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이 책은 초혜 문금자 시인의 두 번째 시집으로 108편이 실려 있다. 첫 시집 《어느 봄날의 만찬》을 펴내고(2007년) 16년이라는 세월의 간극(間隙)을 넘어 더 깊어진 사유와 풍성한 시어와 간절한 표현들이 작가의 연륜을 느끼게 한다.
그의 시 세계는 가슴 깊숙이 똬리를 틀고 있는 깊은 그리움으로 물들어 있다. 그의 시를 읽고 있으면 낮과 밤이 여명 속에서 서로 맞물리듯 그 경계에서 진한 기억과 멈출 수 없는 사랑이 교차한다. 그의 시가 매우 단단하고 감동적인 것은 강렬한 시적 모티브에 의해 농축된 시상과 원형적인 정서가 자연스럽게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적 품격을 느끼게 하며 감동의 진폭을 더해 준다. 이것은 긴 세월 치열하게 살아온 작가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시집은 4부로 나누었다.
‘제1부 마루에 앉아 있는 난’은 “겨울의 냉기를 다독이며 햇살이 들어오는 쪽을 바라보는” 봄을 향한 존재들의 묵도(默禱)다. 그것들은 “시샘할 줄 모르고, 기쁜 노래를 부르며, 마치 참선하는 수도승으로 앉아” 봄을 피워내며 존재를 알린다. 금잔화, 장미, 메꽃, 벚꽃, 진달래꽃들의 유혹과 쑥을 캐고 뻐꾸기까지 불러낸 그의 유년의 기억을 따라가다 보면 봄으로 물들어 가는 세상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제2부 비 오는 날의 그림’에서는 강(江)이 자주 등장한다. “저녁 강가에 덩그러니 서 있는 고니”에서 “시 한 줄 읊고 싶은 간절한 꿈을 이루”기 위해 강물을 품는 시인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시인은 그 “강변에서 봄을 찾고, 얼굴 마주하고 손 맞잡던 그”도 만난다. 또 “강기슭에 옹기종기 모여 해바라기하고 있는 물오리 가족”에서 지난날 자신의 가족을 떠올린다. 젊은 날의 초상이요 그리움이다.
‘제3부 꽃은 어느새 열매를 맺고’에는 “무거운 세월 이고 살아온 날들”의 그리움이 묻어난다. “언 땅에서 꽃 피운 순백색 매화꽃이, 온몸으로 땡볕을 견디느라 시들어 간 모종이, 영혼을 뒤흔들며 울어대는 매미들이, 노을보다 더 붉은 단풍잎이, 눈 내린 뒷날 신들린 듯 떠는 눈꽃이” 시인을 울리고 읽는 이를 울린다. 자연을 통해 인생의 사계(四季)를 이토록 절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시인이 몇이나 될까.
‘제4부 겨울, 그 길목에서’는 적막이 흐른다. “간장을 담다가 물에 스르르 녹는 흰 알갱이”에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시인의 묵직한 목소리에서 한 번 더 비상하고 픈 간절함이 엿보인다. “꿈꾸듯 꽃잎 흩날리던 시절”과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간절함으로 이 겨울 눈물로 퇴고한 시 (…) 내 안으로 찾아든 인연”을 굳건히 지켜내며 “생의 한순간을” 꼭 붙들고 창공을 날아가는 시인의 염원이 그것이다.
문금자 시인은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바람이 행복”이고, “바람만 아니라 내게 오는 것은 다 행복이었다”고 말한다. “외롭던 어린 날도, 그 외로움 안고 몸 떨었던 젊은 날도, 숱한 고통의 순간들을 맛보게 한 시간들도, 내 영혼을 살찌게 빚기 위한 담금질이었다”고 거침없이 고백하고 있다. 이건 아픔도 시련도 잘 견뎌 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얘기다. 사유와 성찰의 시간이 만들어 낸 결과이다.
그의 시 세계는 가슴 깊숙이 똬리를 틀고 있는 깊은 그리움으로 물들어 있다. 그의 시를 읽고 있으면 낮과 밤이 여명 속에서 서로 맞물리듯 그 경계에서 진한 기억과 멈출 수 없는 사랑이 교차한다. 그의 시가 매우 단단하고 감동적인 것은 강렬한 시적 모티브에 의해 농축된 시상과 원형적인 정서가 자연스럽게 관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적 품격을 느끼게 하며 감동의 진폭을 더해 준다. 이것은 긴 세월 치열하게 살아온 작가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다.
시집은 4부로 나누었다.
‘제1부 마루에 앉아 있는 난’은 “겨울의 냉기를 다독이며 햇살이 들어오는 쪽을 바라보는” 봄을 향한 존재들의 묵도(默禱)다. 그것들은 “시샘할 줄 모르고, 기쁜 노래를 부르며, 마치 참선하는 수도승으로 앉아” 봄을 피워내며 존재를 알린다. 금잔화, 장미, 메꽃, 벚꽃, 진달래꽃들의 유혹과 쑥을 캐고 뻐꾸기까지 불러낸 그의 유년의 기억을 따라가다 보면 봄으로 물들어 가는 세상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제2부 비 오는 날의 그림’에서는 강(江)이 자주 등장한다. “저녁 강가에 덩그러니 서 있는 고니”에서 “시 한 줄 읊고 싶은 간절한 꿈을 이루”기 위해 강물을 품는 시인의 모습이 오버랩된다. 시인은 그 “강변에서 봄을 찾고, 얼굴 마주하고 손 맞잡던 그”도 만난다. 또 “강기슭에 옹기종기 모여 해바라기하고 있는 물오리 가족”에서 지난날 자신의 가족을 떠올린다. 젊은 날의 초상이요 그리움이다.
‘제3부 꽃은 어느새 열매를 맺고’에는 “무거운 세월 이고 살아온 날들”의 그리움이 묻어난다. “언 땅에서 꽃 피운 순백색 매화꽃이, 온몸으로 땡볕을 견디느라 시들어 간 모종이, 영혼을 뒤흔들며 울어대는 매미들이, 노을보다 더 붉은 단풍잎이, 눈 내린 뒷날 신들린 듯 떠는 눈꽃이” 시인을 울리고 읽는 이를 울린다. 자연을 통해 인생의 사계(四季)를 이토록 절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시인이 몇이나 될까.
‘제4부 겨울, 그 길목에서’는 적막이 흐른다. “간장을 담다가 물에 스르르 녹는 흰 알갱이”에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시인의 묵직한 목소리에서 한 번 더 비상하고 픈 간절함이 엿보인다. “꿈꾸듯 꽃잎 흩날리던 시절”과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간절함으로 이 겨울 눈물로 퇴고한 시 (…) 내 안으로 찾아든 인연”을 굳건히 지켜내며 “생의 한순간을” 꼭 붙들고 창공을 날아가는 시인의 염원이 그것이다.
문금자 시인은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바람이 행복”이고, “바람만 아니라 내게 오는 것은 다 행복이었다”고 말한다. “외롭던 어린 날도, 그 외로움 안고 몸 떨었던 젊은 날도, 숱한 고통의 순간들을 맛보게 한 시간들도, 내 영혼을 살찌게 빚기 위한 담금질이었다”고 거침없이 고백하고 있다. 이건 아픔도 시련도 잘 견뎌 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얘기다. 사유와 성찰의 시간이 만들어 낸 결과이다.
그리움, 기억 속으로 : 초혜 문금자 제2시집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