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와 성자 :  카스트, 인종, 그리고 카스트의 소멸·암베드카르와 간디의 논쟁

박사와 성자 : 카스트, 인종, 그리고 카스트의 소멸·암베드카르와 간디의 논쟁

$19.00
Description
카스트 제도, 짓밟히고 부서진 존재인 불가촉천민의 문제
아룬다티 로이는 소설 『작은 것들의 신』을 쓴 인도 작가다. 1960년대 인도 반도의 서쪽에 있는 케랄라를 배경으로 아무의 집안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비춘다. 이란성 쌍둥이 에스타와 라헬의 성장기는 영국인 사촌의 사고사를 기점으로 변곡점을 맞는데, 기이하게 신비로운 대자연 속에서 펼쳐지는 관능적인 사랑의 묘사에 황홀경에 젖다가도 비극의 전개가 쌍둥이의 뱃사공 친구이자 불가촉천민인 벨루타에게 가닿는 과정은 지극히 고통스럽다.
아룬다티 로이는 인터뷰를 통해 “픽션이든 논픽션이든 내게는 동일한 문학적 활동”이라며 1997년 부커상 수상 이후 『지복의 성자』가 활자화되기까지 20년간 논픽션만 줄곧 써온 데 대한 세간의 의문을 불식시켰다. 핍박받는 자들을 집중 조명하는 아룬다티 로이가 통역사로서의 역할을 자처하며 『박사와 성자』 집필을 통해 기꺼이 그편에 서고자 한 인물이 바로 암베드카르다.
암베드카르는 인도의 사회 개혁운동가, 정치가로 카스트로는 불가촉천민 출신이다. 봄베이(현 뭄바이)에서 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과 영국에 유학했고 불가촉천민제 철폐운동에 몸을 던져 사회 개혁 단체나 정당을 결성하고 대중운동을 지도했다. 암베드카르는 1936년 라호르에서 특권 카스트 힌두교도 청중에게 카스트 제도의 불합리성을 설파하는 연설을 할 계획이었다. 초대 주체가 카스트제의 불합리성에 대한 자각이 없지 않은 개혁 단체였음에도 힌두교의 근본에 대한 지적 공격이 불편했던 그들은 돌연 그 초청을 철회하고 말았다. 준비된 연설문은 『카스트의 소멸』이라는 이름의 팜플렛으로 회중을 떠돌다가 2014년에야 인도와 영국, 미국에서 연이어 정식 출판되었는데 아룬다티 로이는 78년이라는 간극, 음성으로 전달되려던 텍스트가 문자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부담, 인도 밖에서 달리 이해될 것이 분명하다는 염려를 해소하기 위해 이 본문에 대한 장대한 서사시와 같은 입문서를 써 내려갔고 그것이 바로 『박사와 성자』다.

암베드카르와 간디의 논쟁
간디는 현대 도시의 폐해를 경계하면서 전통 사회의 특징을 미화해 눈먼 신화 속 마을을 이상화했던 반면, 그의 상대자 암베드카르에게 있어 간디의 저 이상적인 마을은 편견과 배타적 공동체주의의 소굴이었다. 전통적 가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긴급함에 암베드카르는 반대로 도시화, 산업화를 지향점으로 삼았다. 이에 서구 근대성이 지니는 파멸적인 위험을 과소평가해 버렸고, 간디는 현대사회의 발전 모델에 경종을 울리는 선지자로 명성을 얻은 것이라 아룬다티 로이는 냉정하게 평가한다.
불가촉천민으로서는 예외적으로 가촉민 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 기회를 얻어 박사 학위에 변호사 자격까지 가지고 인도로 귀국한 암베드카르는 자신의 자리가 ‘불가촉천민’에서 한 발자국도 벗어나지 못했음을 깨닫는다. 암베드카르는 『카스트의 소멸』에서 불가촉민 차별 행위만을 개선할 것이 아니라 카스트제 자체가 없어져야 하는 이유를 거듭 강조한다. 힌두교 하층계급이 이 비참한 카스트 제도 때문에, 그 종교성 때문에, 직접적인 행동을 할 수 없는 지경까지 완전히 무력화되었다는 것이다.
불가촉천민이 압도적으로 많이 분포된 직업군은 청소부다. 그리고 그들의 대다수는 머리에 바가지를 이고 오물통에 맨몸으로 들어가 온몸으로 인간의 배설물을 퍼 올리는 재래식 화장실 청소부다. 그런데 간디는 그들에게 자신들의 유산을 사랑하고 붙잡는 법, 그들의 유전적 직업이 주는 기쁨 이상을 절대 열망하지 않는 법을 설교했고, 종교적 의무로서 청소가 갖는 중요성에 대해 많은 글을 썼다. 아룬다티 로이는 간디의 이러한 청소부 ‘일’ 예찬을 이렇게 비꼰다. “이외 세상의 다른 사람들이 그런 소란을 피우지 않고 자신의 뒷일을 처리하고 있다는 것은 중요치 않아 보였다.”

