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명단편선 10: 구원을 향하다

$21.50
Description

메이지부터 쇼와 전기, 그리고 전후의 작품까지, 일본 근현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명단편을 모았다. 주제별 단편집 출간은 그동안 한국 출판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동안 단편적으로 일본 근대 작품들을 읽은 독자라면 이 시리즈를 통해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체계적으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근대 문학 전문가의 정확한 번역과 전문적인 해설, 풍부한 주석은 독자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격동하는 일본 개화기의 현장으로 안내할 것이다. 10권에서는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작은 왕국>을 비롯해 11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저자

다니자키 준이치로(谷崎潤一郎, 1886∼1965)
조부 사망 후 가세가 기울어 고등학교에서 퇴학 위기에 처한다. 숙부의 도움으로 도쿄제국대학에 입학하지만 신경 쇠약으로 집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신사조(新思潮)≫ 창간호에 ≪문신(刺青)≫을 발표, 나가이 가후의 격찬을 받는다. 그의 문학은 세 시기로 구분되는데, 제1기는 성도착과 개방적인 서양의 미를 추구한 서양 숭배를 다룬 시기, 제2기는 간토 대지진 때문에 간사이로 이주한 후 일본 전통의 아름다움을 추구한 고전 회귀의 시기, 제3기는 노인 문학의 시기다. 대표 작품으로는 ≪문신(刺青)≫, ≪후미코의 발(富美子の足)≫, ≪치인의 사랑(痴人の愛)≫, ≪춘금초(春琴抄)≫, ≪미친 노인의 일기(瘋癲老人日記)≫ 등이 있다.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 1972∼1896)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 문학을 가르치는 ‘하기노야(萩の舎)’에서 고전문학을 배웠다. 어머니와 여동생 등 세 사람의 생활을 책임지는 처녀 가장으로서 궁핍한 삶을 산다. ≪아사히 신문(朝日新聞)≫ 기자이자 문학가 나카라이 도스이에게 사사하며 소설을 발표한다. 대표작은 주로 단편소설로<키대보기(たけくらべ)>,<흐린 강(にごりえ)>,<십삼야(十三夜>, 〈눈 오는 날(雪の日)〉, 〈섣달 그믐날(大つごもり)〉, 〈처마에 걸린 달(軒もる月)〉 등이다. ‘하기노야’의 스승 나카지마 우타코는 이치요를 헤이안 시대의 재녀 세이쇼나곤에 비유했다.

구니키다 돗포(国木田独歩, 1871∼1908)
일본 자연주의 문학의 선구자. 자연과의 대화를 통한 자기의 확립과 문학적 표현을 획득해 인생의 애상을 서정적으로 그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작은 자연 풍경 속의 조화로운 인간을 발견한 〈잊히지 않는 사람들(忘れ得ぬ人々)〉과 무사시노(武蔵野)의 자연미를 시적인 요소로 함축한 <무사시노>, 사교 클럽에 모인 사람들이 인생을 이야기하는 형식을 통해 돗포의 사상을 말하는 <쇠고기와 감자(牛肉と馬鈴薯)>, 아버지가 다른 여동생임을 모르고 결혼한 남성의 고뇌를 다룬 <운명론자(運命論者)> 등.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1892∼1927)
외가에 양자로 들어가 두 이모가 그를 양육하는 환경에서 자랐다. ≪신사조≫ 창간호에 <코(鼻)>를 발표해 나쓰메 소세키의 격찬을 받는다. 초기에는 일본의 고전 작품에서 소재를 얻었다. ‘왕조물’, ‘기독교물’, ‘에도물’, ‘개화기물’, ‘현대물’ 등의 다양한 소재를 가지고, <나생문(羅生門)>,<마죽(芋粥)> 등 150편 정도의 단편 소설을 남겼다. 건강 악화, 염세적 경향의 심화, 어머니의 정신질환, 누이 가족이 연관된 문제, 작품 창작 등의 스트레스로 35세 나이에 수면제 과다 복용으로 세상을 뜬다. 친구인 기쿠치 간이 그를 기념해 제정한 아쿠타가와상(芥川賞)은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이 됐다.

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 1896∼1933)
시인이며 동화 작가, 농촌 운동가, ≪법화경≫의 행자였다. 겐지에게 가장 영향을 주었고 생애를 통제한 것은 니치렌(日蓮)과 니치렌을 통해 얻어진 ≪법화경≫의 이념이었다. ‘법화 문학’의 구현이라는 종교 영성적 이념으로 짧은 생애 동안 100여 편의 동화와 시를 썼다. 대표 작품으로 시집 ≪봄과 수라(春と修羅)≫ 1∼4집, 대표 동화로 ≪주문이 많은 요리점(注文の多い料理店)≫, ≪은하철도의 밤(銀河鉄道の夜)≫, ≪바람의 마타사부로(風の叉三郎)≫ 등이 있다.

고바야시 다키지
오타루상과대학 재학 때 학우회 잡지 ≪다루쇼(樽商)≫에 작품을 투고하기 시작했다. 졸업 후 홋카이도척식은행 오타루 지점에서 일했고, 친구들과 ≪클라르테≫라는 동인지를 펴내기도 했다. 동시에 사회주의적인 주제로 여러 소설을 발표했다. 유명한 작품으로 ≪방설림(防雪林)≫, <1928년 3월 15일>, ≪게잡이 공선(蟹工船)≫ 등이 있다. 이데올로기적인 활동이 원인이 되어 결국 은행원직을 잃는다. 도쿄로 가서 공산당 당원이 되었다.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몇 번이나 투옥되었지만, 인기 있는 프롤레타리아 소설가로서 적극적인 활동을 해 나갔다.

