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가족을 잃고 한반도를 떠난 것도, 다시 돌아온 것도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던 ‘폴란드의 아이들’
자신의 의지가 아니었던 ‘폴란드의 아이들’
1950년대, 한반도는 전쟁의 포화에 불탔다. 수많은 사람이 희생됐고, 살아남은 아이들은 전쟁고아가 됐다. 인민군은 고아가 된 아이들을 ‘위탁 교육’이라는 명목으로 동유럽의 사회주의 국가들에 보냈다. 사회주의 국가 간의 결속을 강화하는 의미로 폴란드, 체코, 헝가리 등 여러 나라에서 아이들을 받아들였다. 국가 정책으로 시행된 일이었지만 현지의 주민들은 아이들을 진심으로 따뜻하게 맞아 주었다.
이 소설은 바로 그때 한반도에서 폴란드로 보내진 소녀, 순례의 이야기다. 공습이 있던 날 순례는 어머니와 동생들을 모두 잃어버리고 말았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폴란드에 도착한 순례는 자신과 같은 처지의 아이들과 함께 양육원에서 지내는 한편 방학 때마다 현지 위탁 가정에 방문해 일손을 도왔다. 그 가정의 부부는 순례에게 ‘한나’라는 이름을 지어 주고 친딸을 대하듯 사랑으로 돌보아 주었다. 순례도 그들을 ‘마마’, ‘파파’라고 부르며 따랐다.
‘한나’에게 낯선 땅 폴란드가 고향처럼 여겨지고, 오히려 고향 땅이 낯설게 느껴질 만큼의 시간이 흐른 어느 날, 갑작스러운 소식이 들려온다. 북한 당국에서 아이들을 모두 본국으로 송환한다는 소식이었다. 마마, 파파와의 이별을 채 받아들이기도 전에 한나는 또 하나의 충격적인 이야기를 전해 듣는다. 바로 마마와 파파만큼이나 한나에게 큰 힘이 되어 주었던 남자 친구 현수가 사라졌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수는 한나가 들어 본 적도 없는 ‘비밀 양육원’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이대로 현수와 영영 헤어질 수 없었던 한나는 비밀 양육원을 향해 떠난다. 그 험난한 여정에서 한나는 더 어릴 때는 미처 바라보지 못했던 전쟁 뒷면의 흔적과 상처, 거기에 맞서는 사람들의 사랑을 느끼며 자신의 삶을 새롭게 바라보게 된다.
교과서가 미처 담아내지 못하는 전쟁의 생생한 흔적,
그럼에도 계속되는 삶과 사랑에 대하여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비롯해 크고 작은 전쟁을 경험하고도 인류는 여전히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방아쇠를 당기고 있다. 아까운 목숨이 날마다 스러져 가고 있고, 그중에서도 특히 아이들은 예나 지금이나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그들이 겪는 아픔은 전쟁의 정치적·경제적·군사적인 화제에 밀려 주목받지도, 중요하게 거론되지도 못한다. 건강하게 자라 10년 뒤, 20년 뒤 사회의 기둥이 되어야 할 아이들이 싸늘하고 컴컴한 무관심 속에 희생된다.
교육 현장에서도 그들을 충분히 조명하지 못하는 사정은 다르지 않다. 가령 ‘6.25 전쟁’이라고 하면 “기습 남침 -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 -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세 역전 - 중공군 개입과 흥남 철수…”를 줄줄 외는 학생도 그 안에서 많은 사람들, 특히 아이들이 얼마나 큰 고통을 겪었는지 자세히 알기 어렵다. 소설 속의 아이들처럼,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지구 반대편으로 보내졌다가 또 원치 않게 송환된 아이들이 있었는지조차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이 씁쓸한 현실이다.
《폴란드의 비밀 양육원》에서는 교과서에서 배웠던 비극적인 역사 속 한 사람을 클로즈업해 보여 준다. 큰 그림만 조망했을 때는 보이지 않았던 한 사람의 거친 숨결, 송골송골 맺혀 흐르는 땀과 피, 사랑하는 사람과 나누는 대화와 그때의 표정까지… 손 내밀면 닿을 거리에서 느끼도록 독자를 초대한다. 이 소설을 읽은 청소년이라면 그전까지와는 또 다른 마음으로 절실하게 “전쟁, 반대!”를 외칠 수 있을 것이다.
