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 족보를 통해 본 한국인의 정체성

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 족보를 통해 본 한국인의 정체성

$25.00
Description
우리 조상들이 살아온 치열한 삶의 이야기, 족보를 말하다!
족보를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살핀 『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 족보는 언제부터 생겼을까? 우리가 처음 족보를 만든 것은 15세기 무렵이지만 실제적인 기점은 17세기 후반, 오늘날의 형태를 갖춘 일반적인 족보는 18세기에 이르러서야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이 책은 족보가 만들어지는 초기 족보의 형태부터 이후 시대상의 변화에 따라 족보들이 진화해가는 모습, 족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 문화 현상, 족보의 허상과 실재를 살펴봄으로써 족보가 단순한 생물학적 계보를 추적한 것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현상을 반영한 것이었음을 짚어본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1부에서 우리 족보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2부에서는 족보의 중요한 요소인 성씨와 본관, 조상 찾기를 다룬다. 3부에서는 집단기억와 족보의 문화사를, 4부에서는 조상과 족보에 대한 전통 가꾸기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서양의 족보, 개 족보, 말 족보 등과 같은 다양한 족보를 살펴보고, 더불어 150여 컷의 컬러 도판을 실어 족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과거의 현재적 의미를 재구성해주는 족보를 통해 나의 뿌리 찾기라는 정체성 확인과 함께 우리의 역사 인식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저자

박홍갑

저자박홍갑은1955년경북청도에서출생했다.영남대대학원에서『조선전기음직연구』로문학박사학위를취득했다.국사편찬위원회편사연구사,편사연구관,연구편찬실장,편사부장및상임위원등을역임했다.조선시대정치?사회사분야40여편의논문을토대로,,등학술서적을저술했고,,,등교양서적들을집필하여우리역사의대중화에힘을쏟아왔다.

