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역사 그리고 욕망의 서사

신화와 역사 그리고 욕망의 서사

$22.00
Description
신화와 역사의 퍼즐 맞추기
신화가 역사의 또 다른 얼굴이라면 역사의 신화화와 신화의 역사화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이 책은 신화 속 역사에 담긴 이야기와 문학작품 속 욕망의 서사에 대한 통시적 천착을 독특하게 보여준다. 신화와 역사의 서사적 이면에서 주인공들이 펼치는 삶의 시원을 퍼즐 맞추듯 추적해 간다. 시원을 알아야 이야기 속 욕망의 구조도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때로 안개 속 신화 이야기와 역사적 사실 사이의 드넓은 배경을 넘나들기도 하고, 희미한 역사적 단서의 좁은 틈을 비집고 들어가기도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서사적 주인공들의 이동 경로와 삶의 공간에 대한 역사·문화적 심층을 찾아간다.
이러한 학문적 노력은, 그들이 남긴 구체적 서사의 이면 속에서 우리의 역사·문화적 얼굴과 혼을 새롭게 만나볼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이해가 만만치 않은 시간의 심층에 숨겨져 있는 신화와 역사의 실존적 가치를 새로운 문화적 지평 위로 끌어올린다.
저자

이봉일

1963년경북봉화에서태어났고,경희대학교국어국문학과및동대학원을졸업했다.현재경희사이버대학교미디어문예창작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저서로『1950년대분단소설연구』,『이데올로기의유령을넘어서』,『문학과정신분석』이있고,역서로『인간언어기원론』이있다.지금은뇌과학을토대로문학서사,스토리텔링,정신분석등인간정신의실존적기원연구에집중하고있다.

목차

1부신화와역사

1.신화와역사의간극-김수로왕신화에대한역사적이해
2.「삼국유사(三國遺事)」‘연오랑세오녀’(延烏郞細烏女)와「고사기(古事記)」‘신라왕자아메노히보코(天之日矛)’이야기
3.‘아름답다’는어휘로살펴본한국인의미의식
4.신라‘제48대경문대왕(景文大王)설화’와이를바탕으로창작된현대소설의서사적의미
5.매와매사냥의역사와어휘연구

2부문명과욕망

1.문명의성숙을위한몇가지조건-「까토의자유」론
2.그림책「강아지똥」과생태사상
3.「산불」과성적욕망의서사
4.가족서사와아버지콤플렉스
5.「해를품은달」의서사와신자유주의이념
6.SNS사회적텍스트와집단지성-트위터를중심으로
7.천사는팜츄리나무아래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