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치열하고 엄정했던 역사가가
전쟁과 근대 그리고 동서양 문명을 성찰하다
전쟁과 근대 그리고 동서양 문명을 성찰하다
치열하고 성실했던 노학자의 유저遺著
이 책은 지난 2월 세상을 떠난 이영석 전 광주대학교 명예교수의 마지막 저술이다. “일류대학 출신도 아닌 국내파 학자로 지방대학에서만 30년간 강의한” 그는 누구보다 치열하고 성실했던 역사가였다. 1994년 《산업혁명과 노동정책》을 시작으로 28년간 25권(단독ㆍ공동 저서와 역서 포함)의 책을 출간한 기록이 이를 입증한다. 국내에서 서양사를 전공하는 척박한 환경에서 거의 매년 한 권의 책을 냈으니 이는 여느 사학자가 쉬 따르지 못할 성취라 할 수 있다.
책은 그가 말년에 쓴 12편의 글을 묶은 것이다. 여기에는 연구의 지평을 넓히려 한 지은이의 노력과 고심이 오롯이 담겨 있다.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대한 애정
1부 ‘전쟁과 수난’에서는 전쟁과 국가폭력이라는 거대한 역사의 수레바퀴에 의해 망각된 민초의 삶을 살피는 지은이의 따뜻한 시선을 느낄 수 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에 강제동원된 라인연방 출신 야코브 발터의 연대기를 분석한 글이 그런 예다. 이 진귀한 기록에서 지은이는 혁명의 열광, 해방, 자유 같은 추상적 슬로건이 아니라 신앙에 의지한 채 생존을 위해 전력을 다한 ‘개인’을 보여준다. 1819년 영국 맨체스터에서 정치 개혁을 요구하던 군중을 향해 기병대들이 칼을 휘둘러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낸 ‘피털루 학살 사건’, 영국군의 무차별 사격으로 인도인 수백 명이 살해된 1919년 인도 암리자르시 ‘잘리안왈라 공원 학살 사건’은 영국 민주주의 흑역사를 보여주는 대목. 지은이는 이를 5ㆍ18광주민중항쟁과 더불어 민중의 저항으로 읽는다.
국가사를 넘어 … 지적 탐구의 확장
지은이는 오랫동안 영국사를 천착해왔다. 영국의 특정 시대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다른 분야로 시야를 넓히겠느냐는 일종의 ‘지적 결벽증’ 탓이 컸다. 한데 이 유저의 2부 ‘근대의 성취, 근대의 한계’에서는 국가사를 넘어 지역사 또는 문명사로까지 눈길을 돌린다. 산업혁명이 곧 화석 문명의 문을 열어젖혔음을 지적하면서 “이는 자연의 수탈 필요성을 증대시켰고 …… 생존선 이상의 물질적 번영의 길로 들어서는 순간 인간은 생존만이 아니라 욕구 충족과 즐거움과 소비 자체를 위한 소비”, 곧 무한한 낭비의 시대가 열린 것이라 갈파한 글이 그렇다. 그런가 하면 콜레라와 황열병의 만연으로 전염병 예방을 위한 국제공조가 이뤄지는 과정을 살핀 ‘전염병과 국제공조의 탄생’, 리처드 에번스의 역저 《힘의 추구》를 분석적으로 읽어낸 ‘19세기 유럽사를 보는 시각’에서도 저자의 이 같은 학문적 분투가 느껴진다.
서로의 눈에 비친 동서양의 근대
3부 ‘동양과 서양’은 영국 여행가 이사벨라 버드 비숍, 역사가 아놀드 토인지,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 이순탁 연희전문 교수의 여행기를 축으로 19세기 말 20세기 초 동서양이 상대를 보는 시선을 비교, 분석한다. 여기서 일본의 봉건 지배층이 근대화를 위해 2,000년 이상 지켜온 기득권을 스스로 내려놓은 데 대해 감탄하는 영국 지식인들을 만날 수 있다. 1933년 당시로선 드문 세계 일주 여행에 나선 이순탁 교수가 거리 곳곳에 마르크스나 엥겔스 초상이 걸려 있고 런던 하이드파크에서 파시즘에서 공산주의까지 극단적 정치 이데올로기를 설파해도 정치인은 물론 평범한 시민 모두 개의치 않는 풍경에 대한 감탄도 읽을 수 있다. 그러면서 “영국인들이 이렇게 사상에 관대한 것은 자신의 것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 때문이라는 그의 지적에 공감하게 된다. 황화론黃禍論의 뿌리를 캔 ‘다시 돌아보는 황화론’ 역시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백조의 노래’라는 표현이 있다. 백조는 죽기 직전에 노래한다는 북유럽의 전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작가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지은 시가나 가곡 등을 가리킨다. 이 책은 어떤 의미에서 지은이의 ‘백조의 노래’다. 뜻하지 않게 일찍 세상을 떠난, 우직할 정도로 견실하고도 엄정했던 역사학자의 마지막 글들이어서다. 그러기에 사학도들에겐 학문적 등대가 될 만하고, 역사 덕후들에겐 문명사의 숨은 결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이 책은 지난 2월 세상을 떠난 이영석 전 광주대학교 명예교수의 마지막 저술이다. “일류대학 출신도 아닌 국내파 학자로 지방대학에서만 30년간 강의한” 그는 누구보다 치열하고 성실했던 역사가였다. 1994년 《산업혁명과 노동정책》을 시작으로 28년간 25권(단독ㆍ공동 저서와 역서 포함)의 책을 출간한 기록이 이를 입증한다. 국내에서 서양사를 전공하는 척박한 환경에서 거의 매년 한 권의 책을 냈으니 이는 여느 사학자가 쉬 따르지 못할 성취라 할 수 있다.
