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역 시경집전 (상)

신역 시경집전 (상)

$38.00
Description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시경(詩經)》
본서(本書)는 《시경(詩經)》 20권과 이에 대한 주자(朱子)의 《집전(集傳)》에 현토(懸吐)하고 역주(譯註)한 것이다. 《시경》은 B. C. 11세기부터 B. C. 5세기 즉 서주(西周)로부터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이르기까지 약 6백년간의 운문(韻文)을 모은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으로 알려져 있다. 일찍이 《서경(書經)》ㆍ《역경(易經)》과 함께 삼경(三經)으로 칭해지고, 여기에 《예경(禮經)》ㆍ《악경(樂經)》ㆍ《춘추경(春秋經)》을 더하여 육경(六經)으로 불리며 모든 경(經)의 으뜸으로 손꼽혀 왔다.
《시경》은 모두 311편으로 엮어져 있다. 이 가운데 〈소아(小雅)〉의 생시(笙詩)인 〈남해(南陔)〉ㆍ〈백화(白華)〉ㆍ〈화서(華黍)〉ㆍ〈유경(由庚)〉ㆍ〈숭구(崇丘)〉ㆍ〈유의(由儀)〉의 6편은 가사가 없으므로 실제는 305편인 셈이다. 이 때문에 보통 ‘시삼백(詩三百)’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시는 문장의 정화(精華)라 하여 파경(葩經)이라고도 한다.
《시경》은 사언(四言)이 주종(主宗)을 이루고 있지만 삼언(三言)에서부터 구언(九言)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다양하다. 그리하여 후세의 사부(辭賦)는 물론이요, 각종 시체(詩體)도 이 《시경》에서 발달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시경》을 공부함에 있어서는 굳이 주자설에만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초학자들은 훈고(訓詁)와 뜻풀이가 비교적 명확한 주자의 《집전》에 입각(立脚)하여 경문(經文)을 완전히 파악한 다음 타당성 있는 이설(異說)을 수용하는 것이 학시(學詩)의 첩경(捷徑)이라고 여겨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경》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우리 선조들의 시사상(詩思想)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성백효

역자:성백효

충남忠南예산禮山에서태어났다.가정에서부친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한문을수학했고,월곡月谷황경연黃璟淵서암瑞巖김희진金熙鎭선생으로부터사사했다.민족문화추진회부설국역연수원연수부수료,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한문교육과를수료하였고,한국고전번역원명예교수,전통문화연구회부회장등을역임하였으며,현재사단법인해동경사연구소소장을맡고있다.

번역서로는《사서집주四書集註》,《시경집전詩經集傳》,《서경집전書經集傳》,《주역전의周易傳義》,《고문진보古文眞寶》,《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심경부주心經附註》,《통감절요通鑑節要》,《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소식蘇軾》,《고봉집高峰集》,《독곡집獨谷集》,《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송자대전宋子大全》,《약천집藥泉集》,《양천세고陽川世稿》,《여헌집旅軒集》,《율곡전서栗谷全書》,《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존재집存齋集》,《퇴계전서退溪全書》,《현토신역부안설논어집주懸吐新譯附按說論語集註》,《현토신역부안설맹자집주懸吐新譯附按說孟子集註》,《현토신역부안설대학중용집주懸吐新譯附按說大學中庸集註》,《최신판논어집주論語集註》,《최신판맹자집주孟子集註》,《최신판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논어집주상설論語集註詳說》,《맹자집주상설孟子集註詳說》,《대학중용집주상설大學中庸集註詳說》,《고문진보후집1,2》,《조선후기한문비평1,2》,《신역新譯주역전의周易傳義》등이있다.

