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필화사 1 : 필화의 문학 사회사 (양장)

한국 현대 필화사 1 : 필화의 문학 사회사 (양장)

$38.30
Description
필화, 그 탄압의 역사를 다루다
『한국 현대 필화사』는 1945년 8·15 이후부터 바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80년에 걸쳐 일어났던 필화의 전모를 탐구대상으로 삼는다. 여기서 ‘필화’란 글로 인한 탄압(筆禍)을 넘어 넓은 의미의 개념으로 학문과 문화예술은 물론이고, 정치와 종교, 언론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글과 모든 형태의 발언(舌禍), 행위와 활동 전반을 두루 포함한다.
이 책이 다루는 필화의 범주는 ① 지성과 사상사의 조감도, ② 민족 운동사의 독도법, ③ 정치 사회사 전반의 거울이란 쟁점을 통섭한다. 따라서 그 시대의 역사적인 흐름을 쟁점별로 부각시켜 주기에 독자들에게는 그 현장을 답사하는 생동감과 감회를 전해줄 것이다.
예를 들면 ①에 해당하는 항목으로는 8·15 직후 죄우익의 치열한 사상전의 현장을 다룬 「미군정 3년 개관」, 「조선정판사 위폐사건과 좌익지 탄압」, 「중도파 지식인 오기영의 좌절」, 「박태준과 박치우 두 지식인의 비극」, 「광야에서 생각하는 백성 외친 선지자 함석헌」 같은 항목이 있다.
②에 해당하는 글로는 분단민족 운동사의 두 과제인 민주화와 통일을 다뤘다가 필화를 당했던 「만담가 신불출의 설화」, 「여순항쟁과 가수 남인수의 ‘여수야화’」, 「혀와 붓을 대포로 만든 김창숙 옹」, 「가수 계수남과 시인 노천명」, 「연옥의 한 가운데 떨어진 지식인 군상」 등의 파란만장한 삶을 만날 수 있다.
③에 해당하는 글들은 너무나 풍성하다. 「이승만 집권 초기」, 「이승만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문화정책」, 「검열제도의 강화와 국민보도연맹」, 「전쟁과 권력, 그리고 부패」, 「간첩으로 몰린 시인 한하운」, 「‘자유부인’과 간통 쌍벌죄」, 「조봉암, 냉전체제와 진보정치의 역학구도」, 「강산도 눈물겨운 독재체제」, 「류근일 필화」, 「기독교가 일으킨 필화들」, 「’여적‘사건과 한국 사법계의 풍향계」, 「’하와이 근성시비‘의 조영암의 수난」 등이 소설보다 더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격랑의 한국 현대사를 비추는 빛
필화란 황혼이 되어서야 나래를 펼치는 미네르바의 부엉이가 아니라, 가장 먼저 회를 치며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알려주는 갈리아의 수탉처럼 잠든 개벽을 깨우고자 울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인류 역사가 만약 필화의 충고를 그대로 따랐다면 아마 오늘 이 시대에는 평화와 풍요가 만연했을 것이다. 권력의 심판대에 섰던 피고인, 필화 수난자들이 하루라도 빨리 복권되어 선각자로 평가받을수록 그 사회는 선진화되고, 그게 늦어질수록 그 나라는 낙후할 수밖에 없다.
한국 현대사야말로 20세기 후반 세계 지성사에서 가장 필화가 많았던 격랑의 연속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희생자들을 복권시키기는커녕 도리어 점점 더 악마화 시키는 시대 역행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게 오늘의 한국이다. 이런 관점에서 말한다면 한국 현대사의 당면 과제란 이 필화사를 원상복귀 시키는 것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모든 필화는 국가폭력이다
저자는 이 책의 「책 머리에」와 「서문」에서 “모든 필화는 국가폭력이다”라고 주장하며, 그 논증을 위하여 고대 그리스의 국가통치를 위한 필화부터 나치의 ‘도서대학살(Libricide)’까지 소개하면서 그 어떤 명분이나 변명으로도 ‘국가폭력’으로서의 야만적인 일체의 필화를 비판했다. 이런 관점으로 8·15 이후 한국 현대 필화사를 보노라면 ‘국가폭력’이 단순한 분단 한국의 한 통치자에 의해서만 자행된 것이 아니라, 20세기 후반기 선진 제국주의의 직간접적 역학작용의 결과였다. 그런 관점을 일깨워 준 것은 루쉰의 명언인 “먹으로 쓴 거짓말이 피로 쓴 사실을 감출 수 없다.”라는 교훈이었다.
글 한 편 한 편이 독립적인 사건을 다루면서도 일관된 역사적인 연결고리로 연계되어 있기에 연작소설을 읽는 흥미를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필화의 피해자가 겪었던 고난과는 대조적으로 그 탄압세력들이 얼마나 비이성적이며 반역사적이고 비민주적이었던가도 대비시켰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8·15 이후 집권 세력의 순서대로 목차를 정했다. 워낙 필화가 많아서 전3권으로 나눴다. 제1권은 미 군정과 이승만, 제2권은 장면과 박정희, 제3권은 그 이후(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로 했다.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격랑을 하나하나 다루면서 얼마나 많은 훌륭한 인물들이 참담하게 희생당하거나 고난의 생을 보냈던가를 상기하면 어떤 통곡으로도 그 원혼을 달랠 길이 없을 것이다. 이 모든 희생자들 앞에 작은 기념비를 세우는 심정으로 이 책을 바친다.”

