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펜과 붓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한 조선인 유학생들
빛의 속도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21세기의 디지털 시대와 달리 20세기 전반기는 활자 매체의 힘이 컸다. 특히 신문은 ‘사회의 목탁’으로, 잡지는 ‘지식의 창고’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활자 매체의 힘은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를 받던 조선의 상황에서 더더욱 클 수밖에 없었다. 독립투사들이 만주 벌판에서 총과 칼로 독립운동을 했다면 젊은이들은 한반도와 국외에서 펜과 붓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일제 강점기 젊은이들의 문필을 통한 독립운동은 크게 두 축으로 이루어졌다. 한 축은 현해탄 건너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다른 한 축은 태평양 너머 미국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도쿄와 그 인근 대학에서 유학하던 조선인 학생들의 단체인 재일본동경유학생총회가 발행한 『학지광(學之光)』과 미국 유학생 단체인 북미조선학생총회가 발행한 『우라키(Rockey)』가 바로 그것이다. 특히 1914년 4월 창간호를 발간하여 1930년 12월 30호를 종간호로 폐간된 『학지광』은 유학생의 규모나 모국과의 인접성 등에 힘입어 그 활동이 광범위하고 파급 효과도 훨씬 컸다. 식민지 시대 젊은 지식인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여러 방면에 걸쳐 서구 정신을 호흡하여 조국의 해방을 앞당길 뿐 아니라 해방 후의 미래를 준비하려 했다. 그러나 서구를 단순히 답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비판적 시각으로 받아들이려 했다.
조선의 문학계에 빛을 밝힌 『학지광』
『『학지광』과 한국 근대문학』은 제목 그대로 『학지광』이 한국 근대문학에 끼친 영향을 다룬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조선인 일본 유학생들의 활동 중에서 문학과 예술과 관련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시 말해 『학지광』이 다루는 정치나 경제, 사회 문제 등은 이 책의 범위에서 벗어난다. 다만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에 관한 글이라도 문학과 예술을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이 책은 한국 근대문학이 발전하는 데 『학지광』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잡지가 한국 근대문학에 끼친 역할을 ① 우화, 수필, 서간문, ② 시와 시조, ③ 단편소품과 단편소설, ④ 단편희곡과 극시, ⑤ 문학이론과 문학비평, ⑥ 외국문학 번역 등 장르 중심으로 기술한다. 이렇게 여섯 장르에 걸쳐 『학지광』이 한국이 근대문학이 발전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자세히 밝힌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자는 그동안 잘못 알려졌거나 미결로 남아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주력한다.
둘째, 이 책은 『학지광』의 필자들이 통일된 문학관이나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서로 다른 견지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독자들에게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려 한 점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당시 서유럽과 일본을 풍미하던 사회 진화론을 두고 필자들은 열띤 토론을 벌였다. 또한 문학의 기능에 대해서도 사회적 기능을 중시하는 계급문학과 심미적 기능을 강조하는 순수문학의 장단점을 지적하며 앞으로 식민지 조선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다.
셋째, 이 책은 한국 근대문학이 발전하는 데 번역의 역할이 무척 컸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다른 문화권도 마찬가지지만 한국 근대문학도 번역에 토대를 두고 발전했다. 19세기 말엽과 20세기 초엽 한국 신문학은 창가나 신소설이 나오기 전에 외국의 작품을 국문으로 번역한 작품이나 번안소설이 그 준비 과정으로서 먼저 나타났다. 『학지광』의 업적은 번안의 형태의 번역에서 벗어나 원문을 직접 번역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는 데 있다. 특히 진학문(秦學文)의 러시아문학 번역과 안서(岸曙) 김억(金億)의 영문학과 프랑스문학 번역은 주목할 만하다.
만약 『학지광』이 없었더라면 한국 근대문학은 지금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했을 것이고, 같은 형태로 발전했다 해도 지금보다 뒤늦게 발전했을 것이다. 이 잡지는 제호에 걸맞게 식민지 조선의 문학계와 학계에 찬연한 빛을 던졌다.
일제 강점기 젊은이들의 문필을 통한 독립운동은 크게 두 축으로 이루어졌다. 한 축은 현해탄 건너 일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다른 한 축은 태평양 너머 미국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도쿄와 그 인근 대학에서 유학하던 조선인 학생들의 단체인 재일본동경유학생총회가 발행한 『학지광(學之光)』과 미국 유학생 단체인 북미조선학생총회가 발행한 『우라키(Rockey)』가 바로 그것이다. 특히 1914년 4월 창간호를 발간하여 1930년 12월 30호를 종간호로 폐간된 『학지광』은 유학생의 규모나 모국과의 인접성 등에 힘입어 그 활동이 광범위하고 파급 효과도 훨씬 컸다. 식민지 시대 젊은 지식인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여러 방면에 걸쳐 서구 정신을 호흡하여 조국의 해방을 앞당길 뿐 아니라 해방 후의 미래를 준비하려 했다. 그러나 서구를 단순히 답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비판적 시각으로 받아들이려 했다.
조선의 문학계에 빛을 밝힌 『학지광』
『『학지광』과 한국 근대문학』은 제목 그대로 『학지광』이 한국 근대문학에 끼친 영향을 다룬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조선인 일본 유학생들의 활동 중에서 문학과 예술과 관련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다시 말해 『학지광』이 다루는 정치나 경제, 사회 문제 등은 이 책의 범위에서 벗어난다. 다만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에 관한 글이라도 문학과 예술을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이 책은 한국 근대문학이 발전하는 데 『학지광』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은 잡지가 한국 근대문학에 끼친 역할을 ① 우화, 수필, 서간문, ② 시와 시조, ③ 단편소품과 단편소설, ④ 단편희곡과 극시, ⑤ 문학이론과 문학비평, ⑥ 외국문학 번역 등 장르 중심으로 기술한다. 이렇게 여섯 장르에 걸쳐 『학지광』이 한국이 근대문학이 발전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자세히 밝힌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자는 그동안 잘못 알려졌거나 미결로 남아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주력한다.
둘째, 이 책은 『학지광』의 필자들이 통일된 문학관이나 의견을 제시하기보다는 서로 다른 견지에서 문제를 제기하여 독자들에게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려 한 점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당시 서유럽과 일본을 풍미하던 사회 진화론을 두고 필자들은 열띤 토론을 벌였다. 또한 문학의 기능에 대해서도 사회적 기능을 중시하는 계급문학과 심미적 기능을 강조하는 순수문학의 장단점을 지적하며 앞으로 식민지 조선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했다.
셋째, 이 책은 한국 근대문학이 발전하는 데 번역의 역할이 무척 컸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다른 문화권도 마찬가지지만 한국 근대문학도 번역에 토대를 두고 발전했다. 19세기 말엽과 20세기 초엽 한국 신문학은 창가나 신소설이 나오기 전에 외국의 작품을 국문으로 번역한 작품이나 번안소설이 그 준비 과정으로서 먼저 나타났다. 『학지광』의 업적은 번안의 형태의 번역에서 벗어나 원문을 직접 번역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는 데 있다. 특히 진학문(秦學文)의 러시아문학 번역과 안서(岸曙) 김억(金億)의 영문학과 프랑스문학 번역은 주목할 만하다.
만약 『학지광』이 없었더라면 한국 근대문학은 지금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했을 것이고, 같은 형태로 발전했다 해도 지금보다 뒤늦게 발전했을 것이다. 이 잡지는 제호에 걸맞게 식민지 조선의 문학계와 학계에 찬연한 빛을 던졌다.
학지광과 한국 근대문학
$3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