이 소설은 바로 그때 한반도에서 폴란드로 보내진 소녀, 순례의 이야기다. 공습이 있던 날 순례는 어머니와 동생들을 모두 잃어버리고 말았다.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폴란드에 도착한 순례는 자신과 같은 처지의 아이들과 함께 양육원에서 지내는 한편 방학 때마다 현지 위탁 가정에 방문해 일손을 도왔다. 그 가정의 부부는 순례에게 ‘한나’라는 이름을 지어 주고 친딸을 대하듯 사랑으로 돌보아 주었다. 순례도 그들을 ‘마마’, ‘파파’라고 부르며 따랐다.
‘한나’에게 낯선 땅 폴란드가 고향처럼 여겨지고, 오히려 고향 땅이 낯설게 느껴질 만큼의 시간이 흐른 어느 날, 갑작스러운 소식이 들려온다. 북한 당국에서 아이들을 모두 본국으로 송환한다는 소식이었다. 마마, 파파와의 이별을 채 받아들이기도 전에 한나는 또 하나의 충격적인 이야기를 전해 듣는다. 바로 마마와 파파만큼이나 한나에게 큰 힘이 되어 주었던 남자 친구 현수가 사라졌다는 것이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현수는 한나가 들어 본 적도 없는 ‘비밀 양육원’으로 가고 있다고 했다.
이대로 현수와 영영 헤어질 수 없었던 한나는 비밀 양육원을 향해 떠난다. 그 험난한 여정에서 한나는 더 어릴 때는 미처 바라보지 못했던 전쟁 뒷면의 흔적과 상처, 거기에 맞서는 사람들의 사랑을 느끼며 자신의 삶을 새롭게 바라보게 된다.
교과서가 미처 담아내지 못하는 전쟁의 생생한 흔적,
그럼에도 계속되는 삶과 사랑에 대하여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비롯해 크고 작은 전쟁을 경험하고도 인류는 여전히 서로 총부리를 겨누고 방아쇠를 당기고 있다. 아까운 목숨이 날마다 스러져 가고 있고, 그중에서도 특히 아이들은 예나 지금이나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그들이 겪는 아픔은 전쟁의 정치적·경제적·군사적인 화제에 밀려 주목받지도, 중요하게 거론되지도 못한다. 건강하게 자라 10년 뒤, 20년 뒤 사회의 기둥이 되어야 할 아이들이 싸늘하고 컴컴한 무관심 속에 희생된다.
교육 현장에서도 그들을 충분히 조명하지 못하는 사정은 다르지 않다. 가령 ‘6.25 전쟁’이라고 하면 “기습 남침 - 낙동강 전선까지 후퇴 -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세 역전 - 중공군 개입과 흥남 철수…”를 줄줄 외는 학생도 그 안에서 많은 사람들, 특히 아이들이 얼마나 큰 고통을 겪었는지 자세히 알기 어렵다. 소설 속의 아이들처럼,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지구 반대편으로 보내졌다가 또 원치 않게 송환된 아이들이 있었는지조차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이 씁쓸한 현실이다.
《폴란드의 비밀 양육원》에서는 교과서에서 배웠던 비극적인 역사 속 한 사람을 클로즈업해 보여 준다. 큰 그림만 조망했을 때는 보이지 않았던 한 사람의 거친 숨결, 송골송골 맺혀 흐르는 땀과 피, 사랑하는 사람과 나누는 대화와 그때의 표정까지… 손 내밀면 닿을 거리에서 느끼도록 독자를 초대한다. 이 소설을 읽은 청소년이라면 그전까지와는 또 다른 마음으로 절실하게 “전쟁, 반대!”를 외칠 수 있을 것이다.
☞ 선정 및 수상내역
★202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문학창작기금사업 선정작★
★202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문학창작기금사업 선정작★
폴란드의 비밀 양육원 - 오늘의 청소년 문학 44
$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