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정계와 간도문제 연구 (양장)

백두산정계와 간도문제 연구 (양장)

$30.00
Description
백두산정계비의 위치 논쟁에서부터 한중간의 국경선, 한중일간의 간도문제에 이르기까지 국경사의 문제들을 풍부한 자료와 현지 조사를 통해 해명한다!
이 책은 재외동포 연구자인 중국사회과학원의 이화자 교수가 한중일 간의 복잡한 문제인 백두산을 경계로 하는 국경선 및 간도문제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저자 이화자 교수는 2003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조청 국경문제에 관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중 양국에서 6종의 저서를 출판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조선ㆍ청 간의 종번(宗藩)관계 하의 변경민의 월경(越境) 교섭, 1712년 백두산정계, 1885ㆍ1887년 조청간의 감계(勘界) 담판 및 1905~1907년 중일간의 ‘간도 문제’를 둘러싼 교섭 등이다. 이번에 새로 간행한 「백두산정계와 간도문제 연구」는 이들 연구의 연장선에서 나온 성과이다. 이 책은 총 세 편으로 나뉘어졌으며, 13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제1편은 고지도ㆍ지리지 연구, 제2편은 백두산정계 연구, 제3편은 간도문제 연구이다.
저자

이화자

저자:이화자
北京大學역사학과졸업(1990)
延邊大學역사학과교수(1992)
延邊大學역사학과석사(1996)
서울대학교인문대학대학원박사(2003)
현재中國社會科學院고대사연구소교수

목차

책머리에

제1편고지도.지리지연구

성경상봉각의‘만문장백산도’에대한고증:강희『황여전람도』와의관계
머리말
1.나이토고난과‘만문장백산도’
2.목극등의제1차답사노선
3.목극등의제2차답사노선
4.해란강.가야하.부르하퉁하의답사노선
5.‘만문장백산도’의특징과지명분석
6.맺는말

콜레주드프랑스소장『천하제국도』와규장각소장『여지도』의비교연구
머리말
1.『천하제국도』와『여지도』의비교및제작시기
2.『천하제국도』와『여지도』속의『목극등정계도』
3.『목극등정계도』와청나라화원이그린‘백산도’와의관계
4.‘이비설’에대한분석
5.맺는말

조선왕조의『서북계도(西北界圖)』:청나라지도.지리지와의관계
머리말
1.『서북계도』의중국도의모본(母本)
2.제기(題記)의내용
3.지도의제작연대
4.『서북계도』의정계비위치와국경인식
5.맺는말

조선시대지리명칭으로서의장백산과백두산
머리말
1.조선초기장백산과백두산의지칭
2.조선후기경성장백산과백두산에대한명확한구분
3.목극등정계시조선에속하지않던백두산이동.이남의지리범위
4.맺는말

제2편백두산정계연구

목극등이정한압록강동원.서원과후세분수령에대한논쟁
머리말
1.목극등이찾아낸압록강동원과서원
2.후세분수령에대한논쟁과압록강수원
3.백두산지역에대한북한.중국의국경획정방안
4.1958~1962년천지를둘러싼국경담판및그결과
5.맺는말

정계비의위치가소백산이아님을논한다:마맹룡(馬孟龍)논문에대한토론
머리말
1.『황여전람도』를참고하여소백산을경계로한다고주장한데대한의문점
2.목극등이소백산에주둔했는지여부
3.홍치중의노정에대한분석
4.1767년비석이소백산에있었다는주장에대한의문
5.맺는말

목극등이정한압록강.두만강분수령의지리형세:소백산설과토론한다
머리말
1.‘만문장백산도’를통해본압.두양강분수령
2.분수령동쪽에서송화강물줄기를배제할수없는이유
3.‘대홍단수상류’의지칭및홍단수와마주한분수령
4.맺는말

김지남의『북정록』과백두산정계
머리말
1.역관김지남과『북정록』
2.차사관.군관의치보(馳報)내용에대한분석
3.목극등과박권사이두만강수원을둘러싼논쟁
4.중국측이지도를제작하는의도를숨긴이유
5.맺는말

