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개념 설명에서 활용 사례까지 … 연구실에서 현장 목소리까지
우리 삶에 녹아든 ‘공공역사’에 관한 거의 모든 것
우리 삶에 녹아든 ‘공공역사’에 관한 거의 모든 것
“역사는 너무 중요해 역사가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
역사는 오늘날 다양한 문화적 형태로 재현되거나 전시되거나 실천되어 우리 주변에 존재한다. 반면 현재 대한민국은 역사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큰 갈등에 직면해 있다. 육사 내 흉상 이전을 계기로 벌어진 홍범도 장군에 대한 논란은 물론이고, 그동안 독도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본과의 역사 전쟁, 뉴라이트 및 이른바 재야사학자들의 공세 등 다양한 역사 공세 속에서 역사학자들은 궁지에 몰려 있다. 게다가 역사판 ‘가짜뉴스’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역사학자의 학문적 권위는 반지성주의에 밀리는 형국이다. “역사는 너무나 중요하기에 역사학자들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는 말이 있지만 ‘우리 모두의 역사’를 위해 공공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하는 일은 너무나 중요하다.
공공역사 실천을 위한 연구 네트워크의 3년 기획
국제공공역사연맹의 의장을 지낸 토마스 코빈에 의하면 공공역사의 핵심 개념으로 비학문적 청중, 과거의 활용, 권위의 공유를 꼽았다. 공공역사는 역사학자만의 것이 아니라 “교실 밖에서” 역사를 배우고 즐기며 관심을 갖는 모두의 것이란 의미다. 하지만 많은 사학과가 역사문화학과나 역사콘텐츠학과, 역사문화콘텐츠학과 등 학과명을 바꾸고 커리큘럼에 혁신적 변화를 주었지만, 역사학과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도 쉽지 않고, 역사학 교육도 미흡하게 되는 문제들을 노정시켰다. 2018년 출범한 연구자 네트워크인 역사공장의 부설 연구소로 2021년 문을 연 ‘공공역사문화연구소’는 이에 착안하여 년에 걸쳐 24인의 역사 전공자ㆍ학예연구사ㆍ문화해설사ㆍPD 등의 탄탄한 이론과 생생한 경험을 담은 글들을 모았다.
역사 전공자ㆍ애호가를 위한 입문서이자 실용 가이드
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직업적인 역사학자 이외에도 박물관ㆍ미디어ㆍ역사교육ㆍ지역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직업적 전문성과 역사적 방법론을 겸비한 많은 공공역사가가 활약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역사란 무엇인지, 공공역사가는 어떤 사람이고 어떻게 되는 것인지, 공공역사를 위해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호하기만 하다. 이 책은 역사 전공자와 애호가 모두를 위한 입문서이자 교양서, 취업과 활동 방법을 다룬 실용서 성격을 띤다. 1부는 한국에서 공공역사 논의가 시작된 배경, 논의의 흐름과 쟁점들을 다루었다. 2부는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역사학자 및 공공역사가들로서 현장의 쟁점과 고민을 풀어놓았다. 3부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공역사가들이 직접 자신의 활동을 소개했다.
한국의 공공역사에 관한 최초의 단행본인 이 책은 그만큼 값지다. 현재 다양한 분야를 망라해서 한국 공공역사의 수준과 고민을 생생하게 보여주기에 더욱 그렇다. 역사학과 대중을 연결해 주는 ‘역사 커뮤니케이터’라는 용어가 한국에서도 정착되기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기도 하다.
역사는 오늘날 다양한 문화적 형태로 재현되거나 전시되거나 실천되어 우리 주변에 존재한다. 반면 현재 대한민국은 역사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큰 갈등에 직면해 있다. 육사 내 흉상 이전을 계기로 벌어진 홍범도 장군에 대한 논란은 물론이고, 그동안 독도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일본과의 역사 전쟁, 뉴라이트 및 이른바 재야사학자들의 공세 등 다양한 역사 공세 속에서 역사학자들은 궁지에 몰려 있다. 게다가 역사판 ‘가짜뉴스’들이 화제를 모으면서 역사학자의 학문적 권위는 반지성주의에 밀리는 형국이다. “역사는 너무나 중요하기에 역사학자들에게만 맡겨둘 수 없다”는 말이 있지만 ‘우리 모두의 역사’를 위해 공공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하는 일은 너무나 중요하다.
공공역사 실천을 위한 연구 네트워크의 3년 기획
국제공공역사연맹의 의장을 지낸 토마스 코빈에 의하면 공공역사의 핵심 개념으로 비학문적 청중, 과거의 활용, 권위의 공유를 꼽았다. 공공역사는 역사학자만의 것이 아니라 “교실 밖에서” 역사를 배우고 즐기며 관심을 갖는 모두의 것이란 의미다. 하지만 많은 사학과가 역사문화학과나 역사콘텐츠학과, 역사문화콘텐츠학과 등 학과명을 바꾸고 커리큘럼에 혁신적 변화를 주었지만, 역사학과 콘텐츠를 연결하는 것도 쉽지 않고, 역사학 교육도 미흡하게 되는 문제들을 노정시켰다. 2018년 출범한 연구자 네트워크인 역사공장의 부설 연구소로 2021년 문을 연 ‘공공역사문화연구소’는 이에 착안하여 년에 걸쳐 24인의 역사 전공자ㆍ학예연구사ㆍ문화해설사ㆍPD 등의 탄탄한 이론과 생생한 경험을 담은 글들을 모았다.
역사 전공자ㆍ애호가를 위한 입문서이자 실용 가이드
오늘날 우리 주변에는 직업적인 역사학자 이외에도 박물관ㆍ미디어ㆍ역사교육ㆍ지역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직업적 전문성과 역사적 방법론을 겸비한 많은 공공역사가가 활약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역사란 무엇인지, 공공역사가는 어떤 사람이고 어떻게 되는 것인지, 공공역사를 위해 어떤 활동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호하기만 하다. 이 책은 역사 전공자와 애호가 모두를 위한 입문서이자 교양서, 취업과 활동 방법을 다룬 실용서 성격을 띤다. 1부는 한국에서 공공역사 논의가 시작된 배경, 논의의 흐름과 쟁점들을 다루었다. 2부는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역사학자 및 공공역사가들로서 현장의 쟁점과 고민을 풀어놓았다. 3부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공역사가들이 직접 자신의 활동을 소개했다.
한국의 공공역사에 관한 최초의 단행본인 이 책은 그만큼 값지다. 현재 다양한 분야를 망라해서 한국 공공역사의 수준과 고민을 생생하게 보여주기에 더욱 그렇다. 역사학과 대중을 연결해 주는 ‘역사 커뮤니케이터’라는 용어가 한국에서도 정착되기 위한, 의미 있는 첫걸음이기도 하다.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2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