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필립 퍼키스의 마지막 사진집 [노탄]
75년 동안 사진가로 살아 온 필립 퍼키스는 2007년 한 쪽 눈을 실명하고 양쪽 시력이 모두 악화된 2021년 말, 더이상 암실 작업을 할 수 없게 되자 사진 중단을 선언했다. 〈사진강의 노트〉를 시작 으로 스승의 사진집을 7권 만들어온 제자 박태희는 스승의 중단된 사진 작업이 이야기로 지속되도록 15주간의 인터뷰를 기획했다. 이를테면 어린 시절의 가장 기억나는 장면들이나, 군대 시절 이야 기 같은 인생 전반에 관한 질문부터 가르치는 직업이 예술작업에 도움이 되는지, 자신의 사진에 대 한 글을 사진가가 직접 쓰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같은 구체적인 질문들을 매주 이메일로 보냈고 토요일 전화통화로 1시간 가량 이어진 답변을 녹음했다. 시릴라 모젠터가 녹취된 원고를 반복적으로 읽어주었고 필립 퍼키스가 직접 책에 들어갈 내용을 발췌했다.
“인생의 여러 시기에 찍은 오랜 필름들을 점검하며 인화를 하고 있었다. 많은 고민이 있었고 시릴라와 상의 끝에 작은 자동 카메라로(라이카로는 더 이상 숫자를 볼 수 없기에)- 매일 사진을 찍고 작업의 질이 떨어질 때까지 필름을 현상하고 인화하기로 결정했다. 시릴라가 돕기로 했다. 1년을 예상했는데 결국 16개월 동안 지속했다. 이 작업에서 고른 사진들을 책에 실었다.” P13
필립 퍼키스는 시력의 악화를 예감한 2019년 말 부터 하루에 한장씩 사진을 찍고 인화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년 6개월간 지속된 마지막 사진 작업 33장이 [노탄]에 실렸다. [노탄]은 서문, 대화, 사진과 이야기들 총 3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고 서문에서 '노탄'이란 생소한 제목에 대해 설명한다.
"노탄은 음양의 원리처럼 주제와 배경 중 어느 것도 우세하지 않은 일본의 디자인 개념이다. 검은색이 흰색보다 중요하지 않고 흰색은 검은색보다 중요하지 않다. 교토에 있는 갈퀴 모양의 정원에 대해서도 생각했는데, 정원의 무언가가 다른 것들보다 더 "중요" 하게 부각되면 그 정원은 실패한 것이다. 발레를 볼 때, 특히 파 드 되에서, 두 무용수의 몸과 몸 사이의 모양은 각자의 몸 자체의 모양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P17
이어서 그는 오랫동안 예술과 주제의 관계에 관심을 쏟았다고 밝힌다. '무엇'을 찍어야 하는 사진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 아니라 '무엇'에 대한 묘사와 추상이 만들어내는 긴장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시력이 악화되는 동안, 그는 자신의 현실을 악화가 아니라 변화로 받아들이며 사진에서 주제가 차지하는 의미를 오래 전에 발견한 [노탄]의 개념과 연결시킨다. 그리고 존 케이지의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는 인용으로 서문을 마무리하며 제목의 의도를 짧고 강렬하게 요약해낸다.
[대화]편에는 사진을 시작하기 전부터 마지막 사진 작업을 끝낸 시점까지, 생애의 사이 사이를 관 통하는 이야기들이 부유하는 공기처럼 우리 곁을 맴돈다. 질문을 적시하지 않고, 먼 곳에서 보이는 풍경처럼 단편적인 이야기들만 채취해 드러내기에, 마치 우연히 발견한 낡은 사진처럼 독자에게 제시될 뿐 몰입을 강요하지 않는다. 하지만 음조가 맞지 않게 연주하듯 이 말하는 방식 속에 명징하게 증명할 수 없는 삶의 비밀이 담겨 있다면 어떨까. 다른 모든 것과 분리된 각각의 프레임들이 벽돌처럼 쌓여 직조해내는 세계, 나즈막하게 들려오는 가장 사적인 순간들로부터, 목적을 지니고 길을 잃고 떠돌아다닌 한 사진가의 궤적이, 그 의도가 묵직하게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사진과 이야기들]편에는 사진들과 더불어 5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사진들은 주로 집 주변과 작은 공원에서 촬영한 것이다. 직접 암실에서 인화한 67장의 사진 가운데 최종 33장의 사진이 [노탄]에 수록되었다. 사진들 사이에 자리한 5편의 이야기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의 답변처럼 읽힌다. 한편에는 예술이 있고 한편에는 삶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는 증언.