목차

목차
들어가며
제1부우리족보변천사
제1장족보의발달단계와그특징
1.족보란무엇인가?
2.우리가계기록의연원과현황
3.족보의원형,가승과족도
4.초기족보,내외자손록과내외종합보
5.족?보다운족보,합동계보-초보草譜에서간행본으로
6.파보에서대동보로-국성國姓전주이씨사례
제2장특수한족보와생뚱맞은족보
1.왕실족보《선원록》과《선원계보기략》
2.족보의파생상품,팔고조도와16조도
3.내시의족보,《양세계보》
4.벼슬길따라나뉜《문보》《무보》《음보》
5.만인의족보,만성보
6.《사성강목》과《선세외가족보》
제2부성씨와본관그리고조상찾기
제1장성씨와본관의이중주
1.고유성씨와외래성씨
2.본관,대동강에서원산만이남의어느행정구역
3.발해왕대조영후손의본관만들기
4.출신지가없었던한국인
5.조상,우리에겐선조인가,신인가?
6.환부역조와창씨개명
제2장시조와조상만들기
1.시조,여러인물중에행운을누린단한사람
2.시조는왜유명인물뿐인가?
3.내조상이중국에서왔다는데?
4.실질적인시조,기가조
5.제2의본관을연사람,입향조
제3부집단기억과족보의문화사
제1장족보의사회사,족보의문화사
1.시조할배와집단기억
2.조상감추기와전통만들기
3.족보여!진실의종을울려라
4.18세기의신종사업,족보장사
5.가족주의와집단주의의그늘,우리가남이가?
6.도시전설,천방지축마골피
제2장족보에목을매는사람들
1.혈통의줄을바르게하라-첨간添刊과별보別譜의마력
2.종손자리를탐하는계보전쟁
3.시조를놓고벌이는문중간의시비
4.나도양반의피를물려받았는데
5.기생첩과어우동,왕가의자손
6.고문서에나타난보송譜訟사례
제4부조상과족보에대한전통가꾸기
제1장전통사회의족보와보학
1.계보추적두원리가낳은촌수와항렬
2.전통사회읽기의키워드,조상과족보
3.조선지식인의필수교양,보학
4.차이에서차별로,여성과외손
5.시조동원설과조상만들기
6.현대판보학의대가들
제2장조상과족보를통한전통가꾸기
1.개족보,말족보그리고인간족보
2.다문화사회와시조할머니
3.영남사람호남사람,그대의본관지는안녕하신가?
4.몇대손인가,몇세손인가?헷갈리는논쟁
5.연줄로맺은세상,연줄로풀자
6.유구한내가문전통가꾸기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출판사서평
다원화된현대사회를살아가는우리에게족보란무엇인가
--족보의탄생에서부터변천의과정,그리고그허구와실체를추적한다
우리의‘조상과족보’에관한태도는일정한역사성의틀을넘어고유의심성으로까지깊이파고들어있다.예컨대다원화된현대사회를살아가는오늘날에도혼사나집안대소사에빠지지않는것이조상이요,족보다.그리하여시조할배를비롯한조상의뿌리찾기와위선사업에혼신의힘을쏟아붓는것은물론이고,때로는조상의실체에대해제대로밝히려는학자들의연구결과에개입하려고도한다.이렇듯...
다원화된현대사회를살아가는우리에게족보란무엇인가
--족보의탄생에서부터변천의과정,그리고그허구와실체를추적한다
우리의‘조상과족보’에관한태도는일정한역사성의틀을넘어고유의심성으로까지깊이파고들어있다.예컨대다원화된현대사회를살아가는오늘날에도혼사나집안대소사에빠지지않는것이조상이요,족보다.그리하여시조할배를비롯한조상의뿌리찾기와위선사업에혼신의힘을쏟아붓는것은물론이고,때로는조상의실체에대해제대로밝히려는학자들의연구결과에개입하려고도한다.이렇듯우리에게조상과족보는과거가아니라현재진행형이며,부정적인요소와긍정적인요소가병존하고있다.조선전기까지만해도보이지않던조상에대한무조건적인관념이한국인특유의정서로자리잡아현재에까지이르게된이유는무엇일까.
따라서조상과족보에대한실상을제대로파악하고,그바탕위에서조상과족보에대한새로운전통가꾸기를시도할필요가있는것이다.이책에서는족보가만들어지는초기족보의형태부터그이후시대상의변화에따라족보들이진화해가는모습,족보를둘러싼다양한사회문화현상,족보의허상과실재들을살펴보며,족보가단순한생물학적계보를추적한것이아니라당대의사회현상을반영한결과물이었다는것을짚어본다.이렇게족보의역사적배경과형태를추적하여살펴본다고하여이책이고리타분한전통살리기식으로접근한것은아니다.물론지금의관점에서야부질없어보여도당시로서는심각하기이를데없었을명분에싸인다양한시비문화나웃음을자아내는에피소드들,천방지축마골피와같은어처구니없는도시전설등의이야기를통해,족보를둘러싼우리조상들이살아온치열한삶의이야기들이라할수있다.
더불어서양에서만들어지는족보들과,사람족보보다더철저히관리되는개족보나말족보도들여다보고우리의족보가갖는의미를짚어본다.
한편150여컷의컬러도판을실어우리족보에대한풍부한이해를돕고있다.
이책의내용과구성은
제1부우리족보변천사
제1장족보의발달단계와그특징
