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 한림일본학연구총서 2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시리즈 7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 한림일본학연구총서 2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시리즈 7

$34.00
Description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모색을 위한 문화권력 연구
이 책을 엮은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는 2008년부터 9년에 걸쳐 ‘제국일본의 문화권력-학지(學知)와 문화매체’(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연구를 수행했고, 2017년부터는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과 동아시아’(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라는 아젠다를 설정하여 ‘제국일본’ 해체 이후 건설된 동아시아의 새로운 국민국가 내부에,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식민지/제국 이후=후기(後期, post)제국’의 시공간에 어떻게 수용되었고 거부되었는지 혹은 어떻게 변용하여 잠재해 있는지 연구해왔다. 나아가 그것이 어떠한 양상으로 재생산되고 갱신을 지속하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제도의 차원을 넘어선 정신의 탈식민지화-탈(脫, post)제국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더불어,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 생산되는 대항적 공간의 개편, 동아시아의 정체성과 문화권력의 투쟁, 문화권력의 변이와 환류에 관해 연구하며, 그 성과를 토대로 ‘한림일본학연구총서‘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시리즈’’를 간행해왔다. 이 책 역시 그 성과 중 하나이며 총서 제7권에 해당한다.
이 책은 역사적 사실로서의 실태와 그에 관한 서술·기억 사이에 개재하는 차이(差異) 즉 이동(異同)이 만들어내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한다. 역사 기록은 승자의 서술이며, 문학이라는 것은 승자의 영웅담이거나 패자의 아픔이 문학으로 승화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학이라는 공간=매체가 역사의 아픔을 확인하고 상처를 위로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이를 뛰어넘어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을 위한 매체·문화로 작동되는지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주체들의 길항과 경험의 양상을 ‘앎·지식’, ‘매체·문화’,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재고하여 포스트제국 시대에 있어 제국의 문화권력이 어떠한 도전과 위험, 관계성 속에서 재편되어 왔는지 혹은 재편되고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탈제국과 탈국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이 책을 간행하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 읽기-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가능성 찾기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된다. 제1부(‘포스트제국’의 시작과 국민국가 재편)는 라디오 방송과 교육, 귀환자의 이동과 길항에 주목하여 패전 직후의 점령기 일본과 제국일본의 외지였던 대만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문화권력이 재생산·재편되었는지 고찰한다. 이어서 제2부(대동아공영권에서 ‘포스트제국의 동아시아’로)에서는 남양군도의 ‘혼혈’과 제국으로부터 버림받은 경계인들의 삶, 전후 일본의 ‘민주보육연맹’의 성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 일본 최초의 보육운동, 식민지배의 역사를 둘러싼 망각과 상기가 교착하는 1965년이라는 지점에 주목한 논고를 통해,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포스트제국 시대의 동아시아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작동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제3부(구조화와 길항의 자장으로서의 문학)는 제국일본의 패전 후 오키나와와 오사카, 인도네시아 발리라는 시공간을 사는 이들의 의식·무의식에 작용하는 신구 문화권력의 길항과 구조화를 문학텍스트를 통해 포착해내는 논고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제4부(권력 속 문학, 문학 속 권력)은 해방 후 대만의 문화정책, 1930년대와 1970년대 대만의 ‘향토문학’ 논쟁, 재일조선인작가 김석범의 글쓰기를 다룬 논고로 구성되는데, 이들 논고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은 정체성과 주체성 회복·보전을 통한 진정한 탈제국·탈식민의 모색과 실천에 있다.
4부를 구성하는 총 12편의 글은 필자들이 각각의 ‘지금 여기’에서 연속하는 제국의 유제는 무엇이며 국민국가와 탈제국의 과제는 무엇인지 모색하고, 각각의 자장 속 문화권력은 사람들에게 어떠한 갈등을 낳고 무엇을 기억하고 망각하게끔 했는지 탐구함으로써 인문학적 성찰을 토대로 동아시아의 화해와 협조, 공존을 위한 길을 모색한다. 다만 각각의 포지셔닝과 심상공간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 12편의 논의가 하나의 정합성을 갖추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각각의 논의가 어떻게 같고 다른지, 어떠한 지점에서 경계가 생기고 교차하며 교착하는지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저자

오타나나코,황익구,허이린,이이타카신고,김경옥,야스오카겐이치,야라겐이치로,

저자:오타나나코太田奈名子,OtaNanako

세이센여자대학문학부영어영문학과전임강사.전공은미디어사,비판적담화연구.주요논저로는『占領期ラジオ放送と「マイクの開放」-支配を生む,人間を生む肉』(慶應義塾大出版,2022),“Thevoicefulvoiceless:RethinkingtheinclusionofthepublicvoiceinradiointerviewprogramsinOccupiedJapan”(HistoricalJournalofFilm,RadioandTelevision39(3),2019)등이있다.