니이미 난키치
어린이 잡지 ≪빨강 새(赤い鳥)≫에 처음으로 동요 <창(窓)> 게재. 1936년 도쿄외국어대 영어과를 졸업하고, 교사로 부임했다.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에게 문학적 영향을 받았다. 만 30세에 결핵으로 요절. 고향 지타 반도를 무대로 소박한 서민의 삶과 어린이 모습, 동물 등 풍부한 이야기를 그리며 마음의 소통과 아름다운 삶이라는 보편적 주제를 서정적 문장으로 잘 표현했다. 대표작에 <달팽이의 슬픔(デンデンムシノカナシミ)>, <할아버지의 램프(おぢいさんのランプ)>, <장갑을 사러(手袋を買いに)> 등이 있다.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1909∼1948)
부모의 사랑을 모른 채 유모의 손에서 자란다. 카페 호스티스와 투신자살을 기도했는데 혼자만 살아남은 체험이 평생 죄의식으로 남는다. 진통제 파비날 중독자가 된다. 치료를 위해 입원 중 아내의 불륜으로 이혼한다. 재혼 후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누리며 활발한 작가 활동을 한다. 패전 후 윤리적 기반을 잃은 일본 사회에 가장 어울리는 무뢰파 작가로서, 사카구치 안고, 오다 사쿠노스케 등과 함께 ‘데카당스 문학’ ‘무뢰파 문학’이라 불리며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던 일본 젊은이들에게 열광적인 지지를 얻는다. 대표작은 ≪만년(晩年)≫, ≪사양(斜陽)≫, 〈달려라 메로스〉, ≪쓰기루(津軽)≫, 〈여학생〉, 〈비용의 아내〉 등. 폐 질환이 악화되자 자전적 소설 ≪인간 실격(人間失格)≫을 남기고 카페 여급과 함께 저수지에 몸을 던진다.

목차
  • 작은 왕국(小さな王?) - 다니자키 준이치로 / 허호
    고토 소리(琴の音) - 히구치 이치요 / 이부용
    쇠고기와 감자(牛肉と馬鈴薯) - 구니키다 돗포 / 이정희
    거미줄(蜘蛛の?)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김현주
    검은 옷의 성모(?衣聖母)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김은영
    두자춘(杜子春)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 전은향
    십력의 금강석(十力の金剛石) - 미야자와 겐지 / 심종숙
    빛의 맨발(光の素足) - 미야자와 겐지 / 박경연
    사람을 죽이는 개(人を殺す犬) - 고바야시 다키지 / 이현준
    곤여우(ごん狐) - 니이미 난키치 / 최재철
    기다린다(待つ) - 다자이 오사무 / 김정희
출판사 서평

국내 최초로 일본 명작 단편을 인생, 재난, 근대, 동물, 광기, 남녀, 일상, 허무, 구원 등 10개의 주제로 출판했다. 이처럼 일본 문학을 주제별로 10권 발행한 것은 국내 출판에 전례가 없는 일이다. 작품 127편, 작가 42명, 역자 63명이 참여했다.
≪일본 명단편선≫을 기획한 의도는 무엇보다도 국내의 일본 문학 소개가 몇몇 현대 인기 작가의 대중적 작품이나 추리 소설류에 편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안타까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우수한 일본 근현대 단편 명작들을 찾아, 전문가에 의한 질 높은 번역과 적절한 작품 해설 및 작가 소개, 풍부한 주석 등을 독자에게 제공해 가벼운 일본 문학을 소비하는 독서 풍조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번 기획의 목표는 이처럼 국내 독자들의 일본 문학에 대한 편식을 일깨우고자 함이 그 첫 번째다. 그리고 19세기 말 메이지 시대의 작품부터 다이쇼 시대와 쇼와 시대 전기, 그리고 전후의 작품까지를 망라함으로써 일본 근현대 문학의 기본 흐름과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체계적 읽기를 지향하는 것이 두 번째다. 저작권 관계로 1960년대 중반까지 생존한 작가를 대상으로 작품을 선정할 수밖에 없었지만 주요 작가들은 다 포함되어 있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다자이 오사무, 사카구치 안고, 다니자키 준이치로, 시마자키 도손 등 한국에 널리 알려진 작가들의 작품 외에 가지이 모토지로, 니이미 난키치, 도쿠다 슈세이, 우메자키 하루오, 하야마 요시키, 히사오 주란 등 다소 생소한 작가들의 명작들도 포함되었다. 일본어와 한국어로 작품을 발표했던 한국 작가 김사량의 작품도 들어 있다.
특히 일본 근현대 문학사에서 위상에 비해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접하기 어려웠던 초역 작품들이 여러 편 포함되었다는 것도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초역 작품들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한 줌의 흙〉 · 〈의혹〉, 사카구치 안고의 <죽음과 콧노래> · 〈진주〉 · 〈전쟁과 한 명의 여인〉,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증념〉 등을 비롯해 이즈미 교카의 〈그림책의 봄〉, 이시카와 다쿠보쿠의 〈두 줄기의 피〉 등 20여 편이다.

‘완성도 높은 명단편선’이 되도록 번역은 원문에 충실하되 한국어로 읽히는 가독성을 고려하고, 각주는 간명하며 알기 쉽되 직간접 일본 체험을 반영한다는 ‘문화 번역’을 따랐다. 요즘 일본 문학 작품 번역에 오류가 많고, 쉽게 생략하거나 원문에 없는 어휘를 집어넣어 가독성만을 노리는 세태와는 선을 긋고자 한 것이다.
번역에 참여한 역자들은 대학에서 일본 문학을 전공한 전문가들로서 국내뿐만 아니라 김현준(일본 무사시노대학), 이남금(일본 도쿄세이토쿠대학교) 등 해외 대학에 재직하고 있는 전공자들과 공동 작업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