족보란‘한성씨의시조를기점으로하여,그로부터출생한자손을일정한형식과범위로망라한집단적가계기록’이라정의할수있다.따라서우리가족보를만들기시작한것은15세기부터지만실제적인기점은17세기후반이되고,우리가일반적으로생각하는족보는18세기에완성된형태로자리잡는다.초기족보에는외손당대만이아니라외손의외손의외손으로한없이이어지는외후손을족보에차별없이등재하여,내외손을구분하지않고동등하게가족의지위를인정했다.그리고양자를들여가계를잇는다는개념도없어서가계가단절된경우도많았다.
실질적인족보는합동계보로서‘창시보’를드는데,이는인쇄물로간행된족보를말하며,공동발의와공동노력에의해편찬,간행됐다.구체적으로족보에수록할명단및관련기사의작성과제출,편찬과간행에들어가는경비역시공동으로부담하는것이원칙이었다.
족보의형태는개인단위의조상을밝힌가승(家乘)류나본인을기준으로종적인조상세계를계보화한세계도(世系圖),횡적인자녀와내ㆍ외손의파계를정리한것이족도(族圖)등의초기족보에서그다음단계인8촌이내에드는내ㆍ외손모두를형식에구애받지않고수록한내외자손록,내ㆍ외손을동일하게추적해수록한내외종합보등의형태로변화해갔고,,이것이다시오늘날의족보형태인합동계보로이행해갔으며,다시수록범위를성관(姓貫)전체로포괄하는‘대동보(大同譜)’로진화해갔다.
제2장특수한족보와생뚱맞은족보
족보에는여러성씨를망라한족보의백과사전인‘만성보(萬姓譜)’부류와《선원록(璿源錄)》,《종친록(宗親錄)》등의왕실족보가있으며,내시도가계의족보인《양세계보(養世系譜)》,관직에진출한사람의계보를밝힌《진신보(搢紳譜)》나《잠영보(簪纓譜)》등이있다.그리고문과급제자에관한인명록이나일반문사록에해당하는문보(文譜),무관출신집안의가계를정리한무보(武譜),그리고음직으로진출한인물의가계를수록한음보(蔭譜)가있었다.
또한만성보로는19세기후반부터20세기초반까지는이창현의《성원록(姓源錄)》,《백씨통보》,해남윤씨종가에소장된《만가보》등이전해진다.20세기에접어들면활자본으로만성보를간행하기시작해1916년에목활자본으로간행된《동국만성잠영보》,1924년윤창현에의해편찬된《조선씨족통보》,1925년송윤식등에의해편찬된《청구씨보》,1931년윤직구에의해간행된종합씨족보의결정판이라할《만성대동보》등이있었다.
한편,고성이씨가문에서편찬한《사성강목(四姓綱目)》이나《선세외가족보(先世外家族譜)》처럼다소특이한족보도있었다.16세기말송암이노에의해편찬된《사성강목》은보기드문독특한보첩양식으로,족보작성자이노를기점으로부의내ㆍ외변과모의내ㆍ외변에네개의성씨와혼인으로연결된가문의선계(先系)와후손을인물전기형식으로정리하여주목할만한데,특히입양제도나적서문제에대한인식의변화상이나타나있다.《선세외가족보》는외가의계보를추적한외보(外譜)로,대개외보는역대직계조상의배우자를대상으로그종족의시조부터배우자당대까지계보를수록했다는데,이족보는마치팔고조도처럼외가뿐아니라외가의외가까지수록하는방식을취했다.
제2부성씨와본관그리고조상찾기
제1장성씨와본관의이중주
우리성씨가본격적으로사용되기시작한시기는신라말에서고려초기다.당시제작된각종금석문을비롯해《삼국사기》나《삼국유사》에등장하는인물을보면고유인명이많은데,이는아직중국식한자성을받아들이는초기단계였다.간혹한자식성명이나오기는하지만,고구려와백제계통의성은그계보가후대에까지연결되지않았다.따라서통일신라이전에는중국과달리고유명만사용하다가그후점차중국식한자로된성을받아들이면서성과이름이조합된것으로봐야한다.
신라에는글자수가일정치않은즉거칠부,이사부,비지부,급진부등과같은이두식이름만있었다.그러다가신라가통일한이후중후기에이르러중국에서한자식두글자로된세련된이름이도입되고,아울러이시기에박ㆍ석ㆍ김을비롯한고유성씨까지출현하게됐다.따라서박ㆍ석ㆍ김은신라건국당시부터있었던것이아니라,후대에소급해붙였다고본다.
우리나라최초의성씨는7세기후반금석문인문무왕릉비에서부터나타났다.6세기중반에세워진진흥왕순수비에는수많은수행인원이나오지만성을사용한예는없다.그러다가9세기에접어들어당나라에유학을갔다왔거나,대외무역과정에서중국의유명성씨를도입하는사례가늘어났다.
오늘날본관의의미는크게세가지다.첫째는시조가살았던거주지이거나출신지요,둘째는동일한본관을사용하는사람모두피를나눈혈족집단의일원이라는것,셋째는문벌의식을드러내는기호로서의역할이다.우리는오랜동안성과본관이실과바늘처럼따라다니는관습속에서살아왔지만,실은7세기이후성이사용되고보급됐다면본관은적어도10세기중엽이후에나타났다고본다.
우리가흔히사용하는‘성씨’라는어휘는성과씨를합성한것인데,성은부계를중심으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