청과조선의국경및국경의식:종번관계의구축에서붕괴까지
머리말
1.청과조선의종번관계성립및국경의식
2.종번관계하의백두산정계
3.종번관계하의국경분쟁및처리방식
4.종번관계의붕괴와대한제국의간도정책
5.맺는말

제3편간도문제연구

일본의간도지리개념을이용한확장시도:사이토스에지로의『간도시찰보고서』를중심으로
머리말
1.『간도시찰보고서』의작성배경
2.간도의지리범위와‘고간도(古間島)’
3.일본측이간도범위를설정한의도와책략
4.맺는말

간도중립지대론에대한비판:시노다지사쿠의『백두산정계비』의내용체계
머리말
1.시노다지사쿠와간도문제
2.간도‘중립지대론’
3.1712년백두산정계의불성립에관한주장
4.1887년공동감계결과의불성립에관한주장
5.맺는말

‘간도협약’부도(附圖)에대한고증
머리말
1.‘도문강북잡거구역도’의지리범위와외형특징
2.‘도문강북잡거구역도’의지명분석
3.‘도문강북잡거구역도’에관한중일교섭과담판
4.맺는말

한변외(韓邊外)및‘간도문제’와의관계에대하여
머리말
1.한변외의자치관할과지리범위
2.일본신문매체의한변외.간도에대한혼동및중국측인사들의반격
3.일본정부의간도확장정책과한변외
4.맺는말

출판사 서평

백두산정계비의위치논쟁에서부터한중간의국경선,한중일간의간도문제에이르기까지국경사의문제들을풍부한자료와현지조사를통해해명한다!
이책은재외동포연구자인중국사회과학원의이화자교수가한중일간의복잡한문제인백두산을경계로하는국경선및간도문제의형성과변화과정을체계적으로서술한것이다.
저자이화자교수는2003년서울대학교국사학과에서조청국경문제에관한주제로박사학위를취득한후,오늘에이르기까지한중양국에서6종의저서를출판하였다.그주요내용은조선.청간의종번(宗藩)관계하의변경민의월경(越境)교섭,1712년백두산정계,18851887년조청간의감계(勘界)담판및1905~1907년중일간의‘간도문제’를둘러싼교섭등이다.이번에새로간행한『백두산정계와간도문제연구』는이들연구의연장선에서나온성과이다.이책은총세편으로나뉘어졌으며,13편의논문이수록되었다.제1편은고지도.지리지연구,제2편은백두산정계연구,제3편은간도문제연구이다.

