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벳의 문화

티벳의 문화

$23.33
Description
하나의 전체라는 관점에서 티벳 문화의 본질을 이해하다
오늘날 서구에서 티벳학 내지 티벳불교에 대한 관심은 지식인들 사이에서뿐 아니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매우 높다. 그것은 1989년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노벨평화상 수상으로 본격적으로 점화되었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티벳 민족의 드라마틱한 역사, 높은 문화적 성취, 심원한 종교적 이상과 책의 나라라고 불릴 만큼 위대한 학자들과 라마들의 나라, 독특한 정치제도와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 등에 의해 대표되는 화신제도, 현실세계에서의 참담한 주권상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라이 라마에 의해 옹호되는 비폭력 저항이라는 메시지가 서구인들의 마음에 깊은 문화적 관심과 동정심을 불러 일으켰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지만 티벳 문화에 대한 소개서가 거의 전무한 우리의 상황에서 과연 티벳 문화와 불교의 어떤 점이 다른 문화권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티벳 문화에 대한 매우 뛰어난 입문서인 롤프 슈타인의 저서는 티벳 문화 전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책은 다른 일반적인 티벳에 관한 개론서와는 달리 티벳학을 불교적 관점에만 한정하여 다루지 않고 있다. 슈타인은 문화란 하나의 전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티벳 문화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했고, 이러한 그의 학문적 방법론이 가장 잘 드러나고 성공적으로 제시된 것이 본서라고 생각된다.

역자는 이 책이 한국 사회에서 티벳 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고려시대 좌도밀교를 통해 그리고 이에 대한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편향된 시각을 통해 우리에게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와 결부된 티벳 문화가 실은 많은 점에서 고대와 중세의 동아시아 문화와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본서의 서술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R. A. 슈타인
1911년 독일 태생. 베를린대학교에서 중국어를 배운 후 1933년 프랑스로 망명. 파리의 동양 언어연구소에서 중국학을 전공하고 다시 일본학을 배우면서 티벳어를 독학함. 1939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 전후 프랑스 극동학연구소 소속으로 1946년부터 1949년까지 昆明, 成都, 北京, 內家古 등지에서 현지조사를 수행한 후 파리로 귀환, 동양 언어연구소 교수로 재직. 1951년부터 파리 고등학술연구소의 종교학과에서 강의. 1964년 동양 언어연구소에 티벳어 강좌를 개설. 1999년 사망.


역자 소개

안성두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설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불교철학으로 석사. 독일 함부르크대학교 인도학과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음. 여기서 티벳학을 복수전공. 금강대학교 연구원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

R.A.슈타인

저자_R.A.슈타인(RolfA.Stein)
1911년독일태생.베를린대학교에서중국어를배운후1933년프랑스로망명.파리의동양언어연구소에서중국학을전공하고다시일본학을배우면서티벳어를독학함.1939년프랑스국적을취득.전후프랑스극동학연구소소속으로1946년부터1949년까지昆明,成都,北京,內家古등지에서현지조사를수행한후파리로귀환,동양언어연구소교수로재직.1951년부터파리고등학술연구소의종교학과에서강의.1964년동양언어연구소에티벳어강좌를개설.1999년사망.

역자_안성두
한국외국어대학교를졸업하고한국학중앙연구원부설한국학대학원에서한국불교철학으로석사.독일함부르크대학교인도학과에서인도불교를전공하여석사와박사학위를받음.여기서티벳학을복수전공.금강대학교연구원과교수를거쳐2018년현재서울대학교철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목차

서문

1장토지와주민
지역과풍토
주민
티벳인의국토관

2장역사적개관
티벳인의역사관
고대왕조
사원권력의전개
근대

3장사회
가족
생활방식
권력과재산
교단

4장종교와관습
1.라마교
주요교리
종교적실천
신심(信心)과스승
명상과의례
황홀함과탈춤
2.무명(無名)의종교
‘인간의종교’:노래와전설
서약과분묘
거주환경
한해의축제
개인의위상
혼과생명
3.뵌교
티벳토착의뵌교도와외래적뵌교도
고대의의례
동화된뵌교

5장미술과문학
1.문학
표현수단
문학의장르
고대의시
새로운길
동화의과제
예지자와시인
무언극,연극그리고서사시
2.미술
종교의례의필수품
미술형태와양식
고대의전통미술의모방

에필로그
역자후기

출판사 서평

하나의전체라는관점에서티벳문화의본질을이해하다

오늘날서구에서티벳학내지티벳불교에대한관심은지식인들사이에서뿐아니라일반인들사이에서도매우높다.그것은1989년제14대달라이라마의노벨평화상수상으로본격적으로점화되었지만,이미그이전부터티벳민족의드라마틱한역사,높은문화적성취,심원한종교적이상과책의나라라고불릴만큼위대한학자들과라마들의나라,독특한정치제도와달라이라마와판첸라마등에의해대표되는화신제도,현실세계에서의참담한주권상실과그럼에도불구하고달라이라마에의해옹호되는비폭력저항이라는메시지가서구인들의마음에깊은문화적관심과동정심을불러일으켰기때문일것이다.

그렇지만티벳문화에대한소개서가거의전무한우리의상황에서과연티벳문화와불교의어떤점이다른문화권사람들의마음을사로잡고있는지를가늠할수없을것이다.이런점에서티벳문화에대한매우뛰어난입문서인롤프슈타인의저서는티벳문화전반에대한우리의이해를심화시키는데도움을줄수있다고믿는다.

이책은다른일반적인티벳에관한개론서와는달리티벳학을불교적관점에만한정하여다루지않고있다.슈타인은문화란하나의전체라는관점에서접근하면서티벳문화의본질을이해하고자했고,이러한그의학문적방법론이가장잘드러나고성공적으로제시된것이본서라고생각된다.

역자는이책이한국사회에서티벳문화에대한관심을불러일으키는계기가되기를바란다.고려시대좌도밀교를통해그리고이에대한조선시대성리학자들의편향된시각을통해우리에게오히려부정적인이미지와결부된티벳문화가실은많은점에서고대와중세의동아시아문화와공유하는부분이많다는것을본서의서술을통해확인할수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