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월반하는 기쁨이 있기를
박정란 작가는 내가 1979년도 공주로 이사 와서 살면서 가장 가깝게 지내온 글벗 가운데 한 분이다. 분명히 공주 태생이고 공주에서만 산 분인데 성격이 화끈하고 열정적이어서 매작지근하고 은근짜인 공주 사람과는 많이 구분되는 분이다.
박 작가는 이미 볼륨 있는 수필집을 한 권 낸 바 있는, 저력 있는 작가다. 그런 그녀가 이번에 두 번째 산문집을 낸다고 해서 원고를 잠시 읽어보았다. 첫 번째 수필집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녀의 수필은 그녀 삶의 진솔한 고백이란 점에서 매우 친숙한 느낌을 준다.
무엇보다도 솔직함이 장점이다. 그리고 열정적인 자기 고백이 또한 상쾌함을 선사한다. 오래되어 묵은 말이긴 하지만 ‘글은 곧 사람이다’란 말이 있다. 이 말이 딱 박 작가에게 적합한 말이 아닌가 싶다. 독자들 모두 그녀의 글 속에서 뜨겁게 인생을 사는 한 여성의 영혼을 만나게 될 것이다.
월반합시다. 지금 우리 나이가 많기는 하지만 공부도 열심히 하고 글도 열심히 쓰고 인생도 뜨겁게 살아 월반하는 사람이 다 되어봅시다. 두 번째 아름다운 책을 내는 박 작가에게 축하의 말씀을 전하며 내일 날에 변모될 우리 자신의 모습을 함께 상상해 보며 기쁨도 역시 함께 합니다.
- 나태주 시인
지금은 여자아이들에게도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시대다. 한 집에 1명 또는 2명의 아이가 있고, 그 아이들에게 부모가 지원할 수 있는 최대한의 교육을 제공한다. 우수한 여자아이는 알파걸(모든 면에서 탁월하게 우수한 여자)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베이비붐 세대인 필자의 시대에만도 이렇지 않았다. 교육의 기회가 남자아이에게 집중되었다. 남자형제의 학비를 대기 위해 여자형제들이 공장이나 버스 차장, 가정부로 가야 하던 시대가 그리 오래 전도 아니다.
박정란 선생님은 교사 집안의 7남매 중 하나다. 누구보다 총명하고 재능이 넘쳤지만 넉넉지 않은 살림 탓에 꿈을 펼칠 기회가 충분치 못했던 것 같다. 결혼 후에는 또 아내로 어머니로 며느리로 해야 할 역할이 늘어났다. 아마 오랜 기간 마음 속에 눌러놓기만 했던 재능과 끼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을 것이다.
필자는 이 책에서 특별히 「월반하세요」라는 글에 주목하게 된다. ‘월반’이란 무엇일까. 특별히 우수한 학생을 그보다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학년이나 학급에 두지 않고 상급반으로 진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 단계 상승하는 것을 뜻한다. 어린 천재를 일반학교에 두지 않고 일찍 명문대학에 입학허가를 내준다거나 하는 사례가 있지 않은가.
젊은 날, 나의 멘토 역할을 해주시던 지인께서 내게 ‘월반(越班)하라’는 말씀을 하신 적이 있다. 그땐 그 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어렴풋이 짐작만 하며 지냈지만, 이 나이에 이르니 그 말의 의미를 다시금 떠올려 보게 된다.
월반의 사전적 의미는 ‘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이 학년의 차례를 뛰어넘어 상급반으로 진급함’을 말한다.
그분께서는 나의 삶을 곁에서 보시고 어른의 눈으로 본 젊은 날의 내 모습이 안타까워 그런 말씀을 하셨던 것 같다. 좀 더 높은 목표를 두고 열심히 살았으면… 싶어서였을 게다. 하지만 나는 학습능력이 높지 못해 실수를 거듭하며 살았다. 열심히는 살았다고 자부하나 월반하지 못하고 그저 보통 사람들처럼 물 흐르듯 살았을 뿐이다.
그 분의 말씀처럼 내가 월반했더라면? 어쩌면 나는 내 삶에 더 의미를 부여하며 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이제 와서 뒤늦게 해 본다.
