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의 조건

재혼의 조건

$17.00
Description
“삶에 고통이 없었다면, 문학을 껴안지 못했을 것이다.”
『토지』의 작가 박경리가 한국 문학사에 남긴 또 다른 걸작

한말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아우르며 격변하는 시대 속 한민족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낸 대하소설 『토지』. 한국 문학사에 다시없을 걸작을 남긴 작가 박경리의 장편소설이 다산책방에서 새롭게 출간된다. 원전을 충실하게 살린 편집과 고전에 대한 선입견을 완벽하게 깨부수어줄 디자인으로 새 시대의 새 독자를 만날 준비를 마친 이번 기획의 열한 번째 작품은 박경리의 장편소설 『재혼의 조건』이다. 인물 내면의 갈등에 주목해 과연 진정한 ‘결혼의 조건’이 무엇인지에 관해 묻는 이 소설은 낭만적 사랑이라는 닫힌 공간에서부터 현실 세계로 나아가는 여성인물의 단단한 자의식을 그려낸다.

저자

박경리

朴景利(1926.12.2.∼2008.5.5.)
본명은박금이(朴今伊).1926년경남통영에서태어났다.1955년김동리의추천을받아단편「계산」으로등단,이후『표류도』(1959),『김약국의딸들』(1962),『시장과전장』(1964),『파시』(1964~1965)등사회와현실을꿰뚫어보는비판적시각이강한문제작을잇달아발표하면서문단의주목을받았다.
1969년9월부터대하소설『토지』의집필을시작했으며26년만인1994년8월15일에완성했다.『토지』는한말로부터식민지시대를꿰뚫으며민족사의변전을그리는한국문학의걸작으로,이소설을통해한국문학사에뚜렷한족적을남긴거장으로우뚝섰다.2003년장편소설『나비야청산가자』를《현대문학》에연재했으나건강상의이유로중단되며미완으로남았다.
그밖에산문집『Q씨에게』『원주통신』『만리장성의나라』『꿈꾸는자가창조한다』『생명의아픔』『일본산고』등과시집『못떠나는배』『도시의고양이들』『우리들의시간』『버리고갈것만남아서참홀가분하다』등이있다.
1996년토지문화재단을설립해작가들을위한창작실을운영하며문학과예술의발전을위해힘썼다.현대문학신인상,한국여류문학상,월탄문학상,인촌상,호암예술상등을수상했고칠레정부로부터가브리엘라미스트랄문학기념메달을받았다.
2008년5월5일타계했다.대한민국정부는한국문학에기여한공로를기려금관문화훈장을추서했다.

출판사 서평

“제삶이평탄했다면글을쓰지않았을것입니다.
삶이문학보다먼저지요.”
고전의품격과새시대의감각을동시에담아낸
박경리타계15주기추모특별판

1957년단편「계산」으로데뷔해,26년에걸쳐집필한대하소설『토지』로한국문학사에거대한이정표를남긴거장박경리.타계15주기를맞아다산북스에서박경리의작품들을새롭게엮어출간한다.한국문학의유산으로꼽히는『토지』를비롯한박경리의소설과에세이,시집이차례로묶여나올예정인장대한기획으로,작가의문학세계를누락과왜곡없이온전하게담아낸의미있는작업이다.이번기획에서는한국사회와문학의중추를관통하는박경리의방대한작품들을한데모아구성했고,새롭게발굴한미발표유작도꼼꼼한편집과정을거쳐출간될예정이다.
오래전에고전의반열에오른박경리의작품들은새롭게읽힐기회를갖지못했다.이번에펴내는특별판에서는원문의표현을살리고이전의오류를잡아내는것을넘어,새로운시대감각을입혀기존의판본과는전혀다른분위기의책을선보인다.이전에박경리의작품을읽은독자에게는기존의틀을부수는신선함을,작품을처음접할독자에게는고전의품위와탁월함을맛볼수있도록고심해구성했다.이전의고리타분함을말끔하게벗어내면서도작품각각의고유의맛을살린표지디자인으로,독서는물론소장용으로도손색이없게했다.한국문학사에영원히남을이름,박경리문학의정수를다산북스의기획으로다시경험하길바란다.

