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모색을 위한 문화권력 연구
이 책을 엮은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는 2008년부터 9년에 걸쳐 ‘제국일본의 문화권력-학지(學知)와 문화매체’(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연구를 수행했고, 2017년부터는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과 동아시아’(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라는 아젠다를 설정하여 ‘제국일본’ 해체 이후 건설된 동아시아의 새로운 국민국가 내부에,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식민지/제국 이후=후기(後期, post)제국’의 시공간에 어떻게 수용되었고 거부되었는지 혹은 어떻게 변용하여 잠재해 있는지 연구해왔다. 나아가 그것이 어떠한 양상으로 재생산되고 갱신을 지속하고 있는지 밝힘으로써 제도의 차원을 넘어선 정신의 탈식민지화-탈(脫, post)제국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더불어,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 생산되는 대항적 공간의 개편, 동아시아의 정체성과 문화권력의 투쟁, 문화권력의 변이와 환류에 관해 연구하며, 그 성과를 토대로 ‘한림일본학연구총서‘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시리즈’’를 간행해왔다. 이 책 역시 그 성과 중 하나이며 총서 제7권에 해당한다.
이 책은 역사적 사실로서의 실태와 그에 관한 서술·기억 사이에 개재하는 차이(差異) 즉 이동(異同)이 만들어내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한다. 역사 기록은 승자의 서술이며, 문학이라는 것은 승자의 영웅담이거나 패자의 아픔이 문학으로 승화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학이라는 공간=매체가 역사의 아픔을 확인하고 상처를 위로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이를 뛰어넘어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을 위한 매체·문화로 작동되는지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주체들의 길항과 경험의 양상을 ‘앎·지식’, ‘매체·문화’,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재고하여 포스트제국 시대에 있어 제국의 문화권력이 어떠한 도전과 위험, 관계성 속에서 재편되어 왔는지 혹은 재편되고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탈제국과 탈국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이 책을 간행하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 읽기-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가능성 찾기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된다. 제1부(‘포스트제국’의 시작과 국민국가 재편)는 라디오 방송과 교육, 귀환자의 이동과 길항에 주목하여 패전 직후의 점령기 일본과 제국일본의 외지였던 대만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문화권력이 재생산·재편되었는지 고찰한다. 이어서 제2부(대동아공영권에서 ‘포스트제국의 동아시아’로)에서는 남양군도의 ‘혼혈’과 제국으로부터 버림받은 경계인들의 삶, 전후 일본의 ‘민주보육연맹’의 성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 일본 최초의 보육운동, 식민지배의 역사를 둘러싼 망각과 상기가 교착하는 1965년이라는 지점에 주목한 논고를 통해,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포스트제국 시대의 동아시아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작동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제3부(구조화와 길항의 자장으로서의 문학)는 제국일본의 패전 후 오키나와와 오사카, 인도네시아 발리라는 시공간을 사는 이들의 의식·무의식에 작용하는 신구 문화권력의 길항과 구조화를 문학텍스트를 통해 포착해내는 논고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제4부(권력 속 문학, 문학 속 권력)은 해방 후 대만의 문화정책, 1930년대와 1970년대 대만의 ‘향토문학’ 논쟁, 재일조선인작가 김석범의 글쓰기를 다룬 논고로 구성되는데, 이들 논고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은 정체성과 주체성 회복·보전을 통한 진정한 탈제국·탈식민의 모색과 실천에 있다.
4부를 구성하는 총 12편의 글은 필자들이 각각의 ‘지금 여기’에서 연속하는 제국의 유제는 무엇이며 국민국가와 탈제국의 과제는 무엇인지 모색하고, 각각의 자장 속 문화권력은 사람들에게 어떠한 갈등을 낳고 무엇을 기억하고 망각하게끔 했는지 탐구함으로써 인문학적 성찰을 토대로 동아시아의 화해와 협조, 공존을 위한 길을 모색한다. 다만 각각의 포지셔닝과 심상공간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 12편의 논의가 하나의 정합성을 갖추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각각의 논의가 어떻게 같고 다른지, 어떠한 지점에서 경계가 생기고 교차하며 교착하는지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이 책은 역사적 사실로서의 실태와 그에 관한 서술·기억 사이에 개재하는 차이(差異) 즉 이동(異同)이 만들어내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한다. 역사 기록은 승자의 서술이며, 문학이라는 것은 승자의 영웅담이거나 패자의 아픔이 문학으로 승화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학이라는 공간=매체가 역사의 아픔을 확인하고 상처를 위로하는 데 머물지 않고, 이를 뛰어넘어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을 위한 매체·문화로 작동되는지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이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주체들의 길항과 경험의 양상을 ‘앎·지식’, ‘매체·문화’,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재고하여 포스트제국 시대에 있어 제국의 문화권력이 어떠한 도전과 위험, 관계성 속에서 재편되어 왔는지 혹은 재편되고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탈제국과 탈국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이 책을 간행하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 읽기-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 가능성 찾기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된다. 제1부(‘포스트제국’의 시작과 국민국가 재편)는 라디오 방송과 교육, 귀환자의 이동과 길항에 주목하여 패전 직후의 점령기 일본과 제국일본의 외지였던 대만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문화권력이 재생산·재편되었는지 고찰한다. 이어서 제2부(대동아공영권에서 ‘포스트제국의 동아시아’로)에서는 남양군도의 ‘혼혈’과 제국으로부터 버림받은 경계인들의 삶, 전후 일본의 ‘민주보육연맹’의 성립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 일본 최초의 보육운동, 식민지배의 역사를 둘러싼 망각과 상기가 교착하는 1965년이라는 지점에 주목한 논고를 통해, 제국일본의 문화권력이 포스트제국 시대의 동아시아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작동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제3부(구조화와 길항의 자장으로서의 문학)는 제국일본의 패전 후 오키나와와 오사카, 인도네시아 발리라는 시공간을 사는 이들의 의식·무의식에 작용하는 신구 문화권력의 길항과 구조화를 문학텍스트를 통해 포착해내는 논고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제4부(권력 속 문학, 문학 속 권력)은 해방 후 대만의 문화정책, 1930년대와 1970년대 대만의 ‘향토문학’ 논쟁, 재일조선인작가 김석범의 글쓰기를 다룬 논고로 구성되는데, 이들 논고를 관통하는 문제의식은 정체성과 주체성 회복·보전을 통한 진정한 탈제국·탈식민의 모색과 실천에 있다.
4부를 구성하는 총 12편의 글은 필자들이 각각의 ‘지금 여기’에서 연속하는 제국의 유제는 무엇이며 국민국가와 탈제국의 과제는 무엇인지 모색하고, 각각의 자장 속 문화권력은 사람들에게 어떠한 갈등을 낳고 무엇을 기억하고 망각하게끔 했는지 탐구함으로써 인문학적 성찰을 토대로 동아시아의 화해와 협조, 공존을 위한 길을 모색한다. 다만 각각의 포지셔닝과 심상공간이 다를 수밖에 없는 이 12편의 논의가 하나의 정합성을 갖추기는 어려울 것이다. 다만, 각각의 논의가 어떻게 같고 다른지, 어떠한 지점에서 경계가 생기고 교차하며 교착하는지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 한림일본학연구총서 2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시리즈 7
$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