- 「월반하세요」 중에서
젊었던 한때 고민이 많았던 박정란 선생이 찾아가서 지혜를 구하자, 인생의 선배는 ‘월반하세요’라고 한다. 이 충고에 대한 답을 평생 찾으며 작가는 살아왔다고 한다. ‘월반하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 ‘작은 일에 얽매이지 말고 멀리 앞을 내다보세요’일까. ‘한 단계 뛰어넘으세요’일까. ‘당신은 그렇게 작은 일에 고민하기엔 아까운 사람이니 다른 쪽으로 노력해서 한 단계 상승하세요’일까. 그러고 보면 우리 모두는 월반을 꿈꾸며 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때로부터 꽤 긴 세월이 흐른 지금, 저자는 원하던 것을 거의 모두 이루신 것 같다. 가정의 안정과 자신의 성취가 다 이루어졌다. 그러니, 박정란 선생은 이미 월반에 성공하셨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월반에 끝이 있을까. 인생이 끝나는 날까지 사람들은 한 차원 더 높이 올라가고자 하는 꿈을 지니고 산다. 어찌 보면 이제 작가의 ‘월반’을 방해하는 것은 작가 자신뿐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가장 어렵지 않은가.
「어느 날의 식사시간」에는 갈등과 해소에 얽힌 작가의 특별한 경험이 들어 있다. 계기는 식사를 준비하고 남편을 기다리는 사소한 일에서 비롯된다.
이걸 아는 데 왜 30년이나 걸렸을까? 진즉에 알았더라면 서로가 좀 더 편하게 살지 않았을까?
결혼 후 30년이 넘도록 남편과 아이들을 기다리며 살았다. 어느 주부나 그럴 것이다. 그런데 나는 남편을 기다리는 동안 곧잘 화가 나고는 했다. 아내와의 약속은 종종 무시당하기 때문이다. 식사를 집에서 한다고 했다가 준비해놓고 기다리고 있는 아내 생각은 아니하고, 퇴근길에 다른 약속을 해버리기 때문이다.
- 「어느 날의 식사시간」 중에서
음식 만드는 사람이 제일 싫어하는 것이 먹을 사람들이 밥상 앞에 제때 앉지 않는 것이다. 음식 만드는 일은 잔손이 많이 가는 중노동이다. 손맛이 있다는 사람들은 특별한 재능이 있다기보다는 그만큼 음식 만드는 과정에 더 시간과 노력을 쏟는다는 쪽에 가깝다. 박정란 선생님도 손맛 빼어난 주부다. 식사 준비에 많은 공을 들일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밥상을 차려놓고 아무리 기다려도 먹을 사람이 오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애써 준비한 음식이 버려지는 것도 아깝지만, 함께 먹으려고 기다리며 배를 곯다보면, 음식은 식어버리고 식욕마저 달아나버린다.
「어느 날의 식사시간」은 그런 일이 생겼던 많은 날 중의 하루이지만, 이날은 달랐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접시에 1인분의 반찬을 고루고루 담았다. 그리고 혼자서 먹기 시작했다. 싱싱한 재료들로 만들어서인지 참 맛있었다. 다 먹고 나니 포만감과 함께 남편은 아직 도착 전인데도 행복했다.
- 「어느 날의 식사시간」 중에서
유난히 배가 고팠던 날이기도 했지만, 몇십 년 만에 처음으로 남편 오기 전에 먼저 밥을 먹은 것이 그 이유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냥 뭔가 마음속에서 달라진 것이다. 사실 남편도, 아내가 자기만을 기다리며 밤늦게까지 굶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불가피하게 예정보다 귀가가 늦는 일이 종종 생기는데, 집에 왔을 때 아내가 배고픈 상태로 화가 나 있다면 난감할 것이다.
사실, 이 모든 일의 뒤에는 ‘남자들이 잘 먹도록 시중을 든 다음에야 주부가 먹는다’라는 가부장적 관념이 있었다. 누가 뭐라 하는 것도 아닌데 마음속의 금기가 평생 남편 오기 전에 숟가락을 들지 못하도록 막은 것이다. 그러니, 먼저 숟갈을 들고 맛있게 먹은 이날의 일은 큰 의미가 있다. 박정란 선생은 ‘결혼 후 40년이 훌쩍 지난 다음에야 드디어 깨달은 것을 며느리에게는 꼭 일러주리라 생각해 본다’라고 독백한다. 내가 행복해야 반려도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은 날이다. 오래된 자신만의 금기를 깨는 것, 이 또한 ‘월반’의 순간 중 하나다.
이렇게, 박정란 선생님의 두 번째 수필집 『월반하세요』는 앞선 책보다 눈부시게 성장한 지은이의 마음의 풍경을 보여준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누구나 맞이할 노년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되, 세계관이 훨씬 밝아졌다는 것이다. 이 책의 테마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렇게 될 것 같다. ‘어려운 시절을 성공적으로 살아낸 세대가 맞이한 명랑한 노년’. 후속 세대에게, 닥쳐올 노년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책이다.
