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최근 한일관계가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가 느껴지는 가운데 정부뿐만 아니라 기업과 민간의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전쟁 전부터 전후에 걸쳐 일본의 기업으로부터 자산을 물려받아 그 기술뿐만 아니라 경영 노하우까지 배워 온 한국이지만, 최근 수십 년간 그 경제성장이나 기업의 경쟁력 향상은 현저해 일부 분야에서는 일본을 능가하는 수준까지 발전해 왔다. 처음에는 모방에서 시작했지만, 스스로 독창적인 발상이나 기술 개발까지 할 수 있게 되면 개인도 회사도 초심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침소봉대(針小棒大) 라는 말처럼 자신감 과잉이 되거나 사실을 왜곡하면서 현실을 외면하는 행위는 그리 바람직하지 못하다. 현실을 진지하고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그것으로부터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 가는 것이 개인에게도 기업에게도 발전의 계기가 된다.
기초과학부터 응용분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회 전반을 지탱하고 있는 일본과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정상급이지만 조금만 분야가 바뀌면 전혀 상황이 다른 한국을 보면서, 이 차이는 어디서 언제 발생했는지 오래전부터 의문이 들었다. 노벨상 수상자의 수가 모든 것을 말하는 것도, 그리고 수학과 건축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수상자의 수가 그 나라의 품격을 모두 말해주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하나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의학, 화학, 물리학 분야 등에서 거의 매년 일본 학자들이 수상하거나 후보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애초에 근대화의 역사가 일본에 뒤떨어져 있었으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은 있다 하더라도 근대교육이 시작된 지 벌써 80년이 지나도 그 격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필자는 가정교육을 포함한 유소년기의 교육과 그 후의 대학 진학이나 기업이나 국가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시스템과 의식의 문제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일본과 한국은 명문대에 진학하기 위해 유치원 때부터 막대한 투자가 이뤄진다. 영어나 국어, 수학 등 선행학습을 통해 남들보다 한발 앞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보인다. 우선 일본과 한국의 결정적 차이는 고졸과 대졸의 임금 격차와 사회적 인식 차이다. 한국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과 대우 차이는 물론 대졸과 고졸의 수입과 사회적 인식은 일본과 사뭇 다르다. 대학 진학률 면에서도 일본보다 한국이 훨씬 높다. 그 이유는 물론 취업과 사회에서 대학 졸업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만들기와 요리, 스포츠와 예술,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옛날 농담으로 미국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은 대학을 졸업하지 않고 창업해서 억만장자가 되고, 그 다음으로 우수한 인재는 대기업에 취직을 한다. 그리고 관료가 되는 사람은 그 다음 그룹이라고 했는데 일본에서는 그 반대라는 설이 있다. 즉, 일본이나 한국의 사회에서 기업가가 평가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이다. 그러나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깊이 남아 있고, 일본보다 상업이나 공업을 역사적으로 배척해 온 한국의 상황은 일본보다 심각하다. 기술과 상업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자라지 못한 채 근대화를 맞았기 때문에 사회 전반적으로 관료에 대한 동경이 있었다.
그 결과, 문과 중심의 통치구조가 조선시대 이래 이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에서 해시계, 물시계 등이 만들어지고 있는 시대에 일본에서는 서양의 기계식 시계가 만들어졌듯이 과학과 서양문화에 대한 나라의 문호를 언제 열었는지, 또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나 나라의 체제는 어떻게 변화되었는지가 현재까지의 격차의 근간이다. 기본적으로는 차이를 인정하는 문화,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개성이나 타인을 존중하는 마음이 없으면 나라는 발전하지 않는다. 기업의 창업이나 후계에 관해서도 똑같이 말할 수 있다.
