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역 시경집전 (하)

신역 시경집전 (하)

$38.00
Description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시경(詩經)》
본서(本書)는 《시경(詩經)》 20권과 이에 대한 주자(朱子)의 《집전(集傳)》에 현토(懸吐)하고 역주(譯註)한 것이다. 《시경》은 B. C. 11세기부터 B. C. 5세기 즉 서주(西周)로부터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이르기까지 약 6백년간의 운문(韻文)을 모은 것으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으로 알려져 있다. 일찍이 《서경(書經)》ㆍ《역경(易經)》과 함께 삼경(三經)으로 칭해지고, 여기에 《예경(禮經)》ㆍ《악경(樂經)》ㆍ《춘추경(春秋經)》을 더하여 육경(六經)으로 불리며 모든 경(經)의 으뜸으로 손꼽혀 왔다.
《시경》은 모두 311편으로 엮어져 있다. 이 가운데 〈소아(小雅)〉의 생시(笙詩)인 〈남해(南陔)〉ㆍ〈백화(白華)〉ㆍ〈화서(華黍)〉ㆍ〈유경(由庚)〉ㆍ〈숭구(崇丘)〉ㆍ〈유의(由儀)〉의 6편은 가사가 없으므로 실제는 305편인 셈이다. 이 때문에 보통 ‘시삼백(詩三百)’이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시는 문장의 정화(精華)라 하여 파경(葩經)이라고도 한다.
《시경》은 사언(四言)이 주종(主宗)을 이루고 있지만 삼언(三言)에서부터 구언(九言)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다양하다. 그리하여 후세의 사부(辭賦)는 물론이요, 각종 시체(詩體)도 이 《시경》에서 발달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시경》을 공부함에 있어서는 굳이 주자설에만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다만 초학자들은 훈고(訓詁)와 뜻풀이가 비교적 명확한 주자의 《집전》에 입각(立脚)하여 경문(經文)을 완전히 파악한 다음 타당성 있는 이설(異說)을 수용하는 것이 학시(學詩)의 첩경(捷徑)이라고 여겨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경》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우리 선조들의 시사상(詩思想)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성백효

역자:성백효

충남忠南예산禮山에서태어났다.가정에서부친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한문을수학했고,월곡月谷황경연黃璟淵서암瑞巖김희진金熙鎭선생으로부터사사했다.민족문화추진회부설국역연수원연수부수료,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한문교육과를수료하였고,한국고전번역원명예교수,전통문화연구회부회장등을역임하였으며,현재사단법인해동경사연구소소장을맡고있다.

번역서로는《사서집주四書集註》,《시경집전詩經集傳》,《서경집전書經集傳》,《주역전의周易傳義》,《고문진보古文眞寶》,《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심경부주心經附註》,《통감절요通鑑節要》,《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소식蘇軾》,《고봉집高峰集》,《독곡집獨谷集》,《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송자대전宋子大全》,《약천집藥泉集》,《양천세고陽川世稿》,《여헌집旅軒集》,《율곡전서栗谷全書》,《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존재집存齋集》,《퇴계전서退溪全書》,《현토신역부안설논어집주懸吐新譯附按說論語集註》,《현토신역부안설맹자집주懸吐新譯附按說孟子集註》,《현토신역부안설대학중용집주懸吐新譯附按說大學中庸集註》,《최신판논어집주論語集註》,《최신판맹자집주孟子集註》,《최신판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논어집주상설論語集註詳說》,《맹자집주상설孟子集註詳說》,《대학중용집주상설大學中庸集註詳說》,《고문진보후집1,2》,《조선후기한문비평1,2》,《신역新譯주역전의周易傳義》등이있다.

목차

詩經集傳(下)

*****〈대아(大雅)〉삼(三)*****

〈문왕지십(文王之什)〉3-1[三之一]
1.문왕(文王)12
2.대명(大明)23
3.면31
4.역복41
5.한록(旱麓)45
6.사재(思齊)49
7.황의(皇矣)54
8.령대(靈臺)67
9.하무(下武)72
10.문왕유성(文王有聲)76

〈생민지십(生民之什)〉3-2[三之二]
1.생민(生民)84
2.행위(行葦)94
3.기취(旣醉)101
4.부예106
5.가락(假樂)109
6.공류(公劉)113
7.형작(泂酌)122
8.권아(卷阿)124
9.민로(民勞)131
10.판(板)136

<탕지십(蕩之什)>3-3[三之三]
1.탕(蕩)144
2.억(抑)151
3.상유(桑柔)166
4.운한(雲漢)181
5.숭고(崧高)190
6.증민(烝民)197
7.한혁(韓奕)206
8.강한(江漢)214
9.상무(常武)220
10.첨앙226
11.소민(召旻)233

*****〈송(頌)〉4(四)*****

〈청묘지십(淸廟之什)〉4-1[四之一]
1.청묘(淸廟)241
2.유천지명(維天之命)244
3.유청(維淸)246
4.열문(烈文)247
5.천작(天作)249
6.호천유성명(昊天有成命)251
7.아장(我將)258
8.시매(時邁)261
9.집경(執競)265
10.사문(思文)268

〈신공지십(臣工之什)〉4-2[四之二]
1.신공(臣工)270
2.희희272
3.진로(振鷺)274
4.풍년276
5.유고278
6.잠(潛)281
7.옹282
8.재현(載見)286
9.유객(有客)288
10.무(武)290

〈민여소자지십(閔予小子之什)〉4-3[四之三]
1.민여소자(閔予小子)292
2.방락(訪落)294
3.경지(敬之)296
4.소비(小毖)297
5.재삼(載芟)299
6.양사304
7.사의(絲衣)307
8.작(酌)309
9.환(桓)311
10.뢰(賚)313
11.반(般)314

〈노송(魯頌)〉4-4[四之四]
1.경318
2.유필323
3.반수(泮水)325
4.비궁331

〈상송(商頌)〉4-5[四之五]
1.나(那)345
2.열조(烈祖)350
3.현조(玄鳥)353
4.장발(長發)357
5.은무(殷武)365

〈부록>
시전강령(詩傳綱領)372
시전도(詩傳圖)394~424
詩經集傳大全引用先儒姓氏表425
四書에引用된詩經의內容427
御定五經百篇431
한글현토의풀이[俚讀解]432
감사의글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