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7년의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과 동아시아에 대한 성찰
이 책을 엮은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는 2008년부터 9년 동안 ‘제국일본의 문화권력-학지(學知)와 문화매체’(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사업) 연구를 수행했다. 그리고 이어서 2017년부터 7년 동안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과 동아시아’(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 기초학문 분야)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커다란 틀은 제국 해체 후, 그 공간에 새로이 건설된 각 국민국가에서 ‘제국의 문화권력’이 어떻게 수용되고 배제되었는지, 어떻게 변용하고 잠재하고 재생산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탈(Post)-식민지화, 탈-제국화를 통한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이었다.
7년이라는 세월이 흘러서 오는 10월로 인문한국플러스 HK+사업이 종료된다. ‘동아시아의 화해와 협력’이라는 과제에 대해서 대안적인 성찰과 ‘통(通·統)합적’인 전망에 대하여 그려보았다. 아시아에 깊은 상처를 남긴 전쟁이 끝난 지 80년이 되는 해를 앞두고, ‘화해’라는 관점에서 보면, 동아시아가 지난 80년 동안 제대로 전진하지 못한 슬픈 현실과 동시에 그러하기에 역설적으로 ‘화해’가 오늘날 우리의 ‘과제’이자 ‘희망’인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왜 동아시아는 80년 동안 전진하지 못했는가? 여기에 인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또 못했는가? 대한민국의 일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자, 학회, 연구소는 무엇을 했으며, 무엇을 하지 못했는가? 이 자문(自問)이 ‘동아시아 화해와 공존을 위한 모색과 제언’이라는 주제로 초심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동아시아의 화해를 넘어선 ‘사람의 삶’ 자체를 통한 새로운 동태
추상적인 ‘국민/탈국민’의 이분법적 근대 규범이 아닌 ‘사람의 삶’ 자체를 통해서 발견되는 ‘자기 주체성’을 재고하였다. 국가적 차원의 집합적 기억에서 해방되고, 왜곡된 기억이나 진실과의 투쟁은 어떻게 실천과 연계할 수 있는가의 문제도 함께 보여준다. 화해의 정의 그리고 화해란 진정으로 어떤 것일 수 있는가를 앞으로 더 고민해 갈 과제임을 알려주고 있다. 동아시아의 화해를 향해서 한 발짝 전진하기 위해 역사에 대한 진지한 대면을 피하고 정치적으로 타협하려는 반역사적인 구태를 버리고, 역사를 직시할 용기와 정의를 갖추려고 노력해야 한다. 마주할 용기와 실천할 정의가 없으면 보신을 위한 이익 추구에만 전념하게 된다. ‘외교’는 ‘국익’을 최우선을 삼기에 외교적인 타협과 수습은 결국은 역사를 건너뛰고 보지 않기에 지난 79년이 반복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에 대한 직시를 배제한 외교적 타협을 ‘화해’라고 할 수 없다는 기본에 되돌아가서 ‘새로운 화해’가 아니라, ‘진정한 화해’의 기점이 되고자 한다. 이 책이 동시에 역사 직시를 통한 화해라는 개념을 정의롭게 다지기 위한 시축(視軸) 패러다임 형성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
7년이라는 세월이 흘러서 오는 10월로 인문한국플러스 HK+사업이 종료된다. ‘동아시아의 화해와 협력’이라는 과제에 대해서 대안적인 성찰과 ‘통(通·統)합적’인 전망에 대하여 그려보았다. 아시아에 깊은 상처를 남긴 전쟁이 끝난 지 80년이 되는 해를 앞두고, ‘화해’라는 관점에서 보면, 동아시아가 지난 80년 동안 제대로 전진하지 못한 슬픈 현실과 동시에 그러하기에 역설적으로 ‘화해’가 오늘날 우리의 ‘과제’이자 ‘희망’인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왜 동아시아는 80년 동안 전진하지 못했는가? 여기에 인문학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또 못했는가? 대한민국의 일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자, 학회, 연구소는 무엇을 했으며, 무엇을 하지 못했는가? 이 자문(自問)이 ‘동아시아 화해와 공존을 위한 모색과 제언’이라는 주제로 초심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한다.
동아시아의 화해를 넘어선 ‘사람의 삶’ 자체를 통한 새로운 동태
추상적인 ‘국민/탈국민’의 이분법적 근대 규범이 아닌 ‘사람의 삶’ 자체를 통해서 발견되는 ‘자기 주체성’을 재고하였다. 국가적 차원의 집합적 기억에서 해방되고, 왜곡된 기억이나 진실과의 투쟁은 어떻게 실천과 연계할 수 있는가의 문제도 함께 보여준다. 화해의 정의 그리고 화해란 진정으로 어떤 것일 수 있는가를 앞으로 더 고민해 갈 과제임을 알려주고 있다. 동아시아의 화해를 향해서 한 발짝 전진하기 위해 역사에 대한 진지한 대면을 피하고 정치적으로 타협하려는 반역사적인 구태를 버리고, 역사를 직시할 용기와 정의를 갖추려고 노력해야 한다. 마주할 용기와 실천할 정의가 없으면 보신을 위한 이익 추구에만 전념하게 된다. ‘외교’는 ‘국익’을 최우선을 삼기에 외교적인 타협과 수습은 결국은 역사를 건너뛰고 보지 않기에 지난 79년이 반복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에 대한 직시를 배제한 외교적 타협을 ‘화해’라고 할 수 없다는 기본에 되돌아가서 ‘새로운 화해’가 아니라, ‘진정한 화해’의 기점이 되고자 한다. 이 책이 동시에 역사 직시를 통한 화해라는 개념을 정의롭게 다지기 위한 시축(視軸) 패러다임 형성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
동아시아 화해와 공존을 위한 모색과 제언 - 한림일본학연구총서 2 (양장)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