목차

詩經集傳(上)

발간사8
해제10
시경집전서(詩經集傳序)24
시서변설(詩序辨說)29

*****<국풍國風>일(一)*****

〈주남(周南)〉1-1[一之一]
1.관저(關雎)35
2.갈담(葛覃)48
3.권이(卷耳)52
4.규목55
5.종사57
6.도요(桃夭)59
7.토저62
8.부이63
9.한광(漢廣)65
10.여분(汝墳)69
11.린지지(麟之趾)72

〈소남(召南)〉1-2[一之二]
1.작소(鵲巢)76
2.채번79
3.초충(草蟲)81
4.채빈83
5.감당(甘棠)86
6.행로(行露)88
7.고양(羔羊)91
8.은기뢰93
9.표유매96
10.소성(小星)97
11.강유사100
12.야유사균102
13.하피농의104
14.추우(騶虞)108

〈패풍〉1-3[一之三]
1.백주(柏舟)115
2.녹의(綠衣)122
3.연연(燕燕)125
4.일월(日月)128
5.종풍(終風)132
6.격고(擊鼓)135
7.개풍(凱風)139
8.웅치(雄雉)143
9.포유고엽(匏有苦葉)146
10.곡풍(谷風)149
11.식미(式微)157
12.모구159
13.간혜(簡兮)163
14.천수(泉水)167
15.북문(北門)171
16.북풍(北風)174
17.정녀(靜女)176
18.신대(新臺)178
19.이자승주(二子乘舟)181

〈용풍〉1-4[一之四]
1.백주(柏舟)184
2.장유자(牆有茨)186
3.군자해로(君子偕老)189
4.상중(桑中)193
5.순지분분200
6.정지방중(定之方中)202
7.체동207
8.상서(相鼠)210
9.간모211
10.재치(載馳)214

〈위풍(衛風)〉1-5[一之五]
1.기욱(淇奧)220
2.고반(考槃)224
3.석인(碩人)227
4.맹(氓)232
5.죽간(竹竿)239
6.환란242
7.하광(河廣)244
8.백혜(伯兮)246
9.유호(有狐)250
10.목과(木瓜)253

〈왕풍(王風)〉1-6[一之六]
1.서리(黍離)257
2.군자우역(君子于役)261
3.군자양양(君子陽陽)263
4.양지수(揚之水)265
5.중곡유퇴269
6.토원(兎爰)272
7.갈류275
8.채갈(采葛)277
9.대거(大車)279
10.구중유마(丘中有麻)281

〈정풍(鄭風)〉1-7[一之七]
1.치의(緇衣)284
2.장중자(將仲子)287
3.숙우전(叔于田)289
4.대숙우전(大叔于田)292
5.청인(淸人)295
6.고구299
7.준대로(遵大路)302
8.여왈계명(女曰鷄鳴)303
9.유녀동거(有女同車)307
10.산유부소(山有扶蘇)310
11.탁혜312
12.교동(狡童)313
13.건상316
14.봉318
15.동문지선320
16.풍우(風雨)321
17.자금(子衿)323
18.양지수(揚之水)325
19.출기동문(出其東門)327
20.야유만초(野有蔓草)329
21.진유(溱洧)331

〈제풍(齊風)〉1-8[一之八]
1.계명(鷄鳴)335
2.선(還)337
3.저(著)339
4.동방지일(東方之日)341
5.동방미명(東方未明)343
6.남산(南山)345
7.보전(甫田)349
8.노령(盧令)351
9.폐구353
10.재구(載驅)355
11.의차357

<위풍(魏風)>1-9[一之九]
1.갈구362
2.분저여365
3.원유도(園有桃)367
4.척호(陟岵)370
5.십무지간(十畝之間)372
6.벌단(伐檀)374
7.석서(碩鼠)377

〈당풍(唐風)〉1-10[一之十]
1.실솔380
2.산유추(山有樞)384
3.양지수(揚之水)387
4.초료(椒聊)390
5.주무(綢繆)392
6.체두394
7.고구396
8.보우398
9.무의(無衣)400
10.유체지두403
11.갈생(葛生)405
12.채령408

〈진풍(秦風)〉1-11[一之十一]
1.거린412
2.사철414
3.소융(小戎)416
4.겸가422
5.종남(終南)425
6.황조(黃鳥)427
7.신풍(晨風)431
8.무의(無衣)434
9.위양(渭陽)437
10.권여(權輿)440

〈진풍(陳風)〉1-12[一之十二]
1.완구(宛丘)444
2.동문지분446
3.횡문(衡門)448
4.동문지지(東門之池)450
5.동문지양(東門之楊)451
6.묘문(墓門)453
7.방유작소(防有鵲巢)455
8.월출(月出)457
9.주림(株林)459
10.택피(澤陂)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