박 작가는 이미 볼륨 있는 수필집을 한 권 낸 바 있는, 저력 있는 작가다. 그런 그녀가 이번에 두 번째 산문집을 낸다고 해서 원고를 잠시 읽어보았다. 첫 번째 수필집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녀의 수필은 그녀 삶의 진솔한 고백이란 점에서 매우 친숙한 느낌을 준다.
무엇보다도 솔직함이 장점이다. 그리고 열정적인 자기 고백이 또한 상쾌함을 선사한다. 오래되어 묵은 말이긴 하지만 ‘글은 곧 사람이다’란 말이 있다. 이 말이 딱 박 작가에게 적합한 말이 아닌가 싶다. 독자들 모두 그녀의 글 속에서 뜨겁게 인생을 사는 한 여성의 영혼을 만나게 될 것이다.
월반합시다. 지금 우리 나이가 많기는 하지만 공부도 열심히 하고 글도 열심히 쓰고 인생도 뜨겁게 살아 월반하는 사람이 다 되어봅시다. 두 번째 아름다운 책을 내는 박 작가에게 축하의 말씀을 전하며 내일 날에 변모될 우리 자신의 모습을 함께 상상해 보며 기쁨도 역시 함께 합니다.
- 나태주 시인
지금은 여자아이들에게도 많은 기회가 주어지는 시대다. 한 집에 1명 또는 2명의 아이가 있고, 그 아이들에게 부모가 지원할 수 있는 최대한의 교육을 제공한다. 우수한 여자아이는 알파걸(모든 면에서 탁월하게 우수한 여자)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베이비붐 세대인 필자의 시대에만도 이렇지 않았다. 교육의 기회가 남자아이에게 집중되었다. 남자형제의 학비를 대기 위해 여자형제들이 공장이나 버스 차장, 가정부로 가야 하던 시대가 그리 오래 전도 아니다.
박정란 선생님은 교사 집안의 7남매 중 하나다. 누구보다 총명하고 재능이 넘쳤지만 넉넉지 않은 살림 탓에 꿈을 펼칠 기회가 충분치 못했던 것 같다. 결혼 후에는 또 아내로 어머니로 며느리로 해야 할 역할이 늘어났다. 아마 오랜 기간 마음 속에 눌러놓기만 했던 재능과 끼에 대한 목마름이 있었을 것이다.
필자는 이 책에서 특별히 「월반하세요」라는 글에 주목하게 된다. ‘월반’이란 무엇일까. 특별히 우수한 학생을 그보다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학년이나 학급에 두지 않고 상급반으로 진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 단계 상승하는 것을 뜻한다. 어린 천재를 일반학교에 두지 않고 일찍 명문대학에 입학허가를 내준다거나 하는 사례가 있지 않은가.
젊은 날, 나의 멘토 역할을 해주시던 지인께서 내게 ‘월반(越班)하라’는 말씀을 하신 적이 있다. 그땐 그 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어렴풋이 짐작만 하며 지냈지만, 이 나이에 이르니 그 말의 의미를 다시금 떠올려 보게 된다.
월반의 사전적 의미는 ‘학습 능력이 높은 학생이 학년의 차례를 뛰어넘어 상급반으로 진급함’을 말한다.
그분께서는 나의 삶을 곁에서 보시고 어른의 눈으로 본 젊은 날의 내 모습이 안타까워 그런 말씀을 하셨던 것 같다. 좀 더 높은 목표를 두고 열심히 살았으면… 싶어서였을 게다. 하지만 나는 학습능력이 높지 못해 실수를 거듭하며 살았다. 열심히는 살았다고 자부하나 월반하지 못하고 그저 보통 사람들처럼 물 흐르듯 살았을 뿐이다.
그 분의 말씀처럼 내가 월반했더라면? 어쩌면 나는 내 삶에 더 의미를 부여하며 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이제 와서 뒤늦게 해 본다.