저자:황익구益九,HwangIk-koo

동아대학교국제대학일본학과조교수.연구분야는근현대일본문학·문화.주요저서로는『交錯するの記憶-占領空間の文』(春風社,2014),『異文化理解とパフォマンス』(공저,春風社,2016),『재일코리안에대한인식과담론』(공저,도서출판선인,2018),『재일코리안의역사적인식과역할』(공저,도서출판선인,2018),『일제침략기사진그림엽서로본제국주의의프로파간다와식민지표상』(공저,민속원,2019),『재일코리안의이주와정주코리안타운의기억과지평』(도서출판선인,2021),『재일코리안의문화예술과위상기억을위한소묘』(도서출판선인,2021)등이있으며그외다수의논문이있다.



저자:허이린何義麟,HoI-lin

국립타이베이교육대학대만문화연구소교수.전공은국제사회과학,연구분야는대만근현대사.주요저서로는『二·二八事件-「台人」形成のエスノポリティクス』(東京大出版,2003),『台現代史-二·二八事件をめぐる史の再記憶』(平凡社,2014),논문으로는「後在日台人の法的地位の遷-永住取得の問題を中心として」(『現代台究』45,2014.12),「GHQ占領期における在日台人の出版メディアと言空間」(『日本台報』17,2015.8)등이있다.



저자:이타카신고飯伸五,IitakaShingo

고치현립대학문화학부교수.전공은문화인류학,오세아니아연구.주요저서에『ようこそオセアニア世界へ』(공저,昭和堂,2023),『大日本帝期の建築物が語る近代史-過去·現在·未』(공저,勉誠出版,2022),MemoriesoftheJapaneseEmpire:ComparisonoftheColonialandDecolonisationExperiencesinTaiwanandNan’yGunt(공저,Routledge,2021)등이있다.



저자:김경옥金慶玉,KimKyung-ok

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HK연구교수.전공은일본근현대사,젠더.주요논저로는『한일화해를위해애쓴일본인들』(공저,동북아역사재단,2021),『알면다르게보이는일본문화』(공저,지식의날개,2021),『제국의유제-상상의‘동아시아’와경계와길항의‘동아시아’』(공저,소명출판,2022),“FactoryLaborandChildcareinWartimeJapan”(Women’sHistoryReview,30(2),2020)등다수가있다.



저자:야스오카겐이치安岡健一,YasuokaKenichi

오사카대학대학원인문학연구과준교수.전공은일본근현대사,오럴히스토리.『「他者」たちの農業史』(京都大術出版,2014),「聞き書き·オラルヒストリ·「個史」-森崎和江の仕事によせて」(『現代思想』5013,2022)등다수의논저가있다.



저자:야라겐이치로屋良健一,YaraKenichiro

메이오대학국제학부상급준교수.연구분야는류큐사琉球史,특히류큐와일본의관계사.주요논저로는『注琉球文』(공저,勉誠出版,2022),「漂着から見た近世の琉球と日本」(『話文究』55,2020)등다수가있다.



저자:곽형덕郭炯德,KwakHyoung-duck

명지대학교인문대학일어일문학과부교수.연구분야는근현대일본어문학.주요저서로는『김사량과일제말식민지문학』(소명출판,2017),편역서에김시종초기사부작시집번역『장편시집니이가타』(글누림,2014),『지평선』(소명출판,2018),『일본풍토기』(소명출판,2022),『오키나와문학선집』(소명출판,2020)등다수가있다.



저자:쓰치야시노부土屋忍,TsuchiyaShinobu

무사시노대학문학부문학연구과교수.전공은일본근현대문학.주요저서로는『南洋文の生成-訪れることと想うこと』(新典社,2013),『武野文化をぶ人のために』(편저,世界思想社,2014),『<外地>日本語文への射程』(편저,文社出版,2014),『<外地>日本語文論』(공저,日本語版,世界思想社,2007·韓語版,『<식민지>일본어문학론』,문,2010),『間期東アジアの日本語文』(공저,勉誠出版,2013)등이있으며그외다수의논문이있다.



저자:장웬칭張文菁,ChangWen-ching

아이치현립대학외국어학부준교수.전공은중국어권통속소설,대만문학,중국근대문학.주요논저로는『通俗小からみる文史-一九五年代台の反共と愛』(法政大出版局,2022),「1950年代の台における者とその文受容-言語および文化の分からみる通俗小の流行(『野草』第92,2013),「1950年代台の通俗出版をめぐる文芸政策と業化」(日本台報』第18,2016),「1950年代台の通俗小究-『聯合報』副刊の連載小を中心として」(『野草』第100,2018)등이있다.



