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소설사 (개정증보)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150

한국 근대소설사 (개정증보) - 연세근대한국학총서 150

$33.71
저자

김영민

저자:김영민

연세대학교국어국문학과명예교수이다.연세대학교국어국문학과와동대학원을졸업하고전북대학교국어국문학과조교수,하버드대학교옌칭연구소방문교수,일본릿쿄대학교교환연구교수를지냈다.한국백상출판문화상저작상,연세대학교학술상,난정학술상을수상하였다.연세대학교의언더우드특훈교수와한국연구재단의우수학자(국가석학)에선정되었다.

저서로는『한국문학비평논쟁사』(한길사,1992),『한국근대소설사』(솔,1997),『한국근대문학비평사』(소명출판,1999),『한국현대문학비평사』(소명출판,2000),『한국근대소설의형성과정』(소명출판,2005),『한국의근대신문과근대소설』1(소명출판,2006),『한국의근대신문과근대소설』2(소명출판,2008),『한국의근대신문과근대소설』3(소명출판,2014),『문학제도및민족어의형성과한국근대문학(1890~1945)』(소명출판,2012),『1910년대일본유학생잡지연구』(소명출판,2019),『韓國近代小說史(1890~1945)』(도쿄대출판부,2020),TheHistoryofModernKoreanFiction:TheTopographyofLiterarySystemsandForm(1890~1945)(U.S.A.LexingtonBooks,2020)등이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근대문학사의시기구분과그특징^^
1.근대문학사의시기구분
2.한국근대문학사의특징

^^제2장
근대적서사양식의출발-‘서사적논설’^^
1.‘서사적논설’의발생과전개
2.‘서사적논설’의확산
3.‘서사적논설’의변모
4.‘서사적논설’의특질과문학사적의의

^^제3장
근대적서사양식의소설사적전환-‘논설적서사’^^
1.‘논설적서사’와무서명소설
2.‘논설적서사’의분석
3.‘논설적서사’의특질과문학사적의의

^^제4-1장
근대적소설양식의새로운유형-‘역사ㆍ전기소설’^^
1.‘역사·전기소설’의개념
2.‘역사·전기소설’의형성과정
3.‘역사·전기소설’의특질과면모
4.‘역사·전기소설’의문학사적의의

^^제4-2장
‘역사·전기소설’의새단계-신채호의소설들^^
1.신채호의생애
2.연구사개관
3.신채호의문학관
4.「꿈하늘」
5.「용과용의대격전」
6.신채호소설의의미

^^제5장
근대소설의정착-‘신소설’^^
1.‘신소설’의개념과특질
2.‘신소설’연구의진행과정
3.‘신소설’발생의여러요인
4.서사중심‘신소설’
5.논설중심‘신소설’

^^제5장보론
「혈의루」하편의위상과의미^^
1.「혈의루」하편의발굴과논점의대두
2.「혈의루」하편의등장배경
3.「혈의루」하편의작가문제와중단사유
4.「혈의루」하편의위상

^^제6장
근대소설의완성1-1910년대‘단편소설’^^
1.‘단편소설’등장의배경
2.연구사개관
3.1910년대‘단편소설’의네유형

제6장보론
『매일신보』의‘단편소설’-신년소설^^
1.근대신년‘단편소설’의출현
2.매일신보신년‘단편소설’의전개
3.현상응모‘단편소설’과신춘문예
4.신년‘단편소설’의위상과의미

^^제7장
근대소설의완성2-1910년대‘장편소설’『무정』^^
1.연구사개관
2.『무정』의준비단계
3.‘장편소설’『무정』

^^제7장보론1
‘장편소설’개념의성립과전개과정^^
1.문제제기
2.근대잡지와‘장편소설’의전개
3.근대신문과‘장편소설’의전개
4.‘장편소설’개념의정착과정