‘박사’와 ‘성자’의 대립
그리고 ‘박사’와 ‘성자’는 서로 만난다. 「대립」에서. 그들은 독립 인도, 즉 대영제국의 관리 대상에서 국민국가로 이행하는 독립 인도의 새 헌법의 틀을 마련하는 제2차 원탁회의에서 격돌한다. “갑자기 엄청나게 다양한 인종, 카스트, 부족, 종교에 속한 사람들이 현대 국가의 현대 시민으로 변모해야 했다.”
암베드카르는 1947년 법무 장관이자 헌법위원회 위원장으로서 헌법 초안을 작성했다. 불가촉천민에 대한 몇 가지 보호 조치는 자리를 잡았으나 특권 카스트 위원들의 의견이 우위를 점했다. 1948년 간디는 힌두 급진주의자들에 의해 암살당했고 1956년 암베드카르는 불교로 개종했다.
오늘날 인도 전역에는 간디 동상과 암베드카르 동상이 이념처럼 서 있다. 간디 동상은 바가바드기타를, 암베드카르 동상은 인도 헌법을 손에 쥐고 있다. 독립 인도의 근간을 이루는 필수 요소를 무엇으로 볼 것인가라는 문제를 앞에 두고 대립했던 전근대와 근대의 입장, 전통과 반 전통의 태도는 국가 종교인 힌두교와 얽혀 불화의 최고조에 달하는데, 불가촉천민에 대한 처분을 해결하지 않고 신분제에 관한 개혁을 이룬다는 것이 얼마나 크나큰 망상인지, 그것을 본격적으로 다룬 것이 얼마나 급진적인 결심인지는 암살로 막을 내린 간디의 운명이나 불교로 간 암베드카르의 역정이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

아룬다티로이

저자:아룬다티로이
인도의소설가,수필가,사회활동가.1961년생.케랄라주시골에서빈곤과계급,남녀차별을겪으며성장기를보냈다.델리대학교에서건축학을전공했고,건축가,시나리오작가,프로덕션디자이너로활동하다가1997년펴낸첫소설『작은것들의신』으로맨부커상(1997)을받았고,이소설은전세계40개이상의언어로번역되었다.인도의핵무기개발,대형댐건설,세계화와신자유주의,소수자탄압과카스트제도등에꾸준히반대목소리를내며글쓰기로정치적투쟁을활발히해왔다.『민주주의에관한현장노트-메뚜기를듣다』,『자본주
의-유령이야기』,『동지들과함께걷기』,『말할수있는것,말할수없는것』(공저),『상상력의종말』등여러논픽션을썼다.2017년에는두번째소설『지복의성자』를출간했다.2002년래넌재단이수여하는‘문화의자유옹호상’을수상했고2015년‘암베드카르수다르상’과‘마하트마조티바풀상’을,2020년‘이호철통일로문학상’을수상했다.

역자:서정
서울출생.서울에서노문학과영문학을,모스크바에서정치문화를공부했다.그리스와베네수엘라,노르웨이에서살았고현재는브라질에거주하고있다.문화가교차하는지점에서발생하는일들에관심이있으며다양한매체에산문을싣고러시아어와영어로된글을우리말로옮긴다.산문집『그들을따라유럽의변경을걸었다』,『낙타의눈』,『카라카스수업의장면들』을썼고,류드밀라울리츠카야의『행복한장례식』,시기즈문트크르지자놉스키의『문자살해클럽』을옮겼다.