필자는 오랜 세월에 걸쳐 일본과 한국의 기업 매니지먼트 분석을 실시해 왔다. 일본과 한국의 기업 환경의 큰 차이는 무엇일까. 우선 일본에 비해 한국 기업의 역사는 짧다. 식민지시대 종업원이나 적산으로 불리는 일본인이 남긴 시설과 종업원을 물려받아 재벌이 된 경우도 드물지 않다. 또, 그 재벌에 다양한 중소기업이 하청이라고 하는 형태로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독자적인 기술을 가지고 오랫동안 지속된 중소기업의 수는 일본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다. 또한, 각 지역의 전통 산업 등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 기업의 역사나 전통도 일본에 비해 짧아서 영세한 기업이 많다. 원래 각 지역에 지역 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충분한 시장이 존재했던 일본과 달리 한국의 경우 기업 규모가 일정 이상 커지려면 수도권이나 대도시권으로 진출을 해야 한다. 대기업도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지 못하면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위와 같은 구조는 일본과 한국의 지역기업이나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매니지먼트의 차이를 낳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사회적 · 문화적 환경과 함께 기업을 둘러싼 직접적인 경영환경 그 자체의 차이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기업을 상속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국가제도의 차이로 인해 한국에서 기업승계가 어려워지고 있다. 재벌기업 경영자가 울며 겨자 먹기로 그 후손이 주식 등을 상속받을 때 천문학적 상속세를 내야 한다. 결국 현금으로 한꺼번에 낼 수 없는 기업들은 할부금을 내고 주식 전매에 따른 상속세를 내고 있다. 그 사이 기업 방어의 허점이 드러나 기업 경영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필자는 함부로 재벌이나 기업 경영자 쪽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기업의 매니지먼트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경영하는 측도 모티베이션을 유지할 수 없으면 사업을 계속하는 매력을 느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처럼 기업을 둘러싼 제도나 국가 정책은 기업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동아시아를 둘러싼 경제와 안보 정세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한국의 정부와 기업은 절차탁마하여 서로 좋은 점을 배우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참고로 이 책이 발간된 2022년은 한국에 새로운 정부가 탄생하고 일본도 7월 참의원 선거를 마치면 당분간 큰 선거는 없다. 서로 안정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찾아오기 때문에 이 기회를 유용하게 사용했으면 좋겠다.
본서는 2021년과 2022년에 일본에서 출간한 ‘일본과 한국의 지역 패밀리 기업의 매니지먼트 비교’의 상하권을 통합해 번역한 것이다. 상권에서는 일본 지역기업의 창업부터 성장, 제2의 창업까지 분석하였고, 하권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지역기업을 선정하여 기업가정신과 지역기업의 이노베이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권에서는 야마다야와 아사히 주조 주식회사를, 하권에서는 주식회사 무학과 SPC 그룹의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일본에서는 지역 화과자 및 일본술 회사의 성장 발전 스토리를,한국에서는 지방 소주 회사와 제과, 제빵 회사의 성장 스토리를 그려 양국 지역 기업의 성장 발전 과정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이 책은 『지역 기업의 리노베이션 전략-노포 패밀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2015, 박영사(한국)』의 내용을 대폭 수정하여 출간한 것이다. 이론적 배경은 답습하고 있으나 분석 대상 변경과 추가 조사 등을 실시한 전혀 별개의 연구서이다. 특히 상권과 하권으로 나누어 그 분석 대상을 한국 기업에까지 넓혀 전혀 다른 시각의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본 연구는 수많은 분들의 지원으로 이러한 형태로 출판할 수 있었다. 여기에 글로 적어 감사드린다.
카나이 카즈요리(金井一賴) 교수님(아오모리 대학교 학장)은 필자의 은사로 홋카이도 대학교 대학원생 시절부터 필자를 항상 따뜻하게 지도해 주고 있다. 교수님의 중소기업론과 지역기업론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기존연구의 한계를 뛰어넘는 탁견에 늘 감복하고 있다. 항상 건설적인 조언을 해주시는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홋카이도 대학교 경제학 연구과의 이와타 사토시(岩田智) 교수님 에게는 대학원 시절의 지도는 물론 지금도 공동 연구등으로 큰 신세를 지고 있다. 또, 오타루 상과 대학교의 우치다 준이치(内田純一) 교수님은, 선행 연구의 리뷰나 프레임워크의 구축에 있어서, 필자에게 많은 건설적 어드바이스를 주었다. 마찬가지로 오타루 상과 대학교의 니시무라 토모유키(西村友幸) 교수님은 가끔 메일이나 전화로 연구의 고민이나 경영전략론에 관한 상담 및 논의를 해 주셨다.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칸사이 대학교의 요코야마 케이코(横山恵子) 교수님에게는 학부세미나생의 프로젝트등으로 큰 신세를 지면서 지역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조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교토대학교 경영관리대학원의 야마다 진이치로(山田仁一郎) 교수님, 도호쿠대학교의 이시다 슈이치(石田修一) 교수님, 류코쿠대학교의 아키바 후토시(秋庭太)교수님, 츄우오우대학교의 신도 하루오미(新藤晴臣) 교수님께는 대학원 시절부터 공사에 걸쳐 많은 신세를 지고 있고 항상 감사하고 있다. 덧붙여 본 연구의 착상 단계부터 마지막 정리의 단계까지 수미 일관되게 본서의 간행에 진력해 준 긴키대학 상학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 출신, 주식회사 성광물류의 한상진 군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학부생 때부터 박사후기 과정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 나를 도와주었다. 이번에도 선행연구의 이론과 분석 프레임 워크를 이해한 뒤 기업 경영현장에 동행해 경영자를 여러 차례 인터뷰하고 서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끈기 있게 끝까지 필자를 보좌해 준 한군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또 이 책을 출간하면서 바쁘신 와중에도 시간을 들여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을 해주신 늘봄병원 문준 원장님과 흔쾌히 출판을 맡아주신 박영사 안상준 대표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성공을 기원하며 시종일관 필자의 연구생활을 헌신적으로 도와주며 지켜봐준 가족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필자의 인사말을 끝내고자 한다.
