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반야바라밀다경 5 (양장)

마하반야바라밀다경 5 (양장)

$42.00
Description
우리나라 불자들에게 가장 익숙한 경전은 『반야심경』과 『금강경』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경전 모두 반야부의 경전으로, 반야는 불교에서 말하는 제법의 이치를 확실하게 꿰뚫어보는, 일반적으로 세상에서 통용되는 지식과는 구별해 종교적이고 초월적인 지혜를 말한다. 대승불교의 보살이 세상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천행의 수행법인 10바라밀 중에서, 반야바라밀은 다른 아홉 가지의 바라밀을 완성시키는 근거가 된다.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은 대략 AD.1~200년경에 성립되었다고 하며, 인도의 쿠샨 왕조시대에 남인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고 추정되고, 뒤에 북인도에서 대중화되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도 많은 부분이 남아있다. 이 경전의 번역 저본은 고려대장경에 수록된 『대반야바라밀다경』으로 당의 삼장법사 현장이 방주의 옥화궁사에서 659년 혹은 660년에 번역을 시작하여 663년에 번역한 경전으로, 당시까지 번역된 경전과 현장이 새롭게 번역한 경전들을 모두 함께 수록하고 있다.
저자

석보운

저자:석보운
대한불교조계종제2교구본사용주사에서출가하였고,문학박사이다.현재대한불교조계종교육아사리(계율)이고,죽림불교문화연구원에서연구와번역을병행하고있다.

목차

역자의말

해제(解題)

초분初分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1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19)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2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0)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3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1)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4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2)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5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3)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6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4)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7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5)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8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6)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29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7)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0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8)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1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29)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2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0)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3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1)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4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2)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5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3)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6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4)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7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5)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8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6)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39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7)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0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8)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1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39)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2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0)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3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1)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4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2)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5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3)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6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4)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7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5)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8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6)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49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7)
마하반야바라밀다경제150권
30.교량공덕품(校量功悳品)(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