저자

임헌영

저자:임헌영
1941년경북의성에서태어나중앙대국문학과및대학원을마쳤다.『현대문학』을통해『장용학론』(1966)으로문학평론가가된후『경향신문』기자,월간『다리』,월간『독서』등잡지사주간을지냈다.유신통치때두차례에걸쳐투옥,석방후중앙대국문과겸임교수(2010)를지냈고,역사문제연구소창립에참여,부소장·참여사회아카데미원장등을거쳐지금은민족문제연구소소장으로있다.
저서로는『창조와변혁』,『민족의상황과문학사상』,『문학과이데올로기』,『분단시대의문학』,『불확실시대의문학』,『임헌영의유럽문학기행』,『한국소설,정치를통매하다』,『문학의길역사의광장-문학가임헌영과의대화』(대담유성호)등과,리영희의『대화-한지식인의삶과사상』대담을맡았다.

목차


책머리에_먹으로쓴거짓말이피로쓴사실을감출수는없다
서문_모든필화는국가폭력이다

제1부미군정3년의필화
미군정3년개관
조선정판사위폐사건과『해방일보』등좌익지탄압
만담가신불출의설화
첫필화시를남긴사형수유진오
임화의비극
친일파청산의첫좌절

제2부이승만집권초기
이승만집권초기
이승만의정치이데올로기와문화정책
단정수립직후의주요판금시집
여순항쟁과가수남인수의<여수야화>
중도파지식인오기영의좌절
조직활동문학인들의검거
김태준과박치우두지식인의비극
검열제도의강화와국민보도연맹
전쟁과이승만정권,그리고자유언론투쟁
고관부인,작가김광주를린치하다
혀와붓을대포로만든김창숙옹

제3부이승만집권후기
가수계수남과시인노천명
간첩으로몰린시인한하운
『자유부인』과간통쌍벌죄
연옥의한가운데떨어진지식인군상
‘학도를도구로이용말라’
조봉암,냉전체제와진보정치의역학구도
강산도눈물겨운독재체제
류근일필화
기독교가일으킨필화들
광야에서생각하는백성외친선지자함석헌
‘여적’사건과한국사법부의풍향계
‘하와이근성시비’와지역감정문제

출판사 서평

격랑의한국현대사를비추는빛

필화란황혼이되어서야나래를펼치는미네르바의부엉이가아니라,가장먼저회를치며새로운시대의도래를알려주는갈리아의수탉처럼잠든개벽을깨우고자울어주는역할을한다.그래서인류역사가만약필화의충고를그대로따랐다면아마오늘이시대에는평화와풍요가만연했을것이다.권력의심판대에섰던피고인,필화수난자들이하루라도빨리복권되어선각자로평가받을수록그사회는선진화되고,그게늦어질수록그나라는낙후할수밖에없다.

한국현대사야말로20세기후반세계지성사에서가장필화가많았던격랑의연속이었다.그럼에도불구하고그희생자들을복권시키기는커녕도리어점점더악마화시키는시대역행현상도일어나고있는게오늘의한국이다.이런관점에서말한다면한국현대사의당면과제란이필화사를원상복귀시키는것이라해도지나치지않을것이다.

모든필화는국가폭력이다

저자는이책의「책머리에」와「서문」에서“모든필화는국가폭력이다”라고주장하며,그논증을위하여고대그리스의국가통치를위한필화부터나치의‘도서대학살(Libricide)’까지소개하면서그어떤명분이나변명으로도‘국가폭력’으로서의야만적인일체의필화를비판했다.이런관점으로8·15이후한국현대필화사를보노라면‘국가폭력’이단순한분단한국의한통치자에의해서만자행된것이아니라,20세기후반기선진제국주의의직간접적역학작용의결과였다.그런관점을일깨워준것은루쉰의명언인“먹으로쓴거짓말이피로쓴사실을감출수없다.”라는교훈이었다.

글한편한편이독립적인사건을다루면서도일관된역사적인연결고리로연계되어있기에연작소설을읽는흥미를만끽할수있을것이다.
필화의피해자가겪었던고난과는대조적으로그탄압세력들이얼마나비이성적이며반역사적이고비민주적이었던가도대비시켰다.
독자들의편의를위해8·15이후집권세력의순서대로목차를정했다.워낙필화가많아서전3권으로나눴다.제1권은미군정과이승만,제2권은장면과박정희,제3권은그이후(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로했다.

저자는이렇게말한다.

“격랑을하나하나다루면서얼마나많은훌륭한인물들이참담하게희생당하거나고난의생을보냈던가를상기하면어떤통곡으로도그원혼을달랠길이없을것이다.이모든희생자들앞에작은기념비를세우는심정으로이책을바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