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어떻게 설계하고 실행할 것인가?
세계의 전문가들, 학생 학습의 질적 개선과 공정성 확보,
학교교육의 변화를 이야기하다
세계의 전문가들, 학생 학습의 질적 개선과 공정성 확보,
학교교육의 변화를 이야기하다
전문적 학습네트워크(Networks for Learning)』는 전 세계에서 진행되어온 전문적 학습네트워크(Professional Learning Networks)에 대한 최고의 연구 내용을 담고 있다.
단위학교의 학습공동체를 넘어서서 학교와 학교, 학교와 지역사회가 어떻게 연계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형태의 협업’ 왜 중요한가?
이 책에서는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학교 또는 더 광범위한 학교 시스템 차원에서 교수-학습을 혁신시키기 위해 자신들의 일상적인 실천 공동체의 범위 밖에 있는 사람들과 협력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으로 정의한다.
그렇다면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어디에 있을까?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는 단일 학교 내에서 성취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자원과 전문가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들은 실천에 대한 자기반성과 집단적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며, 개별 학교에서 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도전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전문적 학습 유형들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제1장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중요성’에서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역량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이 책은 영국, 캐나다, 오스트리아, 독일, 뉴질랜드 등 다양한 국가의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사례를 소개한다.
그에 앞서 저자들은 “학생들의 교육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지원 조건들은 무엇인가?”를 물으며, 그 답으로 집중, 협력, 반성적인 전문적 탐구, 리더십, 집단학습과 개별학습 등을 제시한다.
또한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경계 넘나들기’가 필요한데, 그것은 바로 확인, 조정과 반성적 사고, 변혁 등을 의미한다고 강조한다.
제1장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중요성’은 현재의 교육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특히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 지식과 직업능력을 지속적으로 계발하는 고등 지식인’이 되기를 희망한다는 기대를 전한다. 이어서 어떻게 교사들로 구성된 전문적인 네트워크가 학교 안팎에서 교수 방법과 학생들의 학업 결과를 향상시키는 능력을 키우는 가장 성공적인 방법이 되는지 알아본다.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실천 사례연구가 이 책의 핵심인데, 제2장에서 이야기하는 교사디자인팀은 소속 학교가 다른 중등학교 교사들이 혁신적인 교구재를 디자인하기 위해 협업하고 있는 네트워크다. 저자는 네덜란드 화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2년간 모니터링한 사례연구를 보여준다.
제3장은 영국의 예를 통해 연구기반 학습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알아본다. 연구기반 수업 실천에 참여하는 학교 교사들을 어떻게 이끌어 가는지, 또한 이러한 실천들이 다른 학교의 수업을 어떻게 바꾸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얼마나 향상시키는지를 살펴본다.
제4장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의 교육 탐구 커뮤니티 개발’은 교육 분야의 이해관계자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준다. 교사교육자, 교사 지원자, 학교와 지역 교육구의 교육자, 교육부 대표 등으로 구성된 허브의 참가자들은 교육혁신에 대한 생각을 교류하고, 다양한 활동과 비판적·성찰적 대화에 참여하고 있다.
제5장 ‘데이터에서 학습까지: 데이터팀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에서는 스웨덴의 자치구에 있는 데이터팀들이 데이터팀 모델의 효과성과 목표 달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학습네트워크를 활용하는지 제시한다.
제6장에서는 오스트리아의 학습디자이너(Lerndesigner)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네트워크를 통해서 가상 네트워크를 다룬다. 학습디자이너들은 ‘메타코스’라고 알려진 가상세계의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통해서 온라인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제7장의 저자들은 독일의 ‘교육지평(Educational landscapes)’ 탐구를 통해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개념을 확장시킨다. 어떻게 교육지평이 새로운 유형의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만들어내는지 설명하고, 베를린 뤼틀리 학교의 사례연구를 제시한다.
제8장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수행된 네트워크화된 수업연구 모델을 탐구하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중등학교 네덜란드어 교사들의 활동을 촉진하고 효과 창출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9장은 뉴질랜드에서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구성된 학습네트워크를 탐구한다. 이는 원주민과 소수민족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10장 ‘현상의 이면을 살펴보기’에서는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온타리오주 교육구에서 개발한 연구기반의 학교 정신건강 정책을 가능하게 했던 방법을 예시하고, 핵심적인 사회관계망의 개념과 측정 방법도 제시한다.
제11장은 학교의 지속적인 혁신이 어떤 의미인지를 설명한 후에, 이를 이루기 위해서 전문적 학습네트워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찰한다.
제12장에서는 ‘학습네트워크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를 전망하고, 교수-학습의 향상에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활용하기를 바라는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에게 꼭 필요한 관점을 제시한다.
