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의 시대 - 과학·보건·사회 총서 2

공중보건의 시대 - 과학·보건·사회 총서 2

$28.06
Description
한국의료, 위생에서 보건으로 전환되다
이 책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50년대를 전후한 시기, 즉 위생에서 보건으로 전환되며 현대 한국인이 등장하는 〈공중보건의 시대〉를 다룬다. 이 시기는 해방 이후 주권국가를 수립하며 식민지적 위생을 벗어나 보건을 매개로 근대성을 습득하기 시작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아래의 연구들은 이 시기의 보건의료제도와 담론, 특징적인 의학적 지식, 주요한 질병과 건강 문제, 이를 통해 나타나는 사회문화적 현상, 마지막으로 그 배경이 되는 초국적 맥락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부 “새로운 보건체제의 구상”에서는 위생에서 보건으로의 개념적, 제도적 변화가 가지는 특성, 그리고 그 변환기에 나타난 주요한 쟁점과 논쟁들을 살펴보았다. 2부 “공중보건의 내재화”에서는 이러한 해방 후 한국에서 다양한 보건의료사업이나 실천들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구현되어 사람들의 신체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핀다. 3부 “과거와 미래의 의학 사이”에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시기의 의학과 해방 이후 한국의 의학 사이에 일어난 단절과 연속을 보여주기 위해 구성되었다.
저자

김진혁,김태우,문만용,박지영,신동원,신미영,정준호,JaneS.Kim

저자:김진혁
고려대학교여성의학사연구소전임연구원

저자:김태우
한국외국어대학교한국학과교수

저자:문만용
전북대학교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교수

저자:박지영
인제대학교의과대학인문사회의학교실

저자:신동원
전북대학교과학학과교수및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소장

저자:신미영
전북대학교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연구교수

저자:JaneS.Kim
독립연구자

엮음:정준호
인하대학교의학교육및의료인문학교실연구중점교수

목차


머리말(정준호/인하대학교의학교육및의료인문학교실)

1부새로운보건체제의구성

공중보건과인민보건:
독립이후남·북한보건의료의상이한두길,1945~1960(신동원/전북대학교과학학과,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1.머리말
2.독립이후보건관련개념의대변화:‘위생’의시대에서‘보건’의시대로
1)식민지:위생의시대
2)독립이후:‘보건’시대의개막
3.북한:신속한‘인민보건’의료체제의건설
1)해방직후인민보건정책의등장
2)전쟁복구기의인민보건
4.남한:머나먼공중보건정착의길을시작하다
1)미군정기의보건의료정책
2)전후보건의료의복구
5.에필로그:남북한의상호인식
1)북한이남한에게
2)남한이북한에게

보건의안보화:
한국에서의생물안보(biosecurity)와전후재건(JaneS.Kim)
서론
안보화(Securitization)와국제관계학에서의코펜하겐학파(CopenhagenSchool)
전후한국의개발과근대화―미국화에대한고찰
FAO한국사절단:식량안보에서부터경제안보로
WHO한국사절단―보건안보부터인간안보까지
UNESCO한국사절단:사회보장에서부터정치안보까지
결론

해방직후보건의료체제논쟁과통일국가보건의료정책구상(김진혁/고려대학교여성의학사연구소)
1.서론
2.보건의료정책의방향과개혁의범위
1)수준높은의사양성과급진적개혁의보류:보건후생국장이용설
2)농촌보건의료개선을비롯한사회개혁의전개:보건운동가최응석
3.보건의료체제의표상과‘의료사회화’로의경도
1)사회진화론적인식으로의소련모델흡수:의학교육자정구충
2)조선의료의주체성회복과사회개혁지향:사회단체활동가김연주
4.미소공동위원회답신서에수렴된보건의료체제지향:
일본보건의료제도등장과조합적지향의공유
5.결론

2부공중보건의내재화

농촌사회보건의료환경변화
―전라북도임실을중심으로―(문만용/전북대학교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1.머리말
2.위생경찰의시대농촌의의료환경
3.국가재건기농촌의공중보건체제의시작
4.압축적근대화속농촌의료시설의구축
5.농촌사회건강권을위한제도의확립
6.맺음말

한국의DDT저항성몸니와살충제저항성지식의형성(정준호/인하대학교의학교육및의료인문학교실)
1.서론
2.DDT개발과초기활용경험의축적
3.한국DDT저항성몸니의출현과실험기법의발전
4.한국DDT저항성몸니와살충제저항성개념의국제적정립
5.결론

“청정채소”만들기:
1950~1960년대주한미군군납경제와토양매개기생충감염(정준호/인하대학교의학교육및의료인문학교실)
1.서론
2.미군주둔과한국토양매개기생충재유입의문제
3.주한미군군납경제와“청정재배”
4.군납경제의후퇴‘공해’인식,그리고‘청정’의미의변화
5.결론

1956년파라치온집단중독사건과‘농약관리법’의제정(정준호/인하대학교의학교육및의료인문학교실)
1.서론
2.농약독성의문제화
3.1956년파라치온집단중독사건
4.1957년농약관리법제정과한계
5.결론

식민지공중위생지식의형성과그유산:
위생시험실의활동을중심으로(박지영/인제대학교의과대학인문사회의학교실)
1.머리말
2.위생시험실제도의성립과기능:위생취체를위한검사
3.위생시험실의조사연구활동:조선의건강자원에대한성분연구
4.해방후위생시험실의재편과그유산
5.맺음말

보건학자주인호의감염병매개곤충연구와미군의지원,1945-1969(박지영/인제대학교의과대학인문사회의학교실)
1.들어가며
2.보건학자로서주인호의성장과미군정청의지원
3.한국전쟁기미군출혈열연구소에서의수련과감염병매개곤충연구의시작
4.대만미해군의학연구소에서의모기연구
5.나가며

『육군의무장교단잡지』를통해살펴본1950년대의학연구:
감염병연구를중심으로(신미영/전북대학교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1.머리말
2.감염병연구공간의형성과확대
1)1950년대의학인력의군동원
2)의학연구공간의형성
3.『육군의무장교단잡지』에나타난1950년대감염병연구의특징
1)만성감염병연구
2)신진의학인력성장의공간으로활용
3)일반대상의연구에서군인대상의연구로
4.맺음말

미군제406의학종합연구소의위상과역할,1946-1953(김태우/한국외국어대학교한국학과)
1.머리말
2.극동지역핵심군의학연구소의신설과일본연구자들의활용
3.개별연구부서들의위상과주요활동
4.대표연구사례:한국전쟁기유행성출혈열연구
5.맺음말

해방후한국실험실의학의발전:
미군406실험실과실험기사들을중심으로(정준호/인하대학교의학교육및의료인문학교실)
1.서론
2.동아시아내미군406실험실의연구활동
3.미군실험실을통한한국실험실검사기술의발전
4.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