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2

해방 이후 동인지문학 - 한국문학사와 동인지문학 2

$25.00
저자

박주택외

저자:박주택
책머리에-한국문학의잡지와동인지의통사적인식
박주택,경희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을졸업했다.1986년『경향신문』신춘문예로등단하였으며시집『꿈의이동건축』,『방랑은얼마나아픈휴식인가』,『사막의별아래에서』,『카프카와만나는잠의노래』,『시간의동공』,『또하나의지구가필요할때』,시선집『감촉』등이있으며,연구서『낙원회복의꿈과민족정서의복원』,『반성과성찰』,『현대시의사유구조』등이있다.현재경희대학교국문과교수로재직중이다.

저자:유성호
해방직후북한문단형성기의시적형상
유성호,연세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1999년『서울신문』신춘문예에문학평론으로등단했다.주요저서로『한국현대시의형상과논리』,『상징의숲을가로질러』,『침묵의파문』,『한국시의과잉과결핍』,『현대시교육론』,『근대시의모더니티와종교적상상력』,『정격과역진의정형미학』,『다형김현승시연구』등다수가있다.김달진문학상,대산문학상등을수상하였다.서남대,한국교원대를거쳐현재한양대학교국어국문학과교수로재직중이며인문대학학장을역임했다.

저자:박성준
『신시론』1집과박인환
박성준,경희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일제강점기저항시의낭만주의적경향연구」(2018)로박사학위를받았다.주로식민지근대시의낭만주의적경향과모더니즘시특징연구에주력해왔으며,최근에는전환기문화계와좌담회담론연구로관심을확장하는중이다.2013년『경향신문』신춘문예문학평론에당선되어비평활동을시작했고,편저로『구자운시전집』,『김우종수필선집』과공저『한국현대시의공간연구』1,2가있다.현재경희대,군산대,남서울대,서울과학기술대,우석대,충남대학교등에출강중이다.

저자:이형권
‘후반기’시의메트로-코스모폴리탄감각과사회시학
이형권,전남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녹두꽃』,『창작과비평』,『사상문예운동』에시를발표하며문단활동을시작했다.주요저서로『타자들,에움길에서다』,『한국시의현대성과탈식민성』,『발명되는감각들』등다수가있다.현대시우수작품상,편운문학상등을수상하였다.현재충남대학교국어국문학과교수로재직중이며,『경향신문』,『한국일보』,『한겨레신문』등에칼럼을연재하며문학평론가로도활동하고있다.

저자:송기한
‘후반기’동인과전위의의미
송기한,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주요저서로『한국전후시와시간의식』,『문학비평의욕망과절제』,『한국현대시의서정적기반』,『시의형식과의미의이해』,『21세기한국시의현장』,『비평과인식』,『서정의유토피아』,『현대문학의정신사』등다수가있다.시와시학평론상,대전시문화상등을수상하였다.UCBERKELEY객원교수를거쳐현재대전대학교국어국문학과교수로재직중이다.

저자:오형엽
전후모더니즘시의음악성과시의식
오형엽,고려대학교영문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국문과에서석사와박사학위를받았다.1994년『현대시』신인상,1996년『서울신문』신춘문예평론부문수상으로등단했다.주요저서로『한국근대시와시론의구조적연구』,『현대시의지형과맥락』,『현대문학의구조와계보』,『문학과수사학』,『한국모더니즘시의반복과변주』등이있다.편운문학상,김달진문학상등을수상하였다.고려대학교국문과교수로재직하고있으며문학평론가로활동중이다.

저자:조강석
1960년대한국시의이미지-사유와정동(情動)의정치학
조강석,연세대학교영문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국문과를졸업했다.2005년『동아일보』신춘문예로등단했다.주요저서로평론집『이미지모티폴로지』,『경험주의자의시계』,『아포리아의별자리들』등이있고,연구서로『비화해적가상의두양태』등이있다.김달진젊은평론가상,현대문학상을수상했다.현재연세대학교국어국문학과교수로재직중이며,계간『문예중앙』편집위원으로활동하고있다.