단위학교의 학습공동체를 넘어서서 학교와 학교, 학교와 지역사회가 어떻게 연계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다.
‘네트워크 형태의 협업’ 왜 중요한가?
이 책에서는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학교 또는 더 광범위한 학교 시스템 차원에서 교수-학습을 혁신시키기 위해 자신들의 일상적인 실천 공동체의 범위 밖에 있는 사람들과 협력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으로 정의한다.
그렇다면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중요성은 어디에 있을까?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는 단일 학교 내에서 성취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광범위한 자원과 전문가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들은 실천에 대한 자기반성과 집단적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며, 개별 학교에서 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도전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전문적 학습 유형들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제1장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중요성’에서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역량 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이 책은 영국, 캐나다, 오스트리아, 독일, 뉴질랜드 등 다양한 국가의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사례를 소개한다.
그에 앞서 저자들은 “학생들의 교육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지원 조건들은 무엇인가?”를 물으며, 그 답으로 집중, 협력, 반성적인 전문적 탐구, 리더십, 집단학습과 개별학습 등을 제시한다.
또한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경계 넘나들기’가 필요한데, 그것은 바로 확인, 조정과 반성적 사고, 변혁 등을 의미한다고 강조한다.
제1장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중요성’은 현재의 교육적인 전망을 제시하고, 특히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 지식과 직업능력을 지속적으로 계발하는 고등 지식인’이 되기를 희망한다는 기대를 전한다. 이어서 어떻게 교사들로 구성된 전문적인 네트워크가 학교 안팎에서 교수 방법과 학생들의 학업 결과를 향상시키는 능력을 키우는 가장 성공적인 방법이 되는지 알아본다.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실천 사례연구가 이 책의 핵심인데, 제2장에서 이야기하는 교사디자인팀은 소속 학교가 다른 중등학교 교사들이 혁신적인 교구재를 디자인하기 위해 협업하고 있는 네트워크다. 저자는 네덜란드 화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2년간 모니터링한 사례연구를 보여준다.
제3장은 영국의 예를 통해 연구기반 학습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알아본다. 연구기반 수업 실천에 참여하는 학교 교사들을 어떻게 이끌어 가는지, 또한 이러한 실천들이 다른 학교의 수업을 어떻게 바꾸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얼마나 향상시키는지를 살펴본다.
제4장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의 교육 탐구 커뮤니티 개발’은 교육 분야의 이해관계자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예를 보여준다. 교사교육자, 교사 지원자, 학교와 지역 교육구의 교육자, 교육부 대표 등으로 구성된 허브의 참가자들은 교육혁신에 대한 생각을 교류하고, 다양한 활동과 비판적·성찰적 대화에 참여하고 있다.
제5장 ‘데이터에서 학습까지: 데이터팀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에서는 스웨덴의 자치구에 있는 데이터팀들이 데이터팀 모델의 효과성과 목표 달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어떻게 학습네트워크를 활용하는지 제시한다.
제6장에서는 오스트리아의 학습디자이너(Lerndesigner) 전문적 학습네트워크 네트워크를 통해서 가상 네트워크를 다룬다. 학습디자이너들은 ‘메타코스’라고 알려진 가상세계의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통해서 온라인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제7장의 저자들은 독일의 ‘교육지평(Educational landscapes)’ 탐구를 통해 전문적 학습네트워크의 개념을 확장시킨다. 어떻게 교육지평이 새로운 유형의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만들어내는지 설명하고, 베를린 뤼틀리 학교의 사례연구를 제시한다.
제8장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수행된 네트워크화된 수업연구 모델을 탐구하는데,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중등학교 네덜란드어 교사들의 활동을 촉진하고 효과 창출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9장은 뉴질랜드에서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구성된 학습네트워크를 탐구한다. 이는 원주민과 소수민족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제10장 ‘현상의 이면을 살펴보기’에서는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온타리오주 교육구에서 개발한 연구기반의 학교 정신건강 정책을 가능하게 했던 방법을 예시하고, 핵심적인 사회관계망의 개념과 측정 방법도 제시한다.
제11장은 학교의 지속적인 혁신이 어떤 의미인지를 설명한 후에, 이를 이루기 위해서 전문적 학습네트워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찰한다.
제12장에서는 ‘학습네트워크의 다음 단계는 무엇인가?’를 전망하고, 교수-학습의 향상에 전문적 학습네트워크를 활용하기를 바라는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에게 꼭 필요한 관점을 제시한다.
전문적 학습 네트워크 : 교사와 학교 시스템 혁신을 위한 효과적 협력 방안
$24.00