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력의 조서 - 장혁주 소설 선집 3

편력의 조서 - 장혁주 소설 선집 3

$17.02
Description
해방 이후 일본어 글쓰기를 선택한 작가 장혁주의 자서전적 소설
장혁주는 한국 문학사에서 그리 자랑스러운 이름은 아니다. 1905년 태어난 그가 학교 교육을 받을 무렵 일본어는 이미 공식 ‘국어’의 자리를 차지했고, ‘조선어’는 ‘한문’과 함께 외국어의 지위로 강등된 무렵이었다.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은 이처럼 원했건 원하지 않았건 일본어-조선어를 동시에 사용하는 이중언어(bilingual) 사용자가 된다. 장혁주가 이중언어 1세대에 속하는 작가라는 것, 그가 식민지 시기 일본어로 가장 많은 수의 작품을 남겼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일본 제국이 잘 나가던 시절, 장혁주의 유명세는 조선과 일본을 훌쩍 넘어서는 것이었다. 장혁주처럼 일본어 글쓰기를 통해 동아시아 전역에 널리 ‘문명’을 떨치고 싶어 하는 식민지 출신 작가들이 생겨났고, 실제로 1930년대 대만의 ‘야심’ 있는 젊은 작가들에게 조선의 장혁주는 일종의 롤 모델이었다.
그러나 해방/패전 이후 상황은 급변하는데, 친일의 상징처럼 여겨진 장혁주는 조선 문단의 ‘공공의 적’이나 다름없었다. 아이러니하게도, 1930년대 후반 이후라면 너나할 것 없이 거의 친일의 길에 들어섰던 조선 문인들이 장혁주를 비판의 표적으로 삼을 수 있었던 것은 왜일까. 그것은 오히려 해방 이후 그의 행적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친일 경력을 가진 대부분의 조선 문인과는 달리, 민족에 대해 사죄를 표명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에도 여전히 일본어 글쓰기를 선택하고 심지어 1952년 일본 국적으로 귀화까지 하는, 드문 ‘일관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1954년 일본에서 발표된 장혁주의 소설 『편력의 조서』는 이처럼 독특한 선택을 거듭했던 작가 장혁주의 내면이, 거의 ‘고백’에 가까운 형식으로 담긴 자전적 소설이다.
저자

장혁주

張赫宙,Chang,Heok-joo
1905~1998.대구출생.1932년일본잡지『개조(改造)』에일본어로쓴소설「아귀도(餓鬼道)」로일본문단에등단하며주목받았다.「아귀도」는식민지조선농민들의비참한생활상을그려조선과일본문단양쪽에서좋은평가를받았다.이후서울과도쿄를오가며조선어와일본어로창작했다.그러나조선어작품에대한조선문단의반응에만족하지못한데다개인적인사건까지겹쳐1936년경일본으로건너간것으로알려져있다.도쿄에서‘해방’을맞이한뒤1952년에는일본으로귀화,일본어글쓰기를지속했다.식민지시기발표된대표적인한국어작품으로는「무지개」(1933~1934)외에『삼곡선(三曲線)』(1934)과같은장편소설이있다.한국전쟁을취재해서쓴『아,조선(嗚呼朝鮮)』(1952)으로일본에서성공적으로재기했으며,노구치가쿠츄(野口赫宙)라는필명으로평생꾸준히작품활동을했다.

목차

책머리에

편력의조서

출판사 서평

여성편력과민족편력의이야기

‘고백’이라는형식은분명고백하는자의진정성을담고있지만,듣는이의입장에서보자면‘고백’과‘변명’의경계는언제나아슬아슬하다.‘편력의조서(調書)’라는제목부터실은의미심장한데,작가는자신을신문당하는‘피의자’의위치에설정하고과거의과오를고백하는형식을취한다.그렇다면,그의과오란무엇일까.편력이라는단어의일상적쓰임새대로,이소설은작가자신의과거‘여성편력’에관한내용이며그는자신과의미있는관계를맺었던다양한여성들을통해자신의삶의일관된서사를구성해낸다.말하자면,일본으로건너갈수밖에없었고,일본어로글쓰기를하며,일본인아내의성(姓)으로귀화한조선인작가의내면적고투와번민이라는서사가여성들과의만남과결별,애착과환멸의반복되는과정속에서서서히완결되는구조다.