저자:김태형
황동규초기시내부공간변모에대한시선
김태형,경희대학교국어국문학과를졸업하고,동대학원에서박사학위를받았다.주요논저로「황동규초기시내부공간변모에대한시선연구」,「이시우시론을통한『三四文學』의‘오리지날리티’분석」등이있다.현재경희대학교후마니타스칼리지에출강하고있다.

저자:최민지
1980년대『문학과지성』의공간과아우라
최민지,추계예대문예창작학과를졸업하고,경희대학교대학원에서국어국문학과를수료했다.주요연구로「『新時代』와총후부인,일제강점기여성이라는좌표-모윤숙의발표작을중심으로」,「1980년대『문학과지성』의공간과아우라-『우리세대의문학』에서『입속의검은잎』까지」,「AI의감성분석기법을활용한문학사연구에대한시론(試論)-해방기문단과시대의감정」등이있다.

저자:김웅기
『시운동』의견유주의정신과1980년대문학의정치주체재론
김웅기,대구대학교국문과를졸업하고경희대학교대학원국문과에서석사와박사학위를받았다.주요연구로「김수영시의변증법적공간연구」,「윤곤강시연구」,「동경유학생동인지『創作』의아방가르드의의미변용과문예전략연구」,「조선의헤테로토피아로서‘白潮時代’연구」등이있으며공저로『한국문학사와동인지문학』,『인공지능과문학의미래』등이있다.우리문학회학술상,백조학술논문상을수상했다.

목차


책머리에3

유성호|해방직후북한문단형성기의시적형상
『관서시인집』을중심으로29
1.해방직후의문단상황29
2.『관서시인집』의체재와구성32
3.『관서시인집』의구성원과그작품세계34
4.역사적맥락과의의51

박성준|『신시론』1집과박인환
『신시론』초기동인이추구한모더니즘의실체55
1.들어가며55
2.『신시론』1집에서박인환의역할58
3.박인환이추구한모더니즘과『신시론』의관계69
4.나가며81

이형권|'후반기'시의메트로-코스모폴리탄감각과사회시학87
1.들어가며문학사회학을위하여87
2.1950년대의문학장과'후반기'시의위치90
3.메트로폴리탄서울의음울한초상95
4.코스모폴리탄감각의보편화현상106
5.나가며포스트-코스모폴리탄시학을위하여117
송기한|'후반기'동인과전위의의미123
1.들어가며123
2.이미지즘의기능과전후모더니즘에서의그의미126
3.시창작상의이미지즘135
4.전후이미지즘시의시사적의미148

오형엽|전후모더니즘시의음악성과시의식
『전쟁과음악과희망과』1957를중심으로151
1.들어가며151
2.김종삼묘연한음악,하강,신의임재/부재155
3.김광림관념적음악,정지,신의상실162
4.전봉건생명의음악,순환,범신론169
5.나가며177

조강석|1960년대한국시의이미지-사유와정동情動의정치학
『한국전후문제시집』1961의이미지-체제를중심으로183
1.『한국전후문제시집』의문제성183
2.이미지-사유와정동의중요성187
3.전후한국시의현실인식과언어의식,그리고'이미쥐'189
4.전후한국시의이미지-체제196
5.나가며212

김태형|황동규초기시내부공간변모에대한시선
1970년대『문학과지성』의세대에꼴을중심으로215
1.들어가며215
2.『문학과지성』이기획한1970년대문학지형220
3.『문학과지성』의'헬라클레스'228
4.황동규초기시공간변모분석234
5.나가며243

최민지|1980년대『문학과지성』의공간과아우라
『우리세대의문학』에서『입속의검은잎』까지249
1.들어가며'무크지시대'의『문학과지성』249
2.계승적의미로의『우리세대의문학』254
3.지성과세대의변주,『문학과사회』259
4.문학기획의『입속의검은잎』264
5.나가며270

김웅기|『시운동』의견유주의정신과
1980년대문학의정치주체재론275
1.들어가며275
2.지형의균열이라는상상『시운동』의자리282
3.견유주의를위한시학새로운'렌즈'296
4.'언어공학'을통한견유주의문학의정제305
5.나가며'이방인'들의'운동장運動場'320

필자소개(수록순)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