“그가 포착하는 선율은 점점 무조에 가까워지고 템포는 점점 느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그가 노년에 들어섰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육체와 영혼의 활력이 줄어들어 관조하는 자의 시선으로, 보다 정 적인 세계로 옮겨 갔다고 말이다. 그러나 나는 이 변화가 필연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떨림을 찾아 빈 공간을 떠도는 순례자이므로 그 틈새로 더욱 깊이 들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더 넓은 광야는 더 많은 정적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는 계속 걸어가고 있다.”_최원호 ([혼자가 되는 책들] 저자)
바라본다는 것, 사진을 찍는다는 것, 암실에 있다는 것, 기억한다는 것, 요리한다는 것, 인화한다는 것, 앞이 안 보인다는 사실을 경험한다는 것 … 대체 이 모든 작업은 무엇을 위한 것일까. 1935년생 필립 퍼키스는 우리 자신의 한계를 극복해나가는 방식이 작업이란 사실을 여전히 증명해보이는 중이다. 그 작업이 무엇이든, 만약 앞이 보이지 않는다면, 그 보이지 않는 고통마저도 바라보는 작업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초라한 우리 자신의 구원을 이야기하자면 오로지 작업의 실행 밖에 답이 없다는 것. 세상에서 잃어버린 빛으로 자신의 컴컴한 내부를 환하게 비출 때 바라보던 나는 빛 속에 존재한다는 것. 이것이 필립 퍼키스가 말한 바라보기의 신비다. 하루 종일 앉아 자신에게 주어진 육체의 고통마저도 바라본다는 이 눈 먼 사진가는 오직 바라보기를 통해 삶의 신비를 깨닫는 일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필립 퍼키스는 마지막 사진집 [노탄]으로 사진가로서의 임무를 마무리하고 있다.
“노탄에 대한 나의 첫 인상은 필립의 자유로움이었다. 태희는 '뼈만 남은 것 같다'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두려워 마지 않는 그런 자유 아닌가." _빈센트 만지 (사진가)
“인생의 여러 시기에 찍은 오랜 필름들을 점검하며 인화를 하고 있었다. 많은 고민이 있었고 시릴라와 상의 끝에 작은 자동 카메라로(라이카로는 더 이상 숫자를 볼 수 없기에)- 매일 사진을 찍고 작업의 질이 떨어질 때까지 필름을 현상하고 인화하기로 결정했다. 시릴라가 돕기로 했다. 1년을 예상했는데 결국 16개월 동안 지속했다. 이 작업에서 고른 사진들을 책에 실었다.” P13
필립 퍼키스는 시력의 악화를 예감한 2019년 말 부터 하루에 한장씩 사진을 찍고 인화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1년 6개월간 지속된 마지막 사진 작업 33장이 [노탄]에 실렸다. [노탄]은 서문, 대화, 사진과 이야기들 총 3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고 서문에서 '노탄'이란 생소한 제목에 대해 설명한다.
"노탄은 음양의 원리처럼 주제와 배경 중 어느 것도 우세하지 않은 일본의 디자인 개념이다. 검은색이 흰색보다 중요하지 않고 흰색은 검은색보다 중요하지 않다. 교토에 있는 갈퀴 모양의 정원에 대해서도 생각했는데, 정원의 무언가가 다른 것들보다 더 "중요" 하게 부각되면 그 정원은 실패한 것이다. 발레를 볼 때, 특히 파 드 되에서, 두 무용수의 몸과 몸 사이의 모양은 각자의 몸 자체의 모양 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P17
이어서 그는 오랫동안 예술과 주제의 관계에 관심을 쏟았다고 밝힌다. '무엇'을 찍어야 하는 사진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이 아니라 '무엇'에 대한 묘사와 추상이 만들어내는 긴장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시력이 악화되는 동안, 그는 자신의 현실을 악화가 아니라 변화로 받아들이며 사진에서 주제가 차지하는 의미를 오래 전에 발견한 [노탄]의 개념과 연결시킨다. 그리고 존 케이지의 〈중요하지 않은 것은 없다〉는 인용으로 서문을 마무리하며 제목의 의도를 짧고 강렬하게 요약해낸다.