기초과학부터 응용분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회 전반을 지탱하고 있는 일본과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정상급이지만 조금만 분야가 바뀌면 전혀 상황이 다른 한국을 보면서, 이 차이는 어디서 언제 발생했는지 오래전부터 의문이 들었다. 노벨상 수상자의 수가 모든 것을 말하는 것도, 그리고 수학과 건축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수상자의 수가 그 나라의 품격을 모두 말해주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하나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의학, 화학, 물리학 분야 등에서 거의 매년 일본 학자들이 수상하거나 후보자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애초에 근대화의 역사가 일본에 뒤떨어져 있었으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은 있다 하더라도 근대교육이 시작된 지 벌써 80년이 지나도 그 격차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필자는 가정교육을 포함한 유소년기의 교육과 그 후의 대학 진학이나 기업이나 국가를 포함한 사회 전반의 시스템과 의식의 문제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일본과 한국은 명문대에 진학하기 위해 유치원 때부터 막대한 투자가 이뤄진다. 영어나 국어, 수학 등 선행학습을 통해 남들보다 한발 앞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노력이 끊임없이 보인다. 우선 일본과 한국의 결정적 차이는 고졸과 대졸의 임금 격차와 사회적 인식 차이다. 한국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과 대우 차이는 물론 대졸과 고졸의 수입과 사회적 인식은 일본과 사뭇 다르다. 대학 진학률 면에서도 일본보다 한국이 훨씬 높다. 그 이유는 물론 취업과 사회에서 대학 졸업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부를 잘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만들기와 요리, 스포츠와 예술,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옛날 농담으로 미국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은 대학을 졸업하지 않고 창업해서 억만장자가 되고, 그 다음으로 우수한 인재는 대기업에 취직을 한다. 그리고 관료가 되는 사람은 그 다음 그룹이라고 했는데 일본에서는 그 반대라는 설이 있다. 즉, 일본이나 한국의 사회에서 기업가가 평가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이다. 그러나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깊이 남아 있고, 일본보다 상업이나 공업을 역사적으로 배척해 온 한국의 상황은 일본보다 심각하다. 기술과 상업을 중요시하는 문화가 자라지 못한 채 근대화를 맞았기 때문에 사회 전반적으로 관료에 대한 동경이 있었다.
그 결과, 문과 중심의 통치구조가 조선시대 이래 이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에서 해시계, 물시계 등이 만들어지고 있는 시대에 일본에서는 서양의 기계식 시계가 만들어졌듯이 과학과 서양문화에 대한 나라의 문호를 언제 열었는지, 또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나 나라의 체제는 어떻게 변화되었는지가 현재까지의 격차의 근간이다. 기본적으로는 차이를 인정하는 문화, 획일적인 것이 아니라 개성이나 타인을 존중하는 마음이 없으면 나라는 발전하지 않는다. 기업의 창업이나 후계에 관해서도 똑같이 말할 수 있다.
필자는 오랜 세월에 걸쳐 일본과 한국의 기업 매니지먼트 분석을 실시해 왔다. 일본과 한국의 기업 환경의 큰 차이는 무엇일까. 우선 일본에 비해 한국 기업의 역사는 짧다. 식민지시대 종업원이나 적산으로 불리는 일본인이 남긴 시설과 종업원을 물려받아 재벌이 된 경우도 드물지 않다. 또, 그 재벌에 다양한 중소기업이 하청이라고 하는 형태로 관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독자적인 기술을 가지고 오랫동안 지속된 중소기업의 수는 일본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다. 또한, 각 지역의 전통 산업 등을 담당하고 있는 지역 기업의 역사나 전통도 일본에 비해 짧아서 영세한 기업이 많다. 원래 각 지역에 지역 기업이 생존할 수 있는 충분한 시장이 존재했던 일본과 달리 한국의 경우 기업 규모가 일정 이상 커지려면 수도권이나 대도시권으로 진출을 해야 한다. 대기업도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지 못하면 큰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위와 같은 구조는 일본과 한국의 지역기업이나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매니지먼트의 차이를 낳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사회적 · 문화적 환경과 함께 기업을 둘러싼 직접적인 경영환경 그 자체의 차이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기업을 상속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국가제도의 차이로 인해 한국에서 기업승계가 어려워지고 있다. 재벌기업 경영자가 울며 겨자 먹기로 그 후손이 주식 등을 상속받을 때 천문학적 상속세를 내야 한다. 결국 현금으로 한꺼번에 낼 수 없는 기업들은 할부금을 내고 주식 전매에 따른 상속세를 내고 있다. 그 사이 기업 방어의 허점이 드러나 기업 경영권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필자는 함부로 재벌이나 기업 경영자 쪽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기업의 매니지먼트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경영하는 측도 모티베이션을 유지할 수 없으면 사업을 계속하는 매력을 느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처럼 기업을 둘러싼 제도나 국가 정책은 기업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동아시아를 둘러싼 경제와 안보 정세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과 한국의 정부와 기업은 절차탁마하여 서로 좋은 점을 배우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참고로 이 책이 발간된 2022년은 한국에 새로운 정부가 탄생하고 일본도 7월 참의원 선거를 마치면 당분간 큰 선거는 없다. 서로 안정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찾아오기 때문에 이 기회를 유용하게 사용했으면 좋겠다.