“곱게다치지않고살려는마음은
진정내마음인가?”
시대의변화를포착하며확대된시선과갈등
여성내면의소리와확고한자의식의발현

『재혼의조건』은1962년11월부터1963년8월까지여성지《여상》에연재된소설이다.당시박경리는비슷한시기에다수의작품을여러매체에서꾸준히발표해왔는데,그중하나인『재혼의조건』은당시《여상》의주요독자층이었던젊은여성의흥미와관심사에부응하는작품이라할수있다.
『재혼의조건』은박경리가시대변화를포착하여더확대된시선으로소설속인물들의문제를바라보고,인물의갈등을내면화한소설로평가된다.가령,박경리의초기단편소설「흑흑백백」이나「불신시대」의여성들이가족을부양하느라고생하는가장이라면,『재혼의조건』에등장하는강옥은그들과다르다.강옥의친정이나죽은약혼자의본가가모두중산층이므로생계를위해나설필요는없기때문이다.강옥은생계의책임에서벗어났으므로자신의내면을바라볼여유가있다.이는전쟁직후사회적압박으로부터일정부분거리를확보한개인들이이전과달리비교적유연하게사고하던경향을반영한것이기도하다.
박경리소설에등장하는여성들은사회가요구하는질서에순응하지않고소신에따라행동하는인물이많다.이들은남들처럼적당히타협하면서인생을살아내지않는다.강옥또한박경리소설속여성인물의특징을반영한인물이기도하다.강옥은죽은약혼자였던윤명환의본가에서7년동안매일되풀이되는생활을이어나간다.그러나처녀며느리로사는현재의삶역시누구의강요도아닌강옥이선택한일이다.그렇게무기력한생활이계속되고약혼자의얼굴마저희미해질무렵,남성우라는인물이앞에등장한다.유력한재혼대상으로등장한이치영과날마다감정이커져만가는남성우사이에서,강옥은남성우와의관계에집중하고그감정의끝을확인하기로한다.그와의관계에서자신의감정에충실해야하는강옥에게는애초에“곱게다치지않고”살고싶은마음은없다.강옥은내면의문제에대한의지를굽히지않고,사회질서가어떠하든내면의거리낌을남기지않는편을택한다.

“사랑의허무를본것이
재혼의조건인지도모른다.”
낭만적사랑을토대로현실세계로
결혼이가능한마음의상태란

강옥은두남성과삼각관계에있다.남성우는감정의대상이지만,이치영은동생강원에의해‘완벽한결혼상대자’로대상화된인물이다.이삼각관계에서뚜렷한갈등은드러나지않는다.오직그갈등은강옥의내면에만존재할뿐이다.그러나그갈등양상은독자들이기대하는‘낭만적사랑과현실’의대결같은,다소익숙한구조가아니다.강옥은자신이현실에속하게되리라는사실을이미알고있다.다만,강옥은현실로들어가는그과정에서자신의마음속에남은감정을어떻게처리해야할지고민하는것이다.결국‘H읍’이라는공간을떠나서울로올라간강옥은서울에서남성우와의관계를정리한다.남성우는도리어강옥이갇힌공간에서열린공간으로이동하게하는역할을하고,강옥은낭만적사랑을토대로현실세계로발을디딘다.
『재혼의조건』에는또한가지박경리의이전작품경향과다른특징도있다.박경리가앞서발표한소설들에서는여성의순결문제가결혼의장애로작용했으나,강옥의내적갈등안에여성의순결은우선순위의문제가아니다.강옥은남성우와의관계를이치영에게의도적으로노출하며,여성의순결문제를결혼을위한조건중후순위에놓고순결과결혼의관계사이의거리감을확보한다.오히려강옥에게있어결혼의조건이란마음속에남아있는감정을끝까지태워재로만드는것이다.죽은윤명환의경우도,남성우와의관계에서도,강옥은모든관계에서의감정을완전히연소함으로써결혼이가능한마음의상태를만들어낸다.
박경리는이렇게『재혼의조건』에등장하는인물내면의갈등을통해‘결혼’이라는문제에대한작가자신의견해를제시하고,내면의소리에집중하고자의식을탐구하는여성인물들을그려내며이후박경리소설들에서수렴되는자신만의문학세계를공고히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