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물

진화하는 물

$33.83
Description
『진화하는 물』은 생물학에서 물이 차지하는 역할에 관한 책이다. 폴락의 질문은 평이하다. 왜 젖은 모래에는 발이 빠지지 않을까? 운동장의 장축보다 더 높이 자라는 아메리카 삼나무 꼭대기까지 물은 어떻게 올라갈 수 있을까? 혹시 우리 세포는 겔과 같은 것이 아닐까? 물은 단백질에 붙들려 있어서 흘러가는 강물과 다른 성질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닐까? 21세기를 맞은 지도 10여 년이 지난 지금껏 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인미답 상태다. 그렇지만 물은 도처에 있다. 물이 없으면 아무것도 없다. 그렇지만 스스로 질문해 보자. 물은 어디에서 왔는가?

저자

제럴드폴락

저자제럴드폴락(GeraldH.Pollack)은근육의수축과운동에관한연구분야를이끌고있는세계적인학자다.1968년펜실베이니아대학에서박사학위를받았고지금은시애틀에있는워싱턴대학생물공학과교수다?.그의관심사는매우다양해서심장동력학과근육수축에관한전기생리학뿐만아니라세포생물학에도깊은관심을보이고연구를계속해왔다.또10여년동안근육수축의분자메커니즘을연구하는국제그룹을이끌었다.그런연구의성과를인정받아여러상을수상했다.쿨카(Kulka)상,JSEM(Journal
ofStructuralEngineeringandMechanics)우수논문상,생체공학펠로십등이그것이다.많은국제학회를주관했으며여러논문의편집자로일해왔다.지금까지아홉권의책을썼다.1990년에저술한그의책《근육을움직이는분자들:생명체가움직인다는것은무엇인가》는미국기술자협회에서최우수상을받았다.

목차

목차
한국어판서문··················vii
머리말·····················xiii
제1부확고한진리를향해
1장신화뒤집기··················3
2장죽어가는세포의신음소리···········37
3장세포질불협화음···············61
제2부토대로부터빌딩세우기
4장물······················85
5장용질····················129
6장이온····················147
7장세포전위··················167
제3부세포기능을향한하나의가설
8장상전이:세포활동을수행하는기전·······187
제4부세포동력학으로
9장분비····················221
10장활동전위·················243
11장물질운반·················273
12장선택적인물질운반·············309
13장세포분열·················351
14장근육수축·················379
제5부느슨한끈을묶으며
15장에너지···················419
16장세포기능에관한새로운패러다임······447
참고문헌····················479
해설······················523
지은이에대해··················528
옮긴이에대해··················529

출판사 서평

출판사서평
**21세기를맞은지도10여년이지난지금껏물에관한연구는거의전인미답상태다.그렇지만물은도처에있다.물이없으면아무것도없다.그렇지만스스로질문해보자.물은어디에서왔는가?
이책은생물학에서물이차지하는역할에관한책이다.세포안의70%를물이차지하고있다고말한다.아마무게비율일것이다.정통생물학은물을언급하지않는다.아니,굳이말하자면물의물리화학적성질몇가지를말한다.물을피하기위해이중지질막이생겨난것이라고기술하는것이굳이생물학과관련이있다면그럴...
**21세기를맞은지도10여년이지난지금껏물에관한연구는거의전인미답상태다.그렇지만물은도처에있다.물이없으면아무것도없다.그렇지만스스로질문해보자.물은어디에서왔는가?
이책은생물학에서물이차지하는역할에관한책이다.세포안의70%를물이차지하고있다고말한다.아마무게비율일것이다.정통생물학은물을언급하지않는다.아니,굳이말하자면물의물리화학적성질몇가지를말한다.물을피하기위해이중지질막이생겨난것이라고기술하는것이굳이생물학과관련이있다면그럴수도있을것이다.물과접하고있는쪽으로친수성있는부분이배치되다보니지금과같은세포막구조가생겼다는것이다.그렇다고해두자.세포안은어떤가?세포안에존재하는70%의물은어떤상태로존재하고그것이세포의기능에어떤식의기여를하는것일까?암세포에서물의행동방식은달라져있을까?이런식의질문은끝이없지만사실답을기대하고서하는물음은아닐것이다.그러나이제생물학은이질문에답해야한다.
폴락의질문은평이하다.왜젖은모래에는발이빠지지않을까?운동장의장축보다더높이자라는아메리카삼나무꼭대기까지물은어떻게올라갈수있을까?혹시우리세포는겔과같은것이아닐까?물은단백질에붙들려있어서흘러가는강물과다른성질을갖고있는것은아닐까?
폴락은물의입장에서세포막에박혀있는채널과펌프의기능을새롭게해석한다.세포를푸딩같은겔처럼생각하면세포내용물의분비혹은운반과같은기본적인세포과정은어떻게해석될까?또세포분열과근육의운동은어떤가?폴락은이때상전이(PhaseTransition)라는개념을동원한다.겔속의물이단백질구조변화에발맞춰들락날락하면서복잡한생물학적기제가작동한다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