계를사태하는사건도없었다는점과,8세기이후신라가불국토라는관념이형성되고정착된데에는7세기중반수용되어확산되고있던정토왕생신앙과더불어정불국토인식의영향이미쳤던점등에서찾는다.또한저자는「황복사지삼층석탑금동사리함」의명문보다먼저작성된신라의불교금석문이남아있지않다는사실에서‘전륜성왕석가족인식등불교를통치이념으로활용했기에불교식왕명시대라불리는중고기에왜신라인들은금석(金石)에불교적서원을담지않았을까’란의문을제기하면서,불교에서유교로,호국에서추선으로,승관제와종파라는틀에서신라중대의불교를해석하는것이타당한가하는질문을던진다.

저자는이들문제에대해서도앞으로깊이있는논의가이루어지기를기대한다.이시기신라의불교문화의실상을들추어봄으로써한국문화의글로컬리티를함께찾아보았으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