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이 책은 “우크라이나 민족사”라는 인식의 감옥을 벗어나 “우크라이나 문제”의 역사적 진실을 민족문제의 시각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의 중간 결산이라 할 수 있다. 한때는 “소러시아”라는 이름으로, 지금은 “우크라이나”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지역의 역사는 다양한 문화와 정체성이 중첩된 모순과 역설 및 혼돈의 역사였으니, 18년 전 필자가 만난 “우크라이나어 방언을 모국어로 구사하는 열혈 러시아 애국자” 향토사학자의 존재야말로 이러한 문제적 역사가 남긴 흔적과 자취의 편린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니었을까? 물론 이 우크라이나계 러시아 노인의 사례가 크라스노다르주의 우크라이나계 주민 모두를 대표할 수는 없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러나 적어도 쿠반의 수르지크 사용자들이 “진짜 우크라이나인”이라던 이 노인의 말은 전혀 틀리지 않았으며, 따지고 보면 상당 부분 역사적 진실을 반영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라는 단어는 원래 카자크가 활동하는 “변경” 지역을 지칭하던 동슬라브어 일반 명사였다(1장 참조). 따라서 당시에는 카자크만이 우크라이나의 구성원이 될 수 있었으며, 우크라이나 사람은 전원이 곧 카자크였다. 더 나중 시기인 17세기로 가도 카자크 현상과 우크라이나는 상호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이었다. 현 우크라이나의 모체가 되는 “카자크 헤트만 국가(우크라이나어: Het’manshchina, 러시아어: Getmanshchina)”를 건립한 주역부터가 바로 자포로지예(Zaporozh’e) 카자크였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또한 바로 이 카자크 정체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이다(3장 참조).

우크라이나 문제의 기원을 찾아서
$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