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눈부신 그녀들의 세계로 초대하는 김청귤 작가의 첫 번째 단편소설집!
이 세상이 소녀를, 언니를, 나의 여왕을 괴롭힌다면
우리는 더 지독하고 명랑하게 투쟁하리라!
이 세상이 소녀를, 언니를, 나의 여왕을 괴롭힌다면
우리는 더 지독하고 명랑하게 투쟁하리라!
인간이되 인간이지 않은 존재의 모순
김청귤 작가의 두 번째 소설집 『미드나잇 레드카펫』은 이 시대에 아포芽胞처럼 퍼져버린 수많은 사회문제를 작가만의 독특한 판타지세계와 첨예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우리와 밀접하게 닿아 있는 디스토피아를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몽환적인, 비현실의 감각으로 풀어낸 것이다. 이 책은 계속해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성별에 대한 차별적 인식’과 ‘세대를 거듭하는 고질적인 선호사상’, ‘비일비재한 폭력’ 등을 가감 없이 다룬다. 「한밤의 유혈 사태」는 살인이나 스토킹 같은 경범죄를 저지른 가해자가 ‘심신미약’을 일종의 면죄부처럼 사용하는 황당한 현상을 비판한다. 직접적으로 드러난 피해가 없다는 이유로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내리지 않으면서, 우연한 사고로 용의자가 된 주인공 ‘나’에게는 희롱적인 말을 서슴없이 내뱉고 자신을 변호할 수 있는 발언권을 강제로 묵인한다. 이런 강압적인 수사 속에서 주인공이 ‘생리’는 어째서 ‘심신미약’의 이유가 되지 않느냐고 되묻는 대목은 특히 인상적이며, 그렇기에 이 작품은 현 시대를 적나라하게 표상한다고 볼 수 있다.
유사한 맥락으로 ‘피해자’가 분명 존재함에도 ‘가해자’에게 솜방망이 처벌이 내려지는 문제는 「서대전네거리역 미세먼지 청정 구역」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이 ‘미세먼지 인간’으로 변이하게 되었다는 판타지적 설정이 더해진 이 작품에서는 미세먼지 ‘괴물’이 미세먼지 ‘히어로’가 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성별로 우위를 가르고 권력과 지위에 따라 범죄 사실이 미화되는 불편한 현실을 보여준다.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퇴근하던 ‘도연’은 학교 선배이자 같이 일하는 ‘기혁’에게 위협을 당한다. ‘도연’에게 이성적인 호감이 있다는 이유로 집착하듯 연락을 하고, 제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길거리에서 손목을 잡아채고 욕설을 퍼붓는 등 폭력적인 행동을 가한다. ‘도연’의 도와달라는 외침을 들은 ‘다정’의 도움으로 상황은 일단락되지만, 다음 날 ‘기혁’은 술에 잔뜩 취한 채 카페에 찾아와 또다시 ‘도연’에게 난동을 부린다. 그러나 ‘기혁’이 경찰서에 연행된 이유는 ‘도연’에게 저지른 폭력 때문이 아닌, 카페 기물을 파손했다는 이유에서였다. 어쨌거나 처벌을 받게 되어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혼란스러운 그때, 저 멀리서 들려온 소란에 ‘도연’은 다시 한번 참담해진다. ‘기혁’이 미세먼지 인간으로 변이해 경찰서 일대가 청정 구역이 된 것이다. 그렇게 ‘기혁’은 ‘가해자’에서 순식간에 미세먼지 ‘히어로’가 되었고, 사람들은 그가 경찰서에 있던 이유를 알면서도 그 사실을 모른 체한다. 작품에서 미세먼지 인간을 묘사한 “인간이되 인간이지 않은”이라는 수식은 온몸이 미세먼지로 바뀌어 이 세상의 이방인이 된 미세먼지 인간을 그대로 서술하는 동시에, 차마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인간이면서도 인간이지 못한’ 자들을 꼬집기도 한다.
위의 두 작품은 ‘어떤 사건으로 인해 누군가가 경찰 조사를 받게 된다’는 플롯을 공통적으로 갖는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한밤의 유혈 사태」에서는 ‘용의자’가 조사를 받는다는 것과 「서대전네거리역 미세먼지 청정 구역」에서는 ‘피해자’가 조사를 받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김청귤 작가는 가해자인 ‘기혁’의 조사 장면이 아닌 피해자 ‘도연’의 조사 장면을 앞세워 보여준다. 우리는 이 ‘장치’에 숨겨진 본질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바로 두 작품의 조사 장면의 분위기나 경찰의 언행, 사건의 결말이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어째서 용의자와 피해자의 조사 장면이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는가? 만약, ‘기혁’이 조사받는 장면이 「한밤의 유혈 사태」와 대응했다면? 우리는 분명한 차이점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세상은 여전히 “인간이되 인간이지 않은” 존재들에 둘러싸여 있고, 우리는 너무 쉽게 그들에 노출된다. 그렇기에 김청귤 작가는 우리가 끊임없이 그들에 맞설 수 있도록, 아포에 감염되지 않도록 이 책을 통해 외치는 것이다.