저자:우페이전佩珍,WuPeichen

국립정치대학대만문학연구소교수겸소장.연구분야는일본근대문학,식민지기일대日臺비교문학·비교문화.주요저서로는『杉靜枝與殖民地台灣』(聯經出版,2013),『福爾摩沙與扶桑的邂逅-日治時期台日文學與劇流變』(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2022),『中心到邊的重軌與分軌-日本帝國與台灣文學.文化硏究>(上·中·下)(편저,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2012~2013),『<異>としての大連·上海·台北』(공저,勉誠出版,2015),『明治維新を問い直す-日本とアジアの近現代』(공저,九州大學出版,2020)등이있으며,그외다수의논문·번역이있다.



저자:조수일趙秀一,ChoSu-il

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HK교수.전공은재일조선인문학.주요저서로는『金石範の文-死者と生者のを紡ぐ』(岩波書店,2022),『金石範評論集I文·言語論』(해설/해제,明石書店,2019),『金石範評論集II思想·史論論』(해설/해제,明石書店,2023),김석범소설집『만덕유령기담』(공역,보고사,2022),주요논문으로는「재일(在日)지식인이구축한연대의공론장『계간삼천리』」(『일본역사연구』59집,2022)등이있다.



엮음:한림대학교일본학연구소

목차

서문

제1부/‘포스트제국’의시작과국민국가재편
제1장/라디오방송이개척한‘제국’-점령기개혁‘마이크개방’에서탈‘제국’을전망한다
제2장/전후일본의귀환자문제와‘민주주의’교육-소거되는제국의기억
제3장/전후대만인의해외이주와독립운동의영향

제2부/대동아공영권에서‘포스트제국의동아시아’로
제4장/제국의틈새에살았던‘혼혈’-구남양군도사례
제5장/전후일본의‘민주보육연맹’의성립과활동
제6장/1965년재고(再考)-망각과상기의결절점(結節点)으로서

제3부/구조화와길항의자장으로서의문학
제7장/근현대오키나와에서전개된단카(短歌)
제8장/전후마이너리티의일본어문학과군사기지-『진달래』와『류다이분가쿠』를중심으로
제9장/이케자와나쓰키(池澤夏樹)의『꽃을옮기는여동생(花を運ぶ妹)』론-발리섬의문학적표상을통해보는포스트제국의문화권력

제4부/권력속문학,문학속권력
제10장/전후초기대만에서의포스트제국과재식민문화정책의영향-금서정책과중국어통속출판
제11장/누구의‘향토’인가-1930년대와1970년대대만‘향토문학’논쟁
제12장/포스트제국시대의탈식민주체되기-재일(在日)지식인김석범의글쓰기를중심으로

찾아보기
필자소개

출판사 서평

포스트제국의심상공간읽기-동아시아의화해와공존가능성찾기

이책은총4부로구성된다.제1부(‘포스트제국’의시작과국민국가재편)는라디오방송과교육,귀환자의이동과길항에주목하여패전직후의점령기일본과제국일본의외지였던대만에서어떠한양상으로문화권력이재생산·재편되었는지고찰한다.이어서제2부(대동아공영권에서‘포스트제국의동아시아’로)에서는남양군도의‘혼혈’과제국으로부터버림받은경계인들의삶,전후일본의‘민주보육연맹’의성립과활동을중심으로한일본최초의보육운동,식민지배의역사를둘러싼망각과상기가교착하는1965년이라는지점에주목한논고를통해,제국일본의문화권력이포스트제국시대의동아시아에서어떠한양상으로작동했는지살펴본다.

그리고제3부(구조화와길항의자장으로서의문학)는제국일본의패전후오키나와와오사카,인도네시아발리라는시공간을사는이들의의식·무의식에작용하는신구문화권력의길항과구조화를문학텍스트를통해포착해내는논고로구성된다.마지막으로제4부(권력속문학,문학속권력)은해방후대만의문화정책,1930년대와1970년대대만의‘향토문학’논쟁,재일조선인작가김석범의글쓰기를다룬논고로구성되는데,이들논고를관통하는문제의식은정체성과주체성회복·보전을통한진정한탈제국·탈식민의모색과실천에있다.

4부를구성하는총12편의글은필자들이각각의‘지금여기’에서연속하는제국의유제는무엇이며국민국가와탈제국의과제는무엇인지모색하고,각각의자장속문화권력은사람들에게어떠한갈등을낳고무엇을기억하고망각하게끔했는지탐구함으로써인문학적성찰을토대로동아시아의화해와협조,공존을위한길을모색한다.다만각각의포지셔닝과심상공간이다를수밖에없는이12편의논의가하나의정합성을갖추기는어려울것이다.다만,각각의논의가어떻게같고다른지,어떠한지점에서경계가생기고교차하며교착하는지보여준다는점에서중요한시사점을제공하리라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