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나의 꿈, 정책학의 심층분석”
정책학은 1951년 라스웰H. Lasswell이 창시한 학문이다. 그것은 민주주의 정책학의 기치를 내걸고 제도와 절차를 갖춘 훌륭한 학문체계이지만, 필자가 느끼기에는 형이상학적 철학의 고찰이 결여된 것이었다. 앞선 졸저 「정책학의 심층이론」에서는 전통적 정책학에다가 이러한 정책철학의 상위 체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면, 본서 「정책학의 심층분석」에서는 정책학의 인식론적 문제를 어떻게 분석과 접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돌이켜 보면, 정책분석가POLICY ANALYST라는 말이 내 마음에 꽂혔던 것은 대학원생 시절이었다. 그것을 처음 본 것은 아마 케네디 스쿨의 안내 책자BROCHURE에서 였을 것이다. “POLICY ANALYST IN PUBLIC POLICY정책분석전문가” 국정과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책을 분석하는 최고의 기법과 실력을 갖춘 정책분석가를 양성함. 이 말이 내 마음 속 깊은 곳을 강타했다. 그 뒤로 정책분석이라는 단어는 내 인생의 화두가 되었다.
돌아보면, 미국의 케네디 스쿨은 계량을 매우 중시하는 분위기였다. 물론 Steve Kelman처럼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와 같은 정책윤리의 대가도 있었고, 쿠바 미사일 위기를 정책결정모형으로 승화시킨 「결정의 본질Essence of Decision」의 저자 G. Allison과 같이 정치과정론을 중시하는 학자도 있었지만, 케네디 스쿨의 주류는 계량분석에 있었다.
하지만 미국으로 공부하러 갔던 가장 근원적 이유는 정책의 사상적 탐구에 있었고, 박사 논문에서도 국제체제의 구조, 국제관계의 본질 등 근원적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가 바탕에 많이 깔려 있었다. 이러한 나의 개인적 취향으로 인해 정책학의 상위 구조인 인식론적 문제를 정책분석과 연결시키는 일은 매우 가슴 설레는 일이었다.
정책학의 근원적 명제는 무엇인가? 인간의 존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정책모형은 무엇인가? 인간이란 대체 어떨 때 행복할 수 있으며, 인간에게 있어 근본적 가치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동서양의 철학적 사상은 어떤 이야기를 해주고 있으며, 인간 정신에게 있어 근원적 가치란 무엇인가? 이를 정책분석에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을까? 말하자면, 이러한 질문들은 내가 교직 생활을 하면서 계속 가슴 속에 담아 두었던 학술적 수수께끼Academic puzzle였다.
정책학은 1951년 라스웰H. Lasswell이 창시한 학문이다. 그것은 민주주의 정책학의 기치를 내걸고 제도와 절차를 갖춘 훌륭한 학문체계이지만, 필자가 느끼기에는 형이상학적 철학의 고찰이 결여된 것이었다. 앞선 졸저 「정책학의 심층이론」에서는 전통적 정책학에다가 이러한 정책철학의 상위 체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면, 본서 「정책학의 심층분석」에서는 정책학의 인식론적 문제를 어떻게 분석과 접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돌이켜 보면, 정책분석가POLICY ANALYST라는 말이 내 마음에 꽂혔던 것은 대학원생 시절이었다. 그것을 처음 본 것은 아마 케네디 스쿨의 안내 책자BROCHURE에서 였을 것이다. “POLICY ANALYST IN PUBLIC POLICY정책분석전문가” 국정과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책을 분석하는 최고의 기법과 실력을 갖춘 정책분석가를 양성함. 이 말이 내 마음 속 깊은 곳을 강타했다. 그 뒤로 정책분석이라는 단어는 내 인생의 화두가 되었다.
돌아보면, 미국의 케네디 스쿨은 계량을 매우 중시하는 분위기였다. 물론 Steve Kelman처럼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와 같은 정책윤리의 대가도 있었고, 쿠바 미사일 위기를 정책결정모형으로 승화시킨 「결정의 본질Essence of Decision」의 저자 G. Allison과 같이 정치과정론을 중시하는 학자도 있었지만, 케네디 스쿨의 주류는 계량분석에 있었다.
하지만 미국으로 공부하러 갔던 가장 근원적 이유는 정책의 사상적 탐구에 있었고, 박사 논문에서도 국제체제의 구조, 국제관계의 본질 등 근원적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가 바탕에 많이 깔려 있었다. 이러한 나의 개인적 취향으로 인해 정책학의 상위 구조인 인식론적 문제를 정책분석과 연결시키는 일은 매우 가슴 설레는 일이었다.
정책학의 근원적 명제는 무엇인가? 인간의 존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정책모형은 무엇인가? 인간이란 대체 어떨 때 행복할 수 있으며, 인간에게 있어 근본적 가치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동서양의 철학적 사상은 어떤 이야기를 해주고 있으며, 인간 정신에게 있어 근원적 가치란 무엇인가? 이를 정책분석에 어떻게 접목시킬 수 있을까? 말하자면, 이러한 질문들은 내가 교직 생활을 하면서 계속 가슴 속에 담아 두었던 학술적 수수께끼Academic puzzle였다.
정책학의 심층분석 : 정책학이란 무엇인가?
$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