청대이래한중간의국경문제는1712년백두산정계에서부터유래하였다.압록강.두만강을경계로함을정계비에명문화하였을뿐만아니라,백두산지역의국경을정한것에국경사의의미가크다.이는그이후광서(光緖)감계담판(1885~1887),1905~1907년중일간의‘간도문제’담판및1958~1964년중국.북한간의국경문제담판에도영향을미쳤다.
그러나그간한중양국학계의국경문제주장에는큰차이점이있다.중국학계의주요문제점은정계비의위치를놓고이른바백두산설과소백산설이존재하는것이며,후자의경우정계비가소백산(천지동남쪽30㎞에있는산)에세워졌던것을백두산천지근처로옮겨졌다는이른바‘이비설(移碑說)’이존재하였다.한국학계의경우,비문의이른바‘동위토문’에대한해석에착오가발견되며,식민지시대일본학자의영향으로말미암아,토문이두만이아니라송화강상류라는2강설이존재하였다.이는두만강이북에위치한간도(오늘날중국연변의일부)지역의영토귀속문제와도직결된것이다.
저자는위와같은정계비이비설과토문.두만2강설을비판하는과정에서새로운자료를확보하게된것이이번책의큰성과로들고있다.콜레주드프랑스에소장된『천하제국도(天下諸國圖)』에수록된『목극등정계도』는한국측정계지도이고,나이토코난(內藤湖南)이성경(盛京)상봉각(祥鳳閣)에서발견한‘만문장백산도’는중국측관련지도이다.저자는자료에대한발견또는재발견을통하여백두산정계연구의영역을넓힐수있었고백두산설의사료적근거를더욱충실히할수있었다.
책의제1편은고지도.지리지에대한연구이다.중국측의‘만문장백산도’,한국측의『목극등정계도』.『서북계도』등에대한고증을통하여,지도의제작연대를밝혀냈을뿐만아니라,백두산정계연구에서의높은사료적가치에대해재천명하였다.또한관찬지리지를통하여,조선시대지리명칭으로서의‘장백산’과‘백두산’에대해알아봄과동시에목극등정계이전조선의범위에속하지않던백두산이남지리범위에대해서도살펴보았다.
제2편은백두산정계연구이다.한중양측고지도.지리지및조선측일기자료,예컨대역관김지남의『북정록』등을통하여,목극등이비석을세운입비처의위치,그가정한두만강수원.압록강수원및그의하산노선등에대해살펴봄으로써이른바‘소백산설’에대해비판하였다.아울러청과조선의국경의식과국경분쟁에대한처리방식을종번관계의구축에서붕괴까지의서로다른양상을통해살펴보았다.
제3편은중일간간도문제에대한연구이다.일본의‘간도(間島)’지리개념을통한확장시도를사이토스에지로(齋藤季治郞)가조선통감부에올린『간도시찰보고서』를통해살펴보았으며,해방후한국학계에지대한영향을미쳤던시노다지사쿠(篠田治策)의『백두산정계비』의이른바간도‘중립지대론’의학술적근거를분석함으로써,그가두만강경계를극구부정하고‘중립지대’론을펼친것은일본정부의간도확장정책에일조하기위한것이었으며,그침략성에대한비판이부족함을지적하였다.이밖에‘간도협약’의부도인‘도문강북잡거구역도’의모본과중일간의담판및중국산동(山東)이민이위주가된‘한변외(韓邊外)’와간도문제와의관계등에대해서도살펴보았다.

이책의학술적성과는소백산설을비판하는과정에서백두산정계에대한자료를재발견함으로써연구의영역을넓힌것을꼽을수있다.가장돋보이는것은나이토코난이1905년성경상봉각에서발견한‘만문장백산도’에대한재발견으로써,이를조선측지도자료예컨대콜레주드프랑스에소장된『천하제국도』와서울대학교규장각에소장된『여지도』속의『목극등정계도』및김지남의『북정록』등과비교분석하여,‘만문장백산도’의사료적가치를재천명하였을뿐만아니라,백두산설의근거를더욱확고히한것을들수있다.
또한중국학계에서여전히큰영향을미치고있는‘소백산이비설’에대한비판으로이비설의근거에대한분석을통하여,그착오의원인이서로다른판본자료에대한오해,예컨대어윤강(서두수임)에서백두산까지300리를5일(승정원일기)에도착하였음을5리(숙종실록)로착각한데따른문제점,목극등이두만강을따라내려갔는데,“그물이남증산근처에와서합쳤다.”(『북정록』의국편필사본)라는어구를그반대로,“그물이남증산근처에와서합치지않았다”(『북정록』의백산문화본)로착각한데따른문제점,그리고백두산지역의산과하천의지리위치에대한착각등에있음을들어,이비설이성립되지않음을지적하였다.
끝으로,중일간의‘간도문제’에대한깊이있는연구를한것도이책의성과이다.특히한국학계에큰영향을미쳤던일본학자인시노다지사쿠의간도‘중립지대론’의학술적근거가잘못되었음을분석함과동시에‘간도협약’의부도에대한분석을통하여,그속에숨어있는일본의침략야욕에대해폭로하였다.아울러중국측의투쟁으로말미암아‘간도협약’부도에‘간도’명칭이사라진점,토문.두만2강설이극복되고중국측정식명칭인‘도문강(圖們江)’으로표기된점등에대해논술하였다.이책은1712년백두산정계비수립으로부터한중국경사및간도문제등에대한한중일삼국의사료를종합적으로이용하고저자의현지답사성과를결합하여,국경사의연구수준을한단계진전시킨역작이라고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