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ld outPre order
Description
20세기 문학사에서 가장 대담한 서정의 극치
‘악의 성자’ 주네가 어두운 감방에서 쓴 첫 걸작
‘악의 성자’ 주네가 어두운 감방에서 쓴 첫 걸작
1943년에 나온 주네의 첫 장편소설 『꽃피는 노트르담』은 작가가 1942년 서른둘의 나이에 프렌교도소 수감 당시 쓴 작품이다. 이 소설이 자국을 비롯해 각국에 소개되기까지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1951년 영미에 소개할 때만 해도 작가가 일부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정해야 했으며, 1960년 독일 출간 당시에는 곧바로 음란물 유포 혐의로 기소되어 2년이 지나서야 무죄 판결을 받는다. 그러나 이 소설을 처음 읽고 문단에 소개한 장 콕토는 기존의 프랑스 문학장을 깨부수며 새로운 서정을 선언하는 ‘폭탄’과도 같은 주네의 이 책을 “이 시대의 위대한 사건”이라고 하면서, 자신을 “격분시키고 질색하게 하며 놀라게” 한다며 감탄했을 뿐만 아니라 “여기 우리 앞에 외로움과 어두운 별의 반짝임이 있다”고 칭송했다. 또한 사르트르는 미국 방문 당시 한 인터뷰에서 “오늘날 프랑스에서 유일한 천재 작가가 있다면, 바로 장 주네입니다”라고 주저 없이 그를 추천했다.
주네는 이 소설을 죄수가 되어 갇힌 채 감옥에 비치된 누런 종이에 혼자만의 즐거운 ‘소일거리’로서 써내려갔다. 수감생활에서 무한정 뻗어나간 자신의 환상세계에서, 그는 무한과 교류하는 내적 삶의 진실한 자유를 구현하려 한 것. 프렌교도소 429호에 수감된 ‘나’는 언제 세상에 나갈지 모른 채 신문에서 오려낸 범죄자들(“무시무시한 영혼이 빙의하도록 선택된 몸뚱어리들”)의 사진으로 벽을 장식해놓고는, 밤이면 어두운 구렁을 빠져나온 분신 같은 그들을 통해 다른 삶을 꿈꾼다. 판결을 기다리는 죄수의 불안과 고독이 피워낸 관능적인 상상세계에서는,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추방당한 죄수들이 활달한 젊은이로 선악의 제도 없이 활보하는 해방된 거리에서는,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는 ‘사랑’의 신성함만이 함께한다. 소설 속 화자 ‘나’는 디빈(‘신성’이라는 의미가 깃든 이름)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이 뒤섞인 트랜스젠더이자 파리 밑바닥의 유명한 매춘부 디빈을 따라가는 여정 속에서, 독자는 그(녀)의 삶과 그의 포주이자 연인 미뇽, 게이-트랜스 친구들, 디빈의 유년기와 삶 속에 들어온 연인들, ‘꽃피는 노트르담’이라는 디빈의 연적이자 젊은 살인자를 만난다. 결국 디빈을 통해 차려진 이 몽상의 제단은 감금당한 죄수의 판결이 행해지는 법정의 엄연한 현실로 돌아오고, 그들의 존재를 비추던 자유의 별칭은 재판장에서 실명으로 호명당하며 (서두에서 죽은 디빈의 장례식에서 모두 모인 그들 역시) 차례차례 심판대의 이슬로 화한다. 전위적인 이 작품은 오늘날 세계문학의 필독서이자 퀴어문학의 고전으로 자리잡았다. ★ 르몽드 선정 ‘20세기 책 100선’
주네는 이 소설을 죄수가 되어 갇힌 채 감옥에 비치된 누런 종이에 혼자만의 즐거운 ‘소일거리’로서 써내려갔다. 수감생활에서 무한정 뻗어나간 자신의 환상세계에서, 그는 무한과 교류하는 내적 삶의 진실한 자유를 구현하려 한 것. 프렌교도소 429호에 수감된 ‘나’는 언제 세상에 나갈지 모른 채 신문에서 오려낸 범죄자들(“무시무시한 영혼이 빙의하도록 선택된 몸뚱어리들”)의 사진으로 벽을 장식해놓고는, 밤이면 어두운 구렁을 빠져나온 분신 같은 그들을 통해 다른 삶을 꿈꾼다. 판결을 기다리는 죄수의 불안과 고독이 피워낸 관능적인 상상세계에서는,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추방당한 죄수들이 활달한 젊은이로 선악의 제도 없이 활보하는 해방된 거리에서는,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는 ‘사랑’의 신성함만이 함께한다. 소설 속 화자 ‘나’는 디빈(‘신성’이라는 의미가 깃든 이름)이라는 인물의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이 뒤섞인 트랜스젠더이자 파리 밑바닥의 유명한 매춘부 디빈을 따라가는 여정 속에서, 독자는 그(녀)의 삶과 그의 포주이자 연인 미뇽, 게이-트랜스 친구들, 디빈의 유년기와 삶 속에 들어온 연인들, ‘꽃피는 노트르담’이라는 디빈의 연적이자 젊은 살인자를 만난다. 결국 디빈을 통해 차려진 이 몽상의 제단은 감금당한 죄수의 판결이 행해지는 법정의 엄연한 현실로 돌아오고, 그들의 존재를 비추던 자유의 별칭은 재판장에서 실명으로 호명당하며 (서두에서 죽은 디빈의 장례식에서 모두 모인 그들 역시) 차례차례 심판대의 이슬로 화한다. 전위적인 이 작품은 오늘날 세계문학의 필독서이자 퀴어문학의 고전으로 자리잡았다. ★ 르몽드 선정 ‘20세기 책 100선’


꽃피는 노트르담 -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0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