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외교 무대에서 음악을 사용하는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궁정악단에 몇 명의 트럼펫 주자가 있느냐에 따라 그 나라의 국력을 평가할 때도 있었다. 정치적 메시지와 전혀 상관없는 음악이라고 하더라도 얼마든지 외교 무대에서 정치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음악 행사를 동반하는 외교교섭 활동은 음악가에게 자신의 음악을 다른 나라에 홍보하고 보급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그런 면에서 음악과 외교는 공생 관계다.
이 책의 ‘역사에서 배우는 음악외교’에서는 루이 14세, 메테르니히 등 정치가들이 외교 목적으로 음악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외교 업무까지 수행한 음악가들은 누구인지를 소개했다. ‘제1, 2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속에서’는 전쟁의 여파로 프랑스에서 왜 독일 작곡가의 음악이 금지되었는지,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 독일이 음악으로 주변의 점령국 국민의 마음을 어떻게 제압하려고 했는지를 살펴본다. ‘한미동맹과 음악 원조’는 한국전쟁 직후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교향악단과 음악인들의 면면을 다룬다. ‘냉전 시대의 음악 외교’에서는 1960년대 이후 미국과 소련이 음악을 통해 전개한 ‘문화전쟁’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해외로 뻗어가는 음악 강국 코리아’에서는 국내 음악단체의 해외 공연의 역사를 살펴본다. 부록에는 음악과 외교의 역사를 연표로 실었다.
이 책의 ‘역사에서 배우는 음악외교’에서는 루이 14세, 메테르니히 등 정치가들이 외교 목적으로 음악을 어떻게 활용했는지, 외교 업무까지 수행한 음악가들은 누구인지를 소개했다. ‘제1, 2차 세계대전의 소용돌이 속에서’는 전쟁의 여파로 프랑스에서 왜 독일 작곡가의 음악이 금지되었는지, 제2차 세계대전 때 나치 독일이 음악으로 주변의 점령국 국민의 마음을 어떻게 제압하려고 했는지를 살펴본다. ‘한미동맹과 음악 원조’는 한국전쟁 직후 한국을 방문한 미국의 교향악단과 음악인들의 면면을 다룬다. ‘냉전 시대의 음악 외교’에서는 1960년대 이후 미국과 소련이 음악을 통해 전개한 ‘문화전쟁’을 다룬다. 마지막으로 ‘해외로 뻗어가는 음악 강국 코리아’에서는 국내 음악단체의 해외 공연의 역사를 살펴본다. 부록에는 음악과 외교의 역사를 연표로 실었다.

국경을 넘는 음악외교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