김청귤 작가의 두 번째 소설집 『미드나잇 레드카펫』은 이 시대에 아포芽胞처럼 퍼져버린 수많은 사회문제를 작가만의 독특한 판타지세계와 첨예한 시선으로 담아냈다. 우리와 밀접하게 닿아 있는 디스토피아를 매우 현실적이면서도 몽환적인, 비현실의 감각으로 풀어낸 것이다. 이 책은 계속해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는 ‘성별에 대한 차별적 인식’과 ‘세대를 거듭하는 고질적인 선호사상’, ‘비일비재한 폭력’ 등을 가감 없이 다룬다. 「한밤의 유혈 사태」는 살인이나 스토킹 같은 경범죄를 저지른 가해자가 ‘심신미약’을 일종의 면죄부처럼 사용하는 황당한 현상을 비판한다. 직접적으로 드러난 피해가 없다는 이유로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내리지 않으면서, 우연한 사고로 용의자가 된 주인공 ‘나’에게는 희롱적인 말을 서슴없이 내뱉고 자신을 변호할 수 있는 발언권을 강제로 묵인한다. 이런 강압적인 수사 속에서 주인공이 ‘생리’는 어째서 ‘심신미약’의 이유가 되지 않느냐고 되묻는 대목은 특히 인상적이며, 그렇기에 이 작품은 현 시대를 적나라하게 표상한다고 볼 수 있다.
유사한 맥락으로 ‘피해자’가 분명 존재함에도 ‘가해자’에게 솜방망이 처벌이 내려지는 문제는 「서대전네거리역 미세먼지 청정 구역」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인간이 ‘미세먼지 인간’으로 변이하게 되었다는 판타지적 설정이 더해진 이 작품에서는 미세먼지 ‘괴물’이 미세먼지 ‘히어로’가 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성별로 우위를 가르고 권력과 지위에 따라 범죄 사실이 미화되는 불편한 현실을 보여준다.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퇴근하던 ‘도연’은 학교 선배이자 같이 일하는 ‘기혁’에게 위협을 당한다. ‘도연’에게 이성적인 호감이 있다는 이유로 집착하듯 연락을 하고, 제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길거리에서 손목을 잡아채고 욕설을 퍼붓는 등 폭력적인 행동을 가한다. ‘도연’의 도와달라는 외침을 들은 ‘다정’의 도움으로 상황은 일단락되지만, 다음 날 ‘기혁’은 술에 잔뜩 취한 채 카페에 찾아와 또다시 ‘도연’에게 난동을 부린다. 그러나 ‘기혁’이 경찰서에 연행된 이유는 ‘도연’에게 저지른 폭력 때문이 아닌, 카페 기물을 파손했다는 이유에서였다. 어쨌거나 처벌을 받게 되어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혼란스러운 그때, 저 멀리서 들려온 소란에 ‘도연’은 다시 한번 참담해진다. ‘기혁’이 미세먼지 인간으로 변이해 경찰서 일대가 청정 구역이 된 것이다. 그렇게 ‘기혁’은 ‘가해자’에서 순식간에 미세먼지 ‘히어로’가 되었고, 사람들은 그가 경찰서에 있던 이유를 알면서도 그 사실을 모른 체한다. 작품에서 미세먼지 인간을 묘사한 “인간이되 인간이지 않은”이라는 수식은 온몸이 미세먼지로 바뀌어 이 세상의 이방인이 된 미세먼지 인간을 그대로 서술하는 동시에, 차마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운 ‘인간이면서도 인간이지 못한’ 자들을 꼬집기도 한다.
위의 두 작품은 ‘어떤 사건으로 인해 누군가가 경찰 조사를 받게 된다’는 플롯을 공통적으로 갖는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한밤의 유혈 사태」에서는 ‘용의자’가 조사를 받는다는 것과 「서대전네거리역 미세먼지 청정 구역」에서는 ‘피해자’가 조사를 받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김청귤 작가는 가해자인 ‘기혁’의 조사 장면이 아닌 피해자 ‘도연’의 조사 장면을 앞세워 보여준다. 우리는 이 ‘장치’에 숨겨진 본질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 바로 두 작품의 조사 장면의 분위기나 경찰의 언행, 사건의 결말이 매우 흡사하다는 것이다. 어째서 용의자와 피해자의 조사 장면이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는가? 만약, ‘기혁’이 조사받는 장면이 「한밤의 유혈 사태」와 대응했다면? 우리는 분명한 차이점을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세상은 여전히 “인간이되 인간이지 않은” 존재들에 둘러싸여 있고, 우리는 너무 쉽게 그들에 노출된다. 그렇기에 김청귤 작가는 우리가 끊임없이 그들에 맞설 수 있도록, 아포에 감염되지 않도록 이 책을 통해 외치는 것이다.
미드나잇 레드카펫 - 네오픽션 ON시리즈 20
$1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