^^제7장보론2
근대문체의형성과정^^
1.문제제기
2.한국근대신문의문체
3.이광수와한국근대문체의형성
4.근대문체와독자

^^마무리^^
한국근대소설사의특질과의미

간행사_근대한국학총서를내면서

출판사 서평

한국근대문학사의몇가지특징
한국근대문학사의출발시기는1890년대무렵이라고단정할수있다.이는다음과같은몇가지현상에주목한결과이다.첫째,이시기이후한문의사용이급격히줄어들고국한문혼용을거쳐한글의사용이보편화되기시작한다.둘째,신문등근대이후탄생한새로운매체를활용해문학작품을발표하고새로운방식으로이들작품을유통시키게된다.셋째,전문적인지식인작가집단이탄생한다.넷째,현실에대한관심으로작품의주제가변화한다.이는근대한국의사회적·정치적상황과도밀접한연관성을지니고있다.
새로운문학양식의출현은언제나그시대의문화및사회적환경과직접적인연관성을지닌다.한국역사에서근대초기는모든것이유동적으로움직이며변화하던시기였다.사회제도와문화환경뿐만아니라정치적역학관계또한수시로변화하던시기였던것이다.한국의근대소설은내용뿐만아니라길이와구성등형식적측면에서도이러한환경을적극반영하며성장해나갔다.시대적정황에맞게변화하며성장해나갔던것이다.
한국문학사에서근대의출발이가능했던것은근대문학선각자들의기득권포기와관계가깊다.근대문학의선각자들은새로운세계를열기위해자신들의출세의기반이되는한문을버리고한글을선택했다.그들은한글로새로운문학양식을시도했다.새로운문자를통한새로운양식의시도는신문이라는새로운매체가있기에가능했다.매체는문학과문화를바꾸고세상을바꾼다.

이야기와논설의결합그리고분리
한국근대소설사의토대를이루는가장중요한전통은논설중심글쓰기이다.논설중심글쓰기의전통위에서사중심의글쓰기가첨가되면서한국근대소설사는변화되어갔다.한국근대소설사의전개과정은논설과서사가결합하고분리되는과정이다.
근대문학사초기작가의대부분은언론인이었다.그들은신문의발행인이기도했고편집인이나주필이었으며기자이기도했다.신문에발표되는근대문학작품들이전근대문학작품들에비해현실성과시사성이높은소재를취한것은당연한일이었다.언론인이기도했던근대작가들의논설의의지와서사라는형식이만나면서한국근대소설사는시작된다.논설과서사는여러가지형태로결합한다.이들의다양한형태의결합이곧다양한근대문학양식이된다.근대문학사초기에는논설과서사의결합이강력하고긴밀하다.하지만이들의결합관계는시간이지나면서점차느슨해진다.

한국근대문학양식의변화
한국근대문학사최초의서사문학양식은<서사적논설>이다.<서사적논설>은이야기와논설이결합된문학양식이다.<서사적논설>은신문의논설란에주로실려있지만잡보란등에실린경우도있다.<서사적논설>에서편집자적해설이사라지면서<논설적서사>가시작된다.<역사·전기소설>은외형상소설을표방하지만,글쓴이의주장을강하게담고있는문학양식이다.<신소설>은크게두계열로나누어볼수있다.하나는서사중심<신소설>이고,다른하나는논설중심<신소설>이다.한국근대소설사에서주류를이루게되는것은서사중심<신소설>이다.1910년대신지식층의<단편소설>은시대의변화를반영하는소설이다.1910년대<단편소설>은계몽의방식이앞시기소설만큼직설적이지않다.이시기소설에서는작가의계몽의도가서사속으로스며들어간접화된다.1910년대<단편소설>에서새롭게나타나는가장중요한요소는인간의내면심리에대한관심이다.1910년대<장편소설>「무정」의탄생은작가개인의역량보다는그를활용하려는『매일신보』라는매체가존재했기때문에가능했다.<장편소설>「무정」의계몽적효과는여타논설들못지않게큰것이었다.<장편소설>「무정」은근대계몽소설의정점을이루는작품이다.하지만「무정」은식민지시대에발표된작품으로서의부정적면모역시적나라하게보여준다.

계몽의한계,그리고그이후
한국근대소설사에서매체는언제나작가들의글쓰기전략과방식을결정한가장중요한변수였다.그런점에서총독부기관지를발표무대로선택한<장편소설>「무정」이가는길에는처음부터분명한한계가있었다.「무정」이후등장한계몽소설들역시그어느것도「무정」이거둔성과를넘어서기어려웠다.「무정」이지니는한계를식민지시대근대문학이지닐수밖에없는한계라고보았을때,더이상의계몽적근대를부여잡는것은무의미한일이된다.
길이막힌곳에서새로운길을찾으려는시도는시작된다.계몽문학의길이막힌곳에서,계몽의문학을벗어나려는새로운시도들이이어진다.계몽이후우리소설사에서는작가의개성을드러내는일이더욱중요해진다.1910년대까지의근대소설사를마무리하는가장중요한단어를계몽이라고한다면,1920년대이후소설사의새로운출발을알리는핵심적단어들은개성과자아가된다.
이책이목표로한것은한국근대소설양식의전개과정을명료하게보여주는것이다.다른배경지식없이도,이한권의저술을통해한국근대문학사의큰흐름을파악하는일이가능할것으로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