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정책의 이론과 현실 (양장)
Description
인류 역사는 에너지전환의 역사이다. 새로운 에너지가 없었다면 새로운 문명의 전환은 불가능하였다. 에너지는 하나의 문명을 만들고 쇠퇴시키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새로운 에너지체제는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맥락과 조건이 없었다면 에너지전환은 불가능하다. 에너지체제와 사회는 상호 공진화하면서 새로운 에너지체제를 창조한다. 따라서 새로운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에서 '새로운 가치', '새로운 거버넌스',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이 책은 에너지전환의 기반과 동력이 되는 가치, 거버넌스, 전략을 정책적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책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첫째, 에너지체제 전환은 단순히 에너지 기술체제만의 문제가 아닌 새로운 사회체제의 구성 문제이다. 한 시대의 사회구성원들이 가진 사고를 반영하는 민주주의, 정의, 공정, 이념 등의 가치는 보이지는 않지만 에너지체제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둘째, 에너지체제의 전환은 사회를 구성하는 정부, 기업, 시민들에게 새로운 미션과 역할을 요구한다. 삼자간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새로운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 없이는 새로운 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은 불가능하다. 특히 정부는 제도설계와 정책수단을 동원하여 에너지체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촉진자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에너지체제의 전환은 필연적으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
새로운 에너지체제는 기존 체제 극복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변화를 위한 '혁신'은 불가피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에너지체제의 전환은 시민 생활과 지역사회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아울러 에너지체제의 전환은 기술혁신과 인간행태의 변화 없이는 불가능하다. 변화와 혁신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며 이러한 갈등의 동학은 새로운 에너지 사회로의 전환을 가져온다.
이 책은 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고 있는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과제명: 에너지 전환체제에 대한 증거기반 실증연구: 사회, 기술, 제도의 공시적 결합에 기반한 新에너지 사회 구성을 위한 전환·혁신의 조건과 정책모형·과제 탐색, 2021년-2027년)의 연구 결과물이다. 해당 연구과제는 에너지전환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사회와 제도의 혁신이 필수적이라는 관점에 출발하였다.
이 책은 아주대 행정학과 동료 교수들과 에너지전환정책연구센터 연구원들의 노고가 없었다면 불가능하였다. 함께하는 이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표한다. 아울러 연구하는 남편을 위해 늘 많은 것을 이해해준 아내이자 연구 동료인 한경국립대 김선희 교수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저자를 대표하여
김서용 드림
저자

김서용,권향원,김공록,김미리,김민정,김소희,김진선,박천희,서인석,우청원,

아주대학교행정학과교수
고려대학교행정학박사

목차

제1부에너지전환,역사,가치체계
제1장에너지전환과역사
제2장에너지전환과민주주의
제3장에너지전환과에너지정의
제4장에너지전환과아이디어:가치와이념
제5장에너지전환과공정

제2부에너지전환정책과거버넌스
제6장에너지전환거버넌스
제7장에너지전환과제도
제8장에너지전환과정부역할
제9장에너지전환과정책수단
제10장에너지전환과조직
제11장에너지전환과시민

제3부에너지전환정책과이행전략
제12장에너지전환과지역사회
제13장에너지전환과기술혁신
제14장에너지전환과인간행태
제15장에너지전환과사회갈등

출판사 서평

인류역사는에너지전환의역사이다.새로운에너지가없었다면새로운문명의전환은불가능하였다.에너지는하나의문명을만들고쇠퇴시키는역할을해왔다.하지만새로운에너지체제는사회적으로구성된다는점에서이를가능하게하는사회적맥락과조건이없었다면에너지전환은불가능하다.에너지체제와사회는상호공진화하면서새로운에너지체제를창조한다.따라서새로운에너지사회로의전환을위해서는사회적차원에서새로운가치,새로운거버넌스,새로운전략이필요하다.이책은에너지전환의기반과동력이되는가치,거버넌스,전략을정책적관점에서포괄적으로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이책은다음과같은세가지주장에근거하고있다.

첫째,에너지체제전환은단순히에너지기술체제만의문제가아닌새로운사회체제의구성문제이다.한시대의사회구성원들이가진사고를반영하는민주주의,정의,공정,이념등의가치는보이지는않지만에너지체제를구성하는핵심적인요소이다.

둘째,에너지체제의전환은사회를구성하는정부,기업,시민들에게새로운미션과역할을요구한다.삼자간관계를바탕으로하는새로운거버넌스구조의변화없이는새로운에너지체제로의전환은불가능하다.특히정부는제도설계와정책수단을동원하여에너지체제의전환을가능하게하는촉진자역할을수행한다는점에서매우중요하다.

셋째,에너지체제의전환은필연적으로사회적갈등을유발한다.
새로운에너지체제는기존체제극복을전제로하기때문에변화를위한혁신은불가피하다.현재진행되고있는에너지체제의전환은시민생활과지역사회에혁신적변화를가져오고있다.아울러에너지체제의전환은기술혁신과인간행태의변화없이는불가능하다.변화와혁신은사회적갈등을유발하며이러한갈등의동학은새로운에너지사회로의전환을가져온다.

이책은아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가한국연구재단의지원을받아수행하고있는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과제명:에너지전환체제에대한증거기반실증연구:사회,기술,제도의공시적결합에기반한新에너지사회구성을위한전환·혁신의조건과정책모형·과제탐색,2021년-2027년)의연구결과물이다.해당연구과제는에너지전환을위해서는기술혁신뿐만아니라사회와제도의혁신이필수적이라는관점에출발하였다.

이책은아주대행정학과동료교수들과에너지전환정책연구센터연구원들의노고가없었다면불가능하였다.함께하는이들에게진심으로감사의마음을표한다.아울러연구하는남편을위해늘많은것을이해해준아내이자연구동료인한경국립대김선희교수에게고마움을전한다.
저자를대표하여
김서용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