[대화]편에는 사진을 시작하기 전부터 마지막 사진 작업을 끝낸 시점까지, 생애의 사이 사이를 관 통하는 이야기들이 부유하는 공기처럼 우리 곁을 맴돈다. 질문을 적시하지 않고, 먼 곳에서 보이는 풍경처럼 단편적인 이야기들만 채취해 드러내기에, 마치 우연히 발견한 낡은 사진처럼 독자에게 제시될 뿐 몰입을 강요하지 않는다. 하지만 음조가 맞지 않게 연주하듯 이 말하는 방식 속에 명징하게 증명할 수 없는 삶의 비밀이 담겨 있다면 어떨까. 다른 모든 것과 분리된 각각의 프레임들이 벽돌처럼 쌓여 직조해내는 세계, 나즈막하게 들려오는 가장 사적인 순간들로부터, 목적을 지니고 길을 잃고 떠돌아다닌 한 사진가의 궤적이, 그 의도가 묵직하게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사진과 이야기들]편에는 사진들과 더불어 5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사진들은 주로 집 주변과 작은 공원에서 촬영한 것이다. 직접 암실에서 인화한 67장의 사진 가운데 최종 33장의 사진이 [노탄]에 수록되었다. 사진들 사이에 자리한 5편의 이야기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의 답변처럼 읽힌다. 한편에는 예술이 있고 한편에는 삶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다는 증언.
“그가 포착하는 선율은 점점 무조에 가까워지고 템포는 점점 느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그가 노년에 들어섰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육체와 영혼의 활력이 줄어들어 관조하는 자의 시선으로, 보다 정 적인 세계로 옮겨 갔다고 말이다. 그러나 나는 이 변화가 필연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떨림을 찾아 빈 공간을 떠도는 순례자이므로 그 틈새로 더욱 깊이 들어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더 넓은 광야는 더 많은 정적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그는 계속 걸어가고 있다.”_최원호 ([혼자가 되는 책들] 저자)
바라본다는 것, 사진을 찍는다는 것, 암실에 있다는 것, 기억한다는 것, 요리한다는 것, 인화한다는 것, 앞이 안 보인다는 사실을 경험한다는 것 … 대체 이 모든 작업은 무엇을 위한 것일까. 1935년생 필립 퍼키스는 우리 자신의 한계를 극복해나가는 방식이 작업이란 사실을 여전히 증명해보이는 중이다. 그 작업이 무엇이든, 만약 앞이 보이지 않는다면, 그 보이지 않는 고통마저도 바라보는 작업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초라한 우리 자신의 구원을 이야기하자면 오로지 작업의 실행 밖에 답이 없다는 것. 세상에서 잃어버린 빛으로 자신의 컴컴한 내부를 환하게 비출 때 바라보던 나는 빛 속에 존재한다는 것. 이것이 필립 퍼키스가 말한 바라보기의 신비다. 하루 종일 앉아 자신에게 주어진 육체의 고통마저도 바라본다는 이 눈 먼 사진가는 오직 바라보기를 통해 삶의 신비를 깨닫는 일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필립 퍼키스는 마지막 사진집 [노탄]으로 사진가로서의 임무를 마무리하고 있다.
“노탄에 대한 나의 첫 인상은 필립의 자유로움이었다. 태희는 '뼈만 남은 것 같다'고 했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두려워 마지 않는 그런 자유 아닌가." _빈센트 만지 (사진가)
노탄 : 필립 퍼키스의 마지막 사진집 (양장)
$2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