목차


머리말
옮긴이의말

박사와성자
빛나는길
선인장숲
대립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카스트제도,짓밟히고부서진존재인불가촉천민의문제
아룬다티로이는소설『작은것들의신』을쓴인도작가다.1960년대인도반도의서쪽에있는케랄라를배경으로아무의집안에서일어난사건들을비춘다.이란성쌍둥이에스타와라헬의성장기는영국인사촌의사고사를기점으로변곡점을맞는데,기이하게신비로운대자연속에서펼쳐지는관능적인사랑의묘사에황홀경에젖다가도비극의전개가쌍둥이의뱃사공친구이자불가촉천민인벨루타에게가닿는과정은지극히고통스럽다.
아룬다티로이는인터뷰를통해“픽션이든논픽션이든내게는동일한문학적활동”이라며1997년부커상수상이후『지복의성자』가활자화되기까지20년간논픽션만줄곧써온데대한세간의의문을불식시켰다.핍박받는자들을집중조명하는아룬다티로이가통역사로서의역할을자처하며『박사와성자』집필을통해기꺼이그편에서고자한인물이바로암베드카르다.
암베드카르는인도의사회개혁운동가,정치가로카스트로는불가촉천민출신이다.봄베이(현뭄바이)에서대학을졸업한후,미국과영국에유학했고불가촉천민제철폐운동에몸을던져사회개혁단체나정당을결성하고대중운동을지도했다.암베드카르는1936년라호르에서특권카스트힌두교도청중에게카스트제도의불합리성을설파하는연설을할계획이었다.초대주체가카스트제의불합리성에대한자각이없지않은개혁단체였음에도힌두교의근본에대한지적공격이불편했던그들은돌연그초청을철회하고말았다.준비된연설문은『카스트의소멸』이라는이름의팜플렛으로회중을떠돌다가2014년에야인도와영국,미국에서연이어정식출판되었는데아룬다티로이는78년이라는간극,음성으로전달되려던텍스트가문자로이해되어야한다는부담,인도밖에서달리이해될것이분명하다는염려를해소하기위해이본문에대한장대한서사시와같은입문서를써내려갔고그것이바로『박사와성자』다.

암베드카르와간디의논쟁
간디는현대도시의폐해를경계하면서전통사회의특징을미화해눈먼신화속마을을이상화했던반면,그의상대자암베드카르에게있어간디의저이상적인마을은편견과배타적공동체주의의소굴이었다.전통적가치에서벗어나야한다는긴급함에암베드카르는반대로도시화,산업화를지향점으로삼았다.이에서구근대성이지니는파멸적인위험을과소평가해버렸고,간디는현대사회의발전모델에경종을울리는선지자로명성을얻은것이라아룬다티로이는냉정하게평가한다.
불가촉천민으로서는예외적으로가촉민학교를졸업하고미국유학기회를얻어박사학위에변호사자격까지가지고인도로귀국한암베드카르는자신의자리가‘불가촉천민’에서한발자국도벗어나지못했음을깨닫는다.암베드카르는『카스트의소멸』에서불가촉민차별행위만을개선할것이아니라카스트제자체가없어져야하는이유를거듭강조한다.힌두교하층계급이이비참한카스트제도때문에,그종교성때문에,직접적인행동을할수없는지경까지완전히무력화되었다는것이다.
불가촉천민이압도적으로많이분포된직업군은청소부다.그리고그들의대다수는머리에바가지를이고오물통에맨몸으로들어가온몸으로인간의배설물을퍼올리는재래식화장실청소부다.그런데간디는그들에게자신들의유산을사랑하고붙잡는법,그들의유전적직업이주는기쁨이상을절대열망하지않는법을설교했고,종교적의무로서청소가갖는중요성에대해많은글을썼다.아룬다티로이는간디의이러한청소부‘일’예찬을이렇게비꼰다.“이외세상의다른사람들이그런소란을피우지않고자신의뒷일을처리하고있다는것은중요치않아보였다.”

‘박사’와‘성자’의대립
그리고‘박사’와‘성자’는서로만난다.「대립」에서.그들은독립인도,즉대영제국의관리대상에서국민국가로이행하는독립인도의새헌법의틀을마련하는제2차원탁회의에서격돌한다.“갑자기엄청나게다양한인종,카스트,부족,종교에속한사람들이현대국가의현대시민으로변모해야했다.”
암베드카르는1947년법무장관이자헌법위원회위원장으로서헌법초안을작성했다.불가촉천민에대한몇가지보호조치는자리를잡았으나특권카스트위원들의의견이우위를점했다.1948년간디는힌두급진주의자들에의해암살당했고1956년암베드카르는불교로개종했다.
오늘날인도전역에는간디동상과암베드카르동상이이념처럼서있다.간디동상은바가바드기타를,암베드카르동상은인도헌법을손에쥐고있다.독립인도의근간을이루는필수요소를무엇으로볼것인가라는문제를앞에두고대립했던전근대와근대의입장,전통과반전통의태도는국가종교인힌두교와얽혀불화의최고조에달하는데,불가촉천민에대한처분을해결하지않고신분제에관한개혁을이룬다는것이얼마나크나큰망상인지,그것을본격적으로다룬것이얼마나급진적인결심인지는암살로막을내린간디의운명이나불교로간암베드카르의역정이잘보여주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