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인류의 구십 퍼센트는 이별한 사람입니다
십 퍼센트는 이별할 사람이구요”
성실한 이별의 조합원이 되세요!
‘이별을 쓰는 밤의 경비병’ 여성민 9년 만의 신작 시집
십 퍼센트는 이별할 사람이구요”
성실한 이별의 조합원이 되세요!
‘이별을 쓰는 밤의 경비병’ 여성민 9년 만의 신작 시집
문학동네시인선 223번으로 여성민 시인의 두번째 시집 『이별의 수비수들』을 펴낸다. 2012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시를 쓰기 시작해 2015년 첫번째 시집 『에로틱한 찰리』(문학동네시인선 68)를 펴낸 지 9년 만이다. 그 오랜 기다림은 “찰리는 죽었다”는 선언 앞에서 “부고에 죽었다는 말 대신 좋아하는 낱말을 넣”(「찰리 브라운」)으며 보낸 시간이었을까. “한 편의 시를 위해 이 세상의 감각과 이별하고 상징과 이별하고 자신의 낡은 언어와 이별하는 사람”(미니 인터뷰)이 시인이라면, 이 시집을 여성민이 좋아하는 낱말로 써내려간 지난 9년의 ‘이별 기록’이라고 불러봐도 좋겠다. 첫 시집에서 “직구와 변화구를 능수능란하게 구사”(오은 시인)하는 공격수의 면모를 선보였던 그는 이별의 수비수가 되어 아직 저물지 못하는 밤의 시간을 펼쳐 보인다. “이것이 너의 슬픔이구나”(「불가능한 슬픔」, 『에로틱한 찰리』) 하고 말하던 포즈를 바꾸어 “여기까지 내가 아는 슬픔”(「브라운」)이라고 담담히 고백한다.
이번 시집에서 “사랑으로 약해진” “이별의 수비수들”(「나의 아름다운 사회주의」)은 “밥을 먹고 더 약해져야지 좋은 수비수가 돼야지”(「생각」) 하고 다짐한다. 사랑의 수호자 대신 이별의 수비수가 되기를 자처하는 그들은 힘을 빼는 방식으로 최후의 방어선을 지킨다. 잘 이별하기 위해서는 사랑을 훼손하지 않으려는 조심스러운 마음이 선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이별은 “밥처럼 윤이”(「시인」) 나고 “바밤바 같”(「이별의 눈부심」)이 “부드러운 노동”(「나의 아름다운 사회주의」)이 된다. 더 나아가, “사랑은 어두운 직업이라고 생각하는”(「복서의 사랑」) 화자에게 이별은 “잠든 얼굴을 찾아 순회하는 선한 목자”(「기적」)가 “물로 포도주를 만”(「반 파인트의 기적」)드는 “종교적”(「루터」)인 행위로 승화한다.
이번 시집은 총 53부의 시를 4부로 나누어 엮었다. 앞선 3부의 제목은 각각 ‘숙희’ ‘선희’ ‘경희’이다. 첫번째 시집 『에로틱한 찰리』에서 각 부마다 ‘보라색 톰’ ‘에로틱한 찰리’ ‘모호한 스티븐’이라는 제목이 붙은 것과 대조적이다. ‘톰’ ‘찰리’ ‘스티븐’이 외국인 남성의 이름이라면, ‘숙희’ ‘선희’ ‘경희’는 한국인 여성의 이름이다. 사랑과 이별은 모든 인간이 필연적으로 겪는 일이란 점에서 보편적이고 통속적인 소재이며, 동시에 한 인간을 관통한다는 점에서 유일하고 개별적인 경험이다. 시인은 살면서 한 번쯤 사랑하거나 이별했을 법한 이름들을 통해 그러한 이별의 순간을 고유한 이름으로 호명한다. 제삼자에게는 비슷비슷한 사랑과 이별일지언정, 오롯이 나에게 속한 환희와 슬픔을, 언어로 규명할 수 없는 그 찰나를 ‘숙희’ ‘선희’ ‘경희’와 같은 이름으로 불러보는 것이다. 가령, 숙희에게 사랑은 두부 속에 있는 느낌이다.
이번 시집에서 “사랑으로 약해진” “이별의 수비수들”(「나의 아름다운 사회주의」)은 “밥을 먹고 더 약해져야지 좋은 수비수가 돼야지”(「생각」) 하고 다짐한다. 사랑의 수호자 대신 이별의 수비수가 되기를 자처하는 그들은 힘을 빼는 방식으로 최후의 방어선을 지킨다. 잘 이별하기 위해서는 사랑을 훼손하지 않으려는 조심스러운 마음이 선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이별은 “밥처럼 윤이”(「시인」) 나고 “바밤바 같”(「이별의 눈부심」)이 “부드러운 노동”(「나의 아름다운 사회주의」)이 된다. 더 나아가, “사랑은 어두운 직업이라고 생각하는”(「복서의 사랑」) 화자에게 이별은 “잠든 얼굴을 찾아 순회하는 선한 목자”(「기적」)가 “물로 포도주를 만”(「반 파인트의 기적」)드는 “종교적”(「루터」)인 행위로 승화한다.
이번 시집은 총 53부의 시를 4부로 나누어 엮었다. 앞선 3부의 제목은 각각 ‘숙희’ ‘선희’ ‘경희’이다. 첫번째 시집 『에로틱한 찰리』에서 각 부마다 ‘보라색 톰’ ‘에로틱한 찰리’ ‘모호한 스티븐’이라는 제목이 붙은 것과 대조적이다. ‘톰’ ‘찰리’ ‘스티븐’이 외국인 남성의 이름이라면, ‘숙희’ ‘선희’ ‘경희’는 한국인 여성의 이름이다. 사랑과 이별은 모든 인간이 필연적으로 겪는 일이란 점에서 보편적이고 통속적인 소재이며, 동시에 한 인간을 관통한다는 점에서 유일하고 개별적인 경험이다. 시인은 살면서 한 번쯤 사랑하거나 이별했을 법한 이름들을 통해 그러한 이별의 순간을 고유한 이름으로 호명한다. 제삼자에게는 비슷비슷한 사랑과 이별일지언정, 오롯이 나에게 속한 환희와 슬픔을, 언어로 규명할 수 없는 그 찰나를 ‘숙희’ ‘선희’ ‘경희’와 같은 이름으로 불러보는 것이다. 가령, 숙희에게 사랑은 두부 속에 있는 느낌이다.
이별의 수비수들 - 문학동네 시인선 223
$12.00
- Choosing a selection results in a full page refr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