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세계문학상 우수상, 4·3평화문학상 수상 작가 임재희 소설집
여기에도 저기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는
주변인과 경계인의 삶이란 얼마나 고단한가!
여기에도 저기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는
주변인과 경계인의 삶이란 얼마나 고단한가!
2013년 장편소설 《당신의 파라다이스》로 세계문학상 우수상, 2023년 장편소설 《세 개의 빛으로》로 4·3평화문학상을 수상한 임재희 작가의 첫 번째 소설집이다. 20대에 미국으로 이민갔다 한국으로 돌아와 살고 있는 작가의 경험이 투영된 작품 아홉 편이 실려 있다. 2018년에 출간된 것을 이번에 표지와 편집을 완전히 새로 해 재출간한 것이다.
소설 속 인물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한국인으로 한국에서 살다 미국에 정착한 사람들, 한국인으로 미국에서 살다 한국으로 돌아온 사람들, 한국인으로 한국에서 평생 사는 사람들이다. 작가는 이들 세 부류의 인간형을 통해 여기에도 저기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는 ‘주변인’ 또는 ‘경계인’의 고단한 삶과 내면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20대에 미국 이민 길에 올랐던 나는 생존의 언어와 사유의 언어가 다를 수밖에 없는 이민 세대에 속한다. 혀에 지문처럼 새겨진 모국어가 자연스럽게 사유 세계를 지배하는 언어였다면, 생존의 언어는 밥벌이와 생활에 필요한 제2의 도구처럼 몹시 이질적이어서 내 안에 두 개의 세계가 따로 존재했던 것 같다”고 말하는 작가는 “‘그곳’에서도, 다시 돌아온 ‘이곳’에서도 바깥에 머무는 마음으로 오랫동안 서성이곤 했다”고 고백한다.
이러한 이질감은 〈히어 앤 데어〉,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방인의 냄새라도 맡았다는 말일까. 산속을 오래 헤매다 돌아온 짐승의 냄새처럼 야성적이고 쓸쓸한 기운이라도 감지했다는 말일까. 그것도 아니라면 혹시 승객들을 뒤따라 나오는 모습이 어리바리해 보였던 걸까. 동희는 외국에서 오래 살다 왔다는 사실을 굳이 숨기고 싶지는 않았지만 들키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히어 앤 데어〉 중). “폴은 발걸음이 금방 떼어지지 않았다. 그는 반쯤 펼쳐진 여권을 잠시 바라보다 주머니에 다시 넣었고 두 개의 트렁크를 카트에 실었다. 그리고 버릇처럼 자신의 행동을 자꾸 되짚어 보았다. 한국에 와서 생긴 이상한 버릇이었다. 그의 한국어 억양이 상대방에게 짜증을 불러일으킬 만한 것인가 먼저 생각했다. 엄마 말대로 그는 천천히 또박또박, 존칭어를 곁들여, 크지도 작지도 않은 목소리와 함께 얼굴에 미소를 담아 말했다. 그런데 이런 대접이라니”(〈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 중).
이들이 미국에서 살다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 이유는 저마다 다르다. 사람들은 묻는다. “왜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냐고.” 미국에 갔을 때도 그런 질문을 받는다. “왜 미국에 왔냐고.” 작품 속 주인공은 그때마다 단답형의 대답을 찾아보려 했지만 늘 명쾌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모든 것이 이유 같았고 모든 것이 이유가 아닌 것만 같았다”는 것.
그런가 하면 한국을 떠나 미국에서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의 삶도 만만치 않다. “출근 차량이 길게 이어지는 도로는 정체가 심했다. 나는 동생과 무슨 얘기라도 나누고 싶었다. 전에 살던 곳보다 렌트가 오백 달러나 더 비싼 곳에 사는 기분이 어떤지. 생활이 너무 빠듯한 건 아닌지. 너무 바쁘게 살고 있는 건 아닌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살고 싶은 건 아닌지. 피아노를 전공하는 딸과 이제 대학에 들어간 아들 하나 키우기 위해 남은 인생 전부를 건 것은 아닌지. 아무리 동네가 안전하고 좋다지만 방 두 개짜리 아파트는 부부만을 위한 공간이 없으니 좀 넓은 곳으로 이사 가는 건 어떤지”(〈라스트 북스토어〉 중). “남편은 반은 영어, 반은 한국어를 섞어 말했다. 점점 영어에 더 가까웠다. 술이 과하면 나오는 버릇이었다. 초대한 사람들 가운데 남편의 술버릇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모두 남편과 비슷한 시기에 이민을 왔거나 유학을 왔다 정착한 사람들이었다. “이 사람은 술 취하면 꼭 언어를 섞더라. 완전 창조적인 제3의 언어로 말이야!”(〈로사의 연못〉 중).