그렇다면,장혁주의그녀들은과연누구였을까.그녀들중에는현재우리가알고있는조선의여류문인들,예컨대작가최정희의동생인“최정원”이나장혁주와의불륜으로인해법정소송직전까지갔던소설가“백신애”가실명으로등장한다.특히,백신애와의연애(1936)직후도망치듯이루어진그의일본행은당시조선문단의떠들썩한화제가된사건이기도했다.그러나『편력의조서』에서가장공들여묘사된여성은실은두명으로좁혀지는데,두여인이란바로장혁주의어머니(생모),그리고일본인아내“게이코”라할수있다.기생출신인장혁주의생모는교양이나품위와는거리가먼여성으로,그녀는물질적인욕망과애욕을드러내는데거리낌이없으며,자식에대한애정과소유욕또한주체할수없이강렬했던인물로묘사된다.어머니의존재가모든열등감과사회적인정투쟁의원천이었던만큼,작가는평생그녀로부터벗어나고자몸부림치면서도육친인그녀와의친밀한유대를그리워하는모순속에서괴로워한다.그립지만부끄러운존재인어머니.그녀가환기하는감정은장혁주에게조국조선이불러일으키는정념과거의유사한것이었다.

반면,일본인아내“게이코”는작가에게는거의구원의여성상에가깝다.그녀와의연애를통해그는일본이라는나라를추상명사가아니라구체적실감으로비로소마주하게된다.야심찬조선출신의젊은작가에게,일본사회는친절하지만어딘가곁을내주지않는느낌이었다면,이제그녀를통해그는‘일본의마음’을비로소얻게되었다고느낀다.하나의언어를습득하기위해서는그것을낳은지역을알아야하고,그지역이낳은사람을알지않으면안된다는것.단지아는것만이아니라사랑하지않으면안된다는것.그는작가로서인생을걸었던‘일본어글쓰기’와‘귀화’라는자신의결단이옳았음을,더구나그것이행복한선택이었음을아내게이코를통해거듭확인하며마침내안도한다.

해방이후일본어글쓰기의행방

이처럼『편력의조서』는조선이라는과거를‘청산’하고일본의‘보통작가’로서전후일본사회와함께새롭게출발하려는장혁주,아니노구치가쿠츄(野口赫宙)의오랜소망의기록인셈이다.그러나아이러니하게도,이후그의글쓰기행보를보면그자신의희원처럼조선적인것의흔적으로부터말끔히벗어날수는없었던것으로보인다.일본어글쓰기를수행했다는점에서는동질적이지만,전후일본에계속거주하되‘조선인’이라는마이너리티로서의정체성을여전히유지하려했던재일(在日)작가들과장혁주가확연히구별되는지점이기도하다.실제로,재일조선인사회와그의갈등은골이깊었던것으로알려져있다.

그렇다면,그의일본어글쓰기는지금·여기의우리에게어떤의미일까.제국-식민지의역사가낳은일본어글쓰기는해방이후한반도의공식기록에서는완전히사라진것처럼보인다.실제로,1921년생김수영은해방이후에도여전히자신의시창작이애초일본어로구상된다는사실을작품을통해정직하게노출한적이있다.일본어로된그의이‘시작(詩作)노트’는해방이후한국작가가일본어로기고한유일한사례였지만,출판사측의배려(!)로한국어로말끔히번역되어출간되었다.1966년의일이었다.이처럼오랜식민의흔적인일본어글쓰기가‘해방/패전’을맞은전후시간의한쪽편에서빠르게망각되어야만했다면,장혁주의사례는마치거울상처럼반대편에놓여있는것이아닐까.그자신의기원이기도한혼종성을깨끗이삭제하려는,역시나불가능한또다른극단의지점에장혁주의전후일본어글쓰기가놓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