본서는 2021년과 2022년에 일본에서 출간한 ‘일본과 한국의 지역 패밀리 기업의 매니지먼트 비교’의 상하권을 통합해 번역한 것이다. 상권에서는 일본 지역기업의 창업부터 성장, 제2의 창업까지 분석하였고, 하권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지역기업을 선정하여 기업가정신과 지역기업의 이노베이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권에서는 야마다야와 아사히 주조 주식회사를, 하권에서는 주식회사 무학과 SPC 그룹의 사례 분석을 실시했다.
일본에서는 지역 화과자 및 일본술 회사의 성장 발전 스토리를,한국에서는 지방 소주 회사와 제과, 제빵 회사의 성장 스토리를 그려 양국 지역 기업의 성장 발전 과정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이 책은 『지역 기업의 리노베이션 전략-노포 패밀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진화(2015, 박영사(한국)』의 내용을 대폭 수정하여 출간한 것이다. 이론적 배경은 답습하고 있으나 분석 대상 변경과 추가 조사 등을 실시한 전혀 별개의 연구서이다. 특히 상권과 하권으로 나누어 그 분석 대상을 한국 기업에까지 넓혀 전혀 다른 시각의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본 연구는 수많은 분들의 지원으로 이러한 형태로 출판할 수 있었다. 여기에 글로 적어 감사드린다.
카나이 카즈요리(金井一賴) 교수님(아오모리 대학교 학장)은 필자의 은사로 홋카이도 대학교 대학원생 시절부터 필자를 항상 따뜻하게 지도해 주고 있다. 교수님의 중소기업론과 지역기업론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기존연구의 한계를 뛰어넘는 탁견에 늘 감복하고 있다. 항상 건설적인 조언을 해주시는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홋카이도 대학교 경제학 연구과의 이와타 사토시(岩田智) 교수님 에게는 대학원 시절의 지도는 물론 지금도 공동 연구등으로 큰 신세를 지고 있다. 또, 오타루 상과 대학교의 우치다 준이치(内田純一) 교수님은, 선행 연구의 리뷰나 프레임워크의 구축에 있어서, 필자에게 많은 건설적 어드바이스를 주었다. 마찬가지로 오타루 상과 대학교의 니시무라 토모유키(西村友幸) 교수님은 가끔 메일이나 전화로 연구의 고민이나 경영전략론에 관한 상담 및 논의를 해 주셨다.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칸사이 대학교의 요코야마 케이코(横山恵子) 교수님에게는 학부세미나생의 프로젝트등으로 큰 신세를 지면서 지역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조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교토대학교 경영관리대학원의 야마다 진이치로(山田仁一郎) 교수님, 도호쿠대학교의 이시다 슈이치(石田修一) 교수님, 류코쿠대학교의 아키바 후토시(秋庭太)교수님, 츄우오우대학교의 신도 하루오미(新藤晴臣) 교수님께는 대학원 시절부터 공사에 걸쳐 많은 신세를 지고 있고 항상 감사하고 있다. 덧붙여 본 연구의 착상 단계부터 마지막 정리의 단계까지 수미 일관되게 본서의 간행에 진력해 준 긴키대학 상학연구과 박사 후기 과정 출신, 주식회사 성광물류의 한상진 군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다. 학부생 때부터 박사후기 과정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 나를 도와주었다. 이번에도 선행연구의 이론과 분석 프레임 워크를 이해한 뒤 기업 경영현장에 동행해 경영자를 여러 차례 인터뷰하고 서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끈기 있게 끝까지 필자를 보좌해 준 한군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또 이 책을 출간하면서 바쁘신 와중에도 시간을 들여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을 해주신 늘봄병원 문준 원장님과 흔쾌히 출판을 맡아주신 박영사 안상준 대표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성공을 기원하며 시종일관 필자의 연구생활을 헌신적으로 도와주며 지켜봐준 가족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필자의 인사말을 끝내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지역 패밀리기업의 매니지먼트 비교
$3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