그렇다고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것도 녹록지 않다. “세상은 불행의 시간을 먹고도 지치지 않았는지 끝을 알 수 없는 곳으로 계속 흘러갔다. 작은아버지는 불구가 되어 오토바이를 버렸고 저승으로 가면서 휠체어를 버렸다. 친척들은 옷자락 끝에라도 불행의 씨가 묻을까 작은엄마를 멀리했고 작은엄마는 그들로부터 스스로 멀어져 가는 방법을 택하며 자존심을 지켰다”(〈동국〉 중).
“고향을 달콤하게 여기는 사람은 아직 미숙하고,
모든 곳을 고향으로 여기는 사람은 이미 강하며,
전 세계를 타향으로 여기는 사람은 완벽하다” - 빅토르 위고
이처럼 떠나는 것도, 돌아오는 것도, 한곳에 붙박여 사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작가는 하와이 이민 1세대의 신산한 삶을 그린 《당신의 파라다이스》에서 “내 소설 속 인물들을 떠올린다. 흑백사진에서 튀어나온 듯한 그들이 내 어깨를 툭툭 치며 이렇게 물을 것만 같다. ‘당신의 파라다이스는 어디쯤에 있습니까?’ 나는 낙원을 향해 가는 긴 여정이 파라다이스라고 생각한다. 파라다이스가 생존의 장소가 되었을 때, 그곳은 일상에 파묻혀 빛을 잃고 삶은 또 어쩔 수 없이 새로운 파라다이스를 꿈꾸게 한다”고.
이에 대해 허희 문학평론가는 위 빅토르 위고의 언명과 “양 진영의 한계에 서 있는 망명자야말로 단수의 눈이 아닌, 복수의 눈을 갖는다”고 설파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을 인용하며 “낙원으로 가는 길 위에서의 삶이 곧 낙원이라는 통찰” 이것이 바로 임재희 소설의 일관된 테마라고 말한다. 낙원은 이편에 있으면서도 없고, 저편에 없으면서도 있다는 점에서 실체화된 파라다이스로의 입성은 영원히 불가능하겠지만, 결국 현재 서 있는 곳이 자신이 존재하고 있는 곳이라는 인식이 중요하다는 것. 이는 작가가 독자에게 전하는 소중한 깨달음이 아닐 수 없다.
소설 속 인물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한국인으로 한국에서 살다 미국에 정착한 사람들, 한국인으로 미국에서 살다 한국으로 돌아온 사람들, 한국인으로 한국에서 평생 사는 사람들이다. 작가는 이들 세 부류의 인간형을 통해 여기에도 저기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하는 ‘주변인’ 또는 ‘경계인’의 고단한 삶과 내면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20대에 미국 이민 길에 올랐던 나는 생존의 언어와 사유의 언어가 다를 수밖에 없는 이민 세대에 속한다. 혀에 지문처럼 새겨진 모국어가 자연스럽게 사유 세계를 지배하는 언어였다면, 생존의 언어는 밥벌이와 생활에 필요한 제2의 도구처럼 몹시 이질적이어서 내 안에 두 개의 세계가 따로 존재했던 것 같다”고 말하는 작가는 “‘그곳’에서도, 다시 돌아온 ‘이곳’에서도 바깥에 머무는 마음으로 오랫동안 서성이곤 했다”고 고백한다.
이러한 이질감은 〈히어 앤 데어〉,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에서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방인의 냄새라도 맡았다는 말일까. 산속을 오래 헤매다 돌아온 짐승의 냄새처럼 야성적이고 쓸쓸한 기운이라도 감지했다는 말일까. 그것도 아니라면 혹시 승객들을 뒤따라 나오는 모습이 어리바리해 보였던 걸까. 동희는 외국에서 오래 살다 왔다는 사실을 굳이 숨기고 싶지는 않았지만 들키고 싶은 마음도 없었다”(〈히어 앤 데어〉 중). “폴은 발걸음이 금방 떼어지지 않았다. 그는 반쯤 펼쳐진 여권을 잠시 바라보다 주머니에 다시 넣었고 두 개의 트렁크를 카트에 실었다. 그리고 버릇처럼 자신의 행동을 자꾸 되짚어 보았다. 한국에 와서 생긴 이상한 버릇이었다. 그의 한국어 억양이 상대방에게 짜증을 불러일으킬 만한 것인가 먼저 생각했다. 엄마 말대로 그는 천천히 또박또박, 존칭어를 곁들여, 크지도 작지도 않은 목소리와 함께 얼굴에 미소를 담아 말했다. 그런데 이런 대접이라니”(〈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 중).