책은 그가 말년에 쓴 12편의 글을 묶은 것이다. 여기에는 연구의 지평을 넓히려 한 지은이의 노력과 고심이 오롯이 담겨 있다.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대한 애정
1부 ‘전쟁과 수난’에서는 전쟁과 국가폭력이라는 거대한 역사의 수레바퀴에 의해 망각된 민초의 삶을 살피는 지은이의 따뜻한 시선을 느낄 수 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에 강제동원된 라인연방 출신 야코브 발터의 연대기를 분석한 글이 그런 예다. 이 진귀한 기록에서 지은이는 혁명의 열광, 해방, 자유 같은 추상적 슬로건이 아니라 신앙에 의지한 채 생존을 위해 전력을 다한 ‘개인’을 보여준다. 1819년 영국 맨체스터에서 정치 개혁을 요구하던 군중을 향해 기병대들이 칼을 휘둘러 수백 명의 사상자를 낸 ‘피털루 학살 사건’, 영국군의 무차별 사격으로 인도인 수백 명이 살해된 1919년 인도 암리자르시 ‘잘리안왈라 공원 학살 사건’은 영국 민주주의 흑역사를 보여주는 대목. 지은이는 이를 5ㆍ18광주민중항쟁과 더불어 민중의 저항으로 읽는다.
국가사를 넘어 … 지적 탐구의 확장
지은이는 오랫동안 영국사를 천착해왔다. 영국의 특정 시대도 잘 모르는데 어떻게 다른 분야로 시야를 넓히겠느냐는 일종의 ‘지적 결벽증’ 탓이 컸다. 한데 이 유저의 2부 ‘근대의 성취, 근대의 한계’에서는 국가사를 넘어 지역사 또는 문명사로까지 눈길을 돌린다. 산업혁명이 곧 화석 문명의 문을 열어젖혔음을 지적하면서 “이는 자연의 수탈 필요성을 증대시켰고 …… 생존선 이상의 물질적 번영의 길로 들어서는 순간 인간은 생존만이 아니라 욕구 충족과 즐거움과 소비 자체를 위한 소비”, 곧 무한한 낭비의 시대가 열린 것이라 갈파한 글이 그렇다. 그런가 하면 콜레라와 황열병의 만연으로 전염병 예방을 위한 국제공조가 이뤄지는 과정을 살핀 ‘전염병과 국제공조의 탄생’, 리처드 에번스의 역저 《힘의 추구》를 분석적으로 읽어낸 ‘19세기 유럽사를 보는 시각’에서도 저자의 이 같은 학문적 분투가 느껴진다.
서로의 눈에 비친 동서양의 근대
3부 ‘동양과 서양’은 영국 여행가 이사벨라 버드 비숍, 역사가 아놀드 토인지,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 이순탁 연희전문 교수의 여행기를 축으로 19세기 말 20세기 초 동서양이 상대를 보는 시선을 비교, 분석한다. 여기서 일본의 봉건 지배층이 근대화를 위해 2,000년 이상 지켜온 기득권을 스스로 내려놓은 데 대해 감탄하는 영국 지식인들을 만날 수 있다. 1933년 당시로선 드문 세계 일주 여행에 나선 이순탁 교수가 거리 곳곳에 마르크스나 엥겔스 초상이 걸려 있고 런던 하이드파크에서 파시즘에서 공산주의까지 극단적 정치 이데올로기를 설파해도 정치인은 물론 평범한 시민 모두 개의치 않는 풍경에 대한 감탄도 읽을 수 있다. 그러면서 “영국인들이 이렇게 사상에 관대한 것은 자신의 것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 때문이라는 그의 지적에 공감하게 된다. 황화론黃禍論의 뿌리를 캔 ‘다시 돌아보는 황화론’ 역시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백조의 노래’라는 표현이 있다. 백조는 죽기 직전에 노래한다는 북유럽의 전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작가가 죽기 전에 마지막으로 지은 시가나 가곡 등을 가리킨다. 이 책은 어떤 의미에서 지은이의 ‘백조의 노래’다. 뜻하지 않게 일찍 세상을 떠난, 우직할 정도로 견실하고도 엄정했던 역사학자의 마지막 글들이어서다. 그러기에 사학도들에겐 학문적 등대가 될 만하고, 역사 덕후들에겐 문명사의 숨은 결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나의 공부는 여기서 멈추지만 : 역사가 이영석이 남긴 서양사 담론
$2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