- 「월반하세요」 중에서
젊었던 한때 고민이 많았던 박정란 선생이 찾아가서 지혜를 구하자, 인생의 선배는 ‘월반하세요’라고 한다. 이 충고에 대한 답을 평생 찾으며 작가는 살아왔다고 한다. ‘월반하라’는 말의 뜻은 무엇일까. ‘작은 일에 얽매이지 말고 멀리 앞을 내다보세요’일까. ‘한 단계 뛰어넘으세요’일까. ‘당신은 그렇게 작은 일에 고민하기엔 아까운 사람이니 다른 쪽으로 노력해서 한 단계 상승하세요’일까. 그러고 보면 우리 모두는 월반을 꿈꾸며 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때로부터 꽤 긴 세월이 흐른 지금, 저자는 원하던 것을 거의 모두 이루신 것 같다. 가정의 안정과 자신의 성취가 다 이루어졌다. 그러니, 박정란 선생은 이미 월반에 성공하셨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월반에 끝이 있을까. 인생이 끝나는 날까지 사람들은 한 차원 더 높이 올라가고자 하는 꿈을 지니고 산다. 어찌 보면 이제 작가의 ‘월반’을 방해하는 것은 작가 자신뿐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는 일이 가장 어렵지 않은가.
「어느 날의 식사시간」에는 갈등과 해소에 얽힌 작가의 특별한 경험이 들어 있다. 계기는 식사를 준비하고 남편을 기다리는 사소한 일에서 비롯된다.
이걸 아는 데 왜 30년이나 걸렸을까? 진즉에 알았더라면 서로가 좀 더 편하게 살지 않았을까?
결혼 후 30년이 넘도록 남편과 아이들을 기다리며 살았다. 어느 주부나 그럴 것이다. 그런데 나는 남편을 기다리는 동안 곧잘 화가 나고는 했다. 아내와의 약속은 종종 무시당하기 때문이다. 식사를 집에서 한다고 했다가 준비해놓고 기다리고 있는 아내 생각은 아니하고, 퇴근길에 다른 약속을 해버리기 때문이다.
- 「어느 날의 식사시간」 중에서
음식 만드는 사람이 제일 싫어하는 것이 먹을 사람들이 밥상 앞에 제때 앉지 않는 것이다. 음식 만드는 일은 잔손이 많이 가는 중노동이다. 손맛이 있다는 사람들은 특별한 재능이 있다기보다는 그만큼 음식 만드는 과정에 더 시간과 노력을 쏟는다는 쪽에 가깝다. 박정란 선생님도 손맛 빼어난 주부다. 식사 준비에 많은 공을 들일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밥상을 차려놓고 아무리 기다려도 먹을 사람이 오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애써 준비한 음식이 버려지는 것도 아깝지만, 함께 먹으려고 기다리며 배를 곯다보면, 음식은 식어버리고 식욕마저 달아나버린다.
「어느 날의 식사시간」은 그런 일이 생겼던 많은 날 중의 하루이지만, 이날은 달랐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접시에 1인분의 반찬을 고루고루 담았다. 그리고 혼자서 먹기 시작했다. 싱싱한 재료들로 만들어서인지 참 맛있었다. 다 먹고 나니 포만감과 함께 남편은 아직 도착 전인데도 행복했다.
- 「어느 날의 식사시간」 중에서
유난히 배가 고팠던 날이기도 했지만, 몇십 년 만에 처음으로 남편 오기 전에 먼저 밥을 먹은 것이 그 이유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냥 뭔가 마음속에서 달라진 것이다. 사실 남편도, 아내가 자기만을 기다리며 밤늦게까지 굶는 것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불가피하게 예정보다 귀가가 늦는 일이 종종 생기는데, 집에 왔을 때 아내가 배고픈 상태로 화가 나 있다면 난감할 것이다.
사실, 이 모든 일의 뒤에는 ‘남자들이 잘 먹도록 시중을 든 다음에야 주부가 먹는다’라는 가부장적 관념이 있었다. 누가 뭐라 하는 것도 아닌데 마음속의 금기가 평생 남편 오기 전에 숟가락을 들지 못하도록 막은 것이다. 그러니, 먼저 숟갈을 들고 맛있게 먹은 이날의 일은 큰 의미가 있다. 박정란 선생은 ‘결혼 후 40년이 훌쩍 지난 다음에야 드디어 깨달은 것을 며느리에게는 꼭 일러주리라 생각해 본다’라고 독백한다. 내가 행복해야 반려도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은 날이다. 오래된 자신만의 금기를 깨는 것, 이 또한 ‘월반’의 순간 중 하나다.
이렇게, 박정란 선생님의 두 번째 수필집 『월반하세요』는 앞선 책보다 눈부시게 성장한 지은이의 마음의 풍경을 보여준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누구나 맞이할 노년에 대한 통찰을 담고 있되, 세계관이 훨씬 밝아졌다는 것이다. 이 책의 테마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렇게 될 것 같다. ‘어려운 시절을 성공적으로 살아낸 세대가 맞이한 명랑한 노년’. 후속 세대에게, 닥쳐올 노년에 대한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책이다.
월반하세요 : 삶의 진솔하고 열정적인 고백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