이들이 미국에서 살다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 이유는 저마다 다르다. 사람들은 묻는다. “왜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냐고.” 미국에 갔을 때도 그런 질문을 받는다. “왜 미국에 왔냐고.” 작품 속 주인공은 그때마다 단답형의 대답을 찾아보려 했지만 늘 명쾌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모든 것이 이유 같았고 모든 것이 이유가 아닌 것만 같았다”는 것.
그런가 하면 한국을 떠나 미국에서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고 있는 이들의 삶도 만만치 않다. “출근 차량이 길게 이어지는 도로는 정체가 심했다. 나는 동생과 무슨 얘기라도 나누고 싶었다. 전에 살던 곳보다 렌트가 오백 달러나 더 비싼 곳에 사는 기분이 어떤지. 생활이 너무 빠듯한 건 아닌지. 너무 바쁘게 살고 있는 건 아닌지. 다시 한국으로 돌아가 살고 싶은 건 아닌지. 피아노를 전공하는 딸과 이제 대학에 들어간 아들 하나 키우기 위해 남은 인생 전부를 건 것은 아닌지. 아무리 동네가 안전하고 좋다지만 방 두 개짜리 아파트는 부부만을 위한 공간이 없으니 좀 넓은 곳으로 이사 가는 건 어떤지”(〈라스트 북스토어〉 중). “남편은 반은 영어, 반은 한국어를 섞어 말했다. 점점 영어에 더 가까웠다. 술이 과하면 나오는 버릇이었다. 초대한 사람들 가운데 남편의 술버릇을 모르는 사람이 없었다. 모두 남편과 비슷한 시기에 이민을 왔거나 유학을 왔다 정착한 사람들이었다. “이 사람은 술 취하면 꼭 언어를 섞더라. 완전 창조적인 제3의 언어로 말이야!”(〈로사의 연못〉 중).
그렇다고 한국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것도 녹록지 않다. “세상은 불행의 시간을 먹고도 지치지 않았는지 끝을 알 수 없는 곳으로 계속 흘러갔다. 작은아버지는 불구가 되어 오토바이를 버렸고 저승으로 가면서 휠체어를 버렸다. 친척들은 옷자락 끝에라도 불행의 씨가 묻을까 작은엄마를 멀리했고 작은엄마는 그들로부터 스스로 멀어져 가는 방법을 택하며 자존심을 지켰다”(〈동국〉 중).
“고향을 달콤하게 여기는 사람은 아직 미숙하고,
모든 곳을 고향으로 여기는 사람은 이미 강하며,
전 세계를 타향으로 여기는 사람은 완벽하다” - 빅토르 위고
이처럼 떠나는 것도, 돌아오는 것도, 한곳에 붙박여 사는 것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작가는 하와이 이민 1세대의 신산한 삶을 그린 《당신의 파라다이스》에서 “내 소설 속 인물들을 떠올린다. 흑백사진에서 튀어나온 듯한 그들이 내 어깨를 툭툭 치며 이렇게 물을 것만 같다. ‘당신의 파라다이스는 어디쯤에 있습니까?’ 나는 낙원을 향해 가는 긴 여정이 파라다이스라고 생각한다. 파라다이스가 생존의 장소가 되었을 때, 그곳은 일상에 파묻혀 빛을 잃고 삶은 또 어쩔 수 없이 새로운 파라다이스를 꿈꾸게 한다”고.
이에 대해 허희 문학평론가는 위 빅토르 위고의 언명과 “양 진영의 한계에 서 있는 망명자야말로 단수의 눈이 아닌, 복수의 눈을 갖는다”고 설파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말을 인용하며 “낙원으로 가는 길 위에서의 삶이 곧 낙원이라는 통찰” 이것이 바로 임재희 소설의 일관된 테마라고 말한다. 낙원은 이편에 있으면서도 없고, 저편에 없으면서도 있다는 점에서 실체화된 파라다이스로의 입성은 영원히 불가능하겠지만, 결국 현재 서 있는 곳이 자신이 존재하고 있는 곳이라는 인식이 중요하다는 것. 이는 작가가 독자에게 전하는 소중한 깨달음이 아닐